• 제목/요약/키워드: 소프트웨어 메트릭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4초

모델 기반 선택 기준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메트릭 및 도구 선택 방법 (Selection Method of Software Metrics and Metric Tools using Model-Based Selection Criteria)

  • 송동훈;서용진;김현수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46-52
    • /
    • 2018
  • 소프트웨어 메트릭은 소프트웨어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소프트웨어의 개발 비용을 줄이고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소프트웨어 메트릭이 등장하면서 적재적소에 사용하기 위한 메트릭 선택 문제가 발생했고, 이를 해결하고자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사용자의 높은 개입을 요구함으로써 여전히 메트릭 선택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개입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중치 표현을 지양하고 메트릭 및 메트릭 도구에 대한 다양한 특성을 선택 기준으로 사용하여, 메트릭 및 메트릭 도구 선택에 도움을 주는 방법을 제안한다.

메트릭 기반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방법 및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Methods and Tools for Metrics-Based Project Management)

  • 신현일;최호진;백종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정기총회
    • /
    • pp.289-292
    • /
    • 2005
  •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측정 및 분석 활동은 프로젝트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측정 및 분석 활동에 요구되는 높은 비용과 신뢰성 있는 메트릭 데이터 획득의 어려움으로 인해 측정 및 분석 활동을 수행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메트릭 자동 수집 및 분석 도구와 이 도구를 기반하여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관련 문제 인식과 문제 해결을 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구와 방법을 통해 메트릭 수집에 대한 오버헤드를 없애 측정 및 분석 활동의 수행을 쉽게 할 수 있고 수집된 메트릭의 분석을 통해 객관적으로 이슈를 파악하고 해결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 중에 메트릭의 지속적인 수집이 가능하고 수집과 동시에 수집된 메트릭에 대한 분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잠재적인 위험 요소의 조기 식별과 해결을 가능케 하여 소프트웨어 제품의 품질향상과 문제해결에 드는 비용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PDF

베이지언 사용한 패키지 소프트웨어 인증을 위한 시험 메트릭 선택 기법 (A Method of Selecting Test Metrics for Certifying Package Software using Bayesian Belief Network)

  • 이종원;이병정;오재원;우치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3권10호
    • /
    • pp.836-850
    • /
    • 2006
  • 오늘날 급속한 패키지 소프트웨어 제품의 증가 추세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제품에 대한 품질 시험 요구 또한 증가하였다. 소프트웨어 제품 시험 시 중요한 요소는 무엇을 시험할지 기준이 되는 메트릭의 선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패키지 소프트웨어 종류를 특성 벡터들로 표현하여 메트릭들과의 연관 관계를 확률로서 세밀하게 표현한다. 특성 벡터란 소프트웨어의 형식 분류 지시자라고 할 수 있으며 특정한 패키지 소프트웨어가 다른 것들과 어떻게 구별되는지 나타낼 수 있다. 분류된 각각의 소프트웨어 형식별로 메트릭을 선정하기 위해서 과거 시험 데이타를 분석하여 활용한다. 베이지언망이 과거 데이타 분석에 이용되며 특성 벡터와 메트릭 간의 의존 관계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구축된 베이지언망은 새로운 패키지 소프트웨어 시험 작업에 적절한 메트릭을 찾아내는데 활용된다.

PSP 지원을 위한 개인 메트릭 자동 수집 및 분석 도구 개발 (An Automated Metrics Collection and Analysis Tool for PSP Support)

  • 신현일;최호진;백종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77-280
    • /
    • 2006
  •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서 메트릭 수집 및 분석 활동이 점차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메트릭 수집 및 분석 활동은 조직/프로젝트, 팀, 개인 모든 레벨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중요한 활동으로 여겨져 오고 있다. Personal Software Process(PSP)[1]에서 개발자 개개인이 수행해야 되는 메트릭 수집 및 분석 활동이 제시된다. 이러한 메트릭 수집 및 분석 활동을 통해 개발자는 소프트웨어 품질 향상, 계획 단계에서 보다 정확한 예측 활동, 개인 프로세스의 정량적 관리 등의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이득을 얻기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메트릭 데이터의 수집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된다. 그러나 메트릭 수집의 오버헤드와 context switching 과 같은 문제로 인해 개발자가 신뢰성 있는 메트릭을 수집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겪는다[2, 3]. 또한 PSP 가 제시하는 분석 기법만으로는 수집된 메트릭에 대하여 의미 있는 분석을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감소 시키기 위해 메트릭 수집 및 분석 도구를 개발하였고 본 논문에서는 이 개발된 도구를 설명한다. 이 도구의 핵심은 메트릭의 자동 수집과 다양한 분석 결과의 제공을 통해 신뢰성 있는 메트릭 데이터의 획득과 의미있는 분석을 가능케 하는 데 있다.

  • PDF

객체지향 기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내부 품질 메트릭을 이용한 외부 품질 추정 기법 (Techniques to Predict External Quality from Internal Quality Metrics for Object Oriented Software Components)

  • 박지환;신석규;김수동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0권7_8호
    • /
    • pp.618-641
    • /
    • 2003
  • 소프트웨어 제품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품질 요소, 품질 항목 및 여러 가지 메트릭을 이용한 품질 모델들이 제시되어 왔다. 하지만,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특징에 맞는 특화된 모델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개발에 있어서 개발이 진행중인 상태의 소프트웨어 내부 속성에 적절한 메트릭을 적용시킨 결과를 이용하여 개발 완료 후의 소프트웨어가 가지게 되는 외부 품질을 어떻게 추정하는지에 대한 외부 품질 추정 모델을 제시한다. 소프트웨어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메트릭을 적용한 결과로써 품질 자체를 측정하는데 한정하지 않고, ISO 9126에서 제시하는 소프트웨어의 내부 속성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개발의 각 산출물에 어떻게 적용시키는지에 대한 모델을 예제를 통하여 제시한다.

