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음실태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7초

노원구 소재 도심공원의 소음실태 조사 (A Research on the Actual Noise Condition of a City Park in Nowon gu)

  • 홍병국;송화영;양수영;제현수;주경민;이동훈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782-785
    • /
    • 2004
  • In the Well-being age, many people use a city park for rest deeply think and constitutional walk. The city park is located at near side by traffic road in urban. Citizens are not satisfied with it's fuction as a haven of peace due to road traffic noise. Thus, this study is for a research on the actual noise condition of a city park in Nowon go. This study uses a prediction method called ASJ-model in order to calculate PWLs of road traffic noise. Using calculated PWLs, noise levels in a park are predicted and compared with measured values.

  • PDF

고령취업자의 작업환경과 건강진단 결과에 관한 실태조사 (A Study on the Status of Occupational Environment and Health Examination Data of Aged Workers in Korea)

  • 백종민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3-72
    • /
    • 2009
  • 고령 근로자의 작업환경 실태와 건강검진 자료를 분석하여 그들의 건강한 생활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부산, 경남지역에 소재하는 41개 사업장에서 유해인자에 노출되어 작업하는 공정에 있는 50세 이상 근로자 112명(남성 91명, 여성 21명)을 대상으로 소음, 분진, 유기용제, 중금속, 작업형태 및 작업강도 등을 측정, 분석하였으며, 건강검진 자료는 일반건강진단표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54.9(남성 55세, 여성 54.7세) 세였으며, 평균근무기간은 8.7년이 였으며, 조사대상 사업장중 71.5%가 50인 이하의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사업장이 였다. 2. 소음에 폭로 대상자 중 31.3%가 90dB(A)인 노출기준치을 초과하였으며, 그 외의 분진, 유기용제, 중금속 등의 노출기준치를 초과한 대상자는 없었다. 3. 조사대상자 중 9%는 청력이 비정상이였으며, 78.6%의 대상자는 경작업과 중등작업을 하였으며, 52.7%는 전신을 이용하여 작업하는 형태였다.

사무환경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

  • 박수찬;김진호;이영신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51-455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사무환경 실태조사를 통하여 사무환경 구성이나 사무환경 개선시 활용 할 수 있는 적용기준을 제안하고, 사무실 환경관리규정 설계시 활용하는데 있다. 실태조사는 관공 서 및 정부투자기관 사무실, 일반기업체 사무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조사 내용으로는 개인점유 면적, 가구 재질 등에 대한 일반적인 사무환경 조사와 소음환경, 온/습도환경, 조도환경 등과 같은 쾌적성의 요인이되는 환경을 측정하였다. 조사의 실시는 7월 20일 부터 9원 12일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조사된 사무실은 총 39개 기관 45개사무실이다. 일반적으로 사무환경을 보면 1인 1PC 사용률은 77.3%, 1인 사무실 면적은 약 7.6M$^{2}$, 조명방식은 직접조명방식이 67.6%로 나타났으며, 별도의 회의 공간을 구획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56.7%로 나타났다. 환경측정은 사무실을 출입구, 중앙, 안쪽(또는 창가) 등 3개 위치를 선정하여 바닥으로 부터 85cm 떨어진 지점에서 각각 3회씩 측정하였다. 조도의 경우 등과 등 사이의 평균 조도를 보면 출입구는 400.11x, 중앙은 481.91x, 안쪽은 629.61x로 나타났으며 등밑에서는 각각 435.81x,518.11x, 666.31x로 나타나 일반 사무실에서의 작업수준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와 습도환경을 보면 측정지점별 각각 평균 27 .deg. C 54.5%, 26 .deg. 55.4%, 26.3 .deg. C 55.4%, 26.3 .deg. C 56.2%로 나타났으며, 소음환경은 측정위치별 각각 52.9db, 54.1db, 53.7db로 나타났다.

  • PDF

공동주택 세대에서의 소음전달 실태와 저감방안 (Survey of Sound Transmission Between Dwelling Rooms and Noise Reduction Methods in Apartment Houses)

  • 오영인;김흥식;김하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3-44
    • /
    • 1990
  •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 자기세대에서 가족간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고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차음성능 설계목표치를 설정한 후 기존 공동주택의 소음환경 실태를 파악, 설계목표치와 비교하였다. 또한 현행 공법을 다양하게 변화하여 설계목표치를 만족하는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세대내에서의 주침실, 자녀실 및 거실의 실간 차음성능을 파악하였으며, 실배치유형에 따른 차음성능 변화, 구성 재료 변화에 따른 플러쉬도아의 차음성능, 경량벽체의 구성재료 변화에 따른 차음성능 변화를 검토하여 소음환경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도심에서 발생하는 철도소음의 주관적 반응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ubjective Response about Rail Noise in Urban Area)

  • 윤해동;박재영;김재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2-37
    • /
    • 1999
  • 철도소음·진동은 철도변에 거주하는 인근 주민들에게 커다란 불만족 인자로 등장하고 있다. 특히, 철도소음은 철도변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 정신적, 심리적, 육체적으로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로인해 철도변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많은 괴로움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본 설문조사 결과 철도변 주민들은 경제적인 보상보다는 쾌적한 주거환경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경우 철도소음에 대한 심각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자료의 축적 및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효율적인 대책수립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철도변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철도소음의 실태 및 영향을 파악해 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향후 효율적인 철도소음의 대책수립 및 철도소음에 대한 세부적인 기준설정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택지개발예정지구 항공기 소음 실태조사 연구 (Actual Condition of the Aircraft Noise in the Building Site Development Arranged District)

  • 김흥식;박영민;주시웅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040-1043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fundamental data for evaluating aircraft noise of building site development. By the field experiments and an predicted equal noise level contour using the INM program, actual condition in the building site development arranged district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get the results, Analysis of factors effected on noise level, sound level on the rate of increase to aircraft demand and difference on the aircraft noise levels according to floor level in apartment house was carried out.

  • PDF

휴대용 음향기기 소음실태 및 소음도 평가 (The Survey for the Maximum Noise Level of Portable Audio Equipments and Its Assessment)

  • 이재원;구진회;박형규;이우석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3-8
    • /
    • 2013
  • Recently, the impact on hearing induced by using of portable audio equipment have been actively studied. In general, Because they turn the volume up with loud background noise, they may expose to louder nois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aximum noise level of 20 the domestic potable audio equipment and estimated the impact of the hearing induced by portable audio equipment in according to exposure time. As a result, the use of portable audio equipment is assumed to be more three hours when the level of more than 50 % of volume is most likely to affect the hearing.

대학교 학생식당의 실내소음 실태 및 원인 분석 사례연구 (A Case Study for Analysis on Present Condition and Cause of Indoor Noise in University Cafeteria)

  • 최윤정;이선아;김혜경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85-91
    • /
    • 2007
  • This is a case study for improving the sound environmental quality of cafeteria in university campu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present condition of physical level, type, and cause of indoor noise of cafeteria in university campus by comparison with a restaurant near campus. Research methods were field survey and questionnaire survey. Field survey was consisted of measurement on equivalent and instant noise level and observation on noise type. Respondents of questionnaire survey were 60 students using subject cafeteria or restaurant. Surveys were carried out in the 8th and in the 14th of December 2005.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door noise levels of the cafeteria were measured as $67.2{\sim}76.6$ (average 73.3) dB(A)Leq5min and $60.3{\sim}90.5$ (