소프트웨어 사용자 관점의 데이터 품질 측정 방안 (A Methodology of Measuring Data Quality from Viewpoint of Software user)

  • 양자영;최병주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1)
    • /
    • pp.436-438
    • /
    • 2001
  • 소프트웨어 제품의 품질을 보증하는 일은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실제 소프트웨어 제품이 실행될 때 최적의 결과에 영향을 주는 데이터, 즉 데이터의 품질이 보증 되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소프트웨어 품질 관련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품질 측정에 대한 모형만을 제시할 뿐 데이터 품질에 대해서는 다루어지고 있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품질 평가를 위하여 데이터 품질을 측정하는 메트릭을 제안한다. 제안한 메트릭은 전체 데이터베이스에서 오류 데이터가 발생한 비율과 데이터 사용 목적에 따라 데이터 항목마다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구해진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데이터 품질 메트릭은 특히 데이터를 주로 처리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품질 측정에 기여할 수 있다.

  • PDF

메트릭 기술 언어 : MDL4UML (Metrics Description Language : MDL4UML)

  • 김태연;박진욱;채흥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7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2 (A)
    • /
    • pp.50-51
    • /
    • 2007
  • UML을 이용한 소프트웨어의 설계가 널리 이용되고 있으므로 개발단계 초기의 소프트웨어 산출물인 UML을 대상으로 품질을 예측하는 메트릭의 개발 및 활용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메트릭 기술 언어를 개발 하였다. MDL4UML은 UML모델에 적용 가능한 메트릭을 기존 OCL을 이용하여 기술하였을 경우 메트릭의 표현이 복잡하고 측정 대상 UML모델의 깊은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는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연구된 메트릭 기술 언어이다. 본 연구에서는 OCL을 이용한 메트릭 기술의 난해함을 보완하기 위한 수단인 MDL4UML을 정의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도구로 METOOSE를 개발하였다.

  • PDF

혼성 메트릭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개체 복잡도 정량화 기법 (Quantification Methods for Software Entity Complexity with Hybrid Metrics)

  • 홍의석;김태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8D권3호
    • /
    • pp.233-240
    • /
    • 2001
  • 소프트웨어 개발 기술이 발전하고 소프트웨어 정량화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많은 메트릭들이 여러 시스템 개체의 정량화를 위해 제안되었다. 이들은 크게 스칼라 메트릭 형태나 벡터 형태를 취한다. 최근에 몇몇 연구들에서 스칼라 메트릭의 조합 형태에서 오는 위험성을 지적하였지만 아직도 유용성 등의 큰 이점 때문에 많은 스칼라 메트릭들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기존 메트릭 연구들의 분석 과정을 통해 스칼라 메트릭 형태는 외부 복잡도에 가중을 둔 혼성 메트릭 형태가 가장 적당하다는 결론을 얻었으며 이를 토대로 개발 방법론과 개발 시스템 형태에 의존하지 않는 일반적인 혼성 복잡도 메트릭 제작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제안 프레임워크는 구조적 방법론의 분석 단계와 객체지향 실시간 시스템 설계 단계의 정량화 프로젝트에 사용되었으며 두 프로젝트 모두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다. 정량화 목적을 갖는 개발 집단은 제안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단시간 내에 여러 종류의 시스템 개체를 정량화할 수 있다.

  • PDF

객체지향 메트릭을 이용한 변경 발생에 대한 예측 모형 (A Prediction Model for Software Change using Object-oriented Metrics)

  • 이미정;채흥석;김태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4권7호
    • /
    • pp.603-615
    • /
    • 2007
  • 다양한 이유로 소프트웨어는 변경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유지보수 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 소프트웨어 메트릭은 클래스의 특성에 대한 정량적인 값으로서 유지보수 비용, 결함의 가능성 여부 등을 예측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객체지향 메트릭과 산업체의 실제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변경 발생 횟수와의 관계를 제시한다. 규모, 복잡도, 결합도, 상속과 다형성 측면에서 7개의 메트릭이 사용되었으며, .NET 플랫폼 기반의 정보 시스템의 개발 과정에서 변경 발생 횟수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회귀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된 객체지향 메트릭으로부터 변경 발생횟수를 예측하는 모형을 제시한다.

리팩토링을 위한 소프트웨어 메트릭의 베이지안 네트워크 기반 확률적 관리 (Bayesian Network-based Probabilistic Management of Software Metrics for Refactoring)

  • 최승희;이구연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12호
    • /
    • pp.1334-1341
    • /
    • 2016
  • 최근 지능형 스마트 디바이스의 눈부신 발전과 사용으로 개발 단계의 소프트웨어 결함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효과적 결함 관리를 위해 소프트웨어 메트릭을 토대로 많은 결함 예측 모델 연구가 수행되고 있지만, 결함 예측 모델 연구 성과가 널리 확산되지는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결함 존재 유무에 관한 이진적 결함 예측 모델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도록, 베이지안 네트워크 기반 확률적 소프트웨어 메트릭 관리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소프트웨어 메트릭을 활용하여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이를 토대로 베이지안 추론을 수행하여 리팩토링을 위한 개선점을 식별할 수 있는 모델이다. 코드 리팩토링을 통해 소스 코드가 개선되면 관련 메트릭 측정값 또한 변하게 된다. 제안 모델은 리팩토링을 통한 메트릭의 개선으로 얻을 수 있는 결함 제거 효과를 확률 값으로 제시해준다. 따라서 이진 값 형태의 확정성을 극복할 수 있으며, 불확정적인 확률 값으로 의사결정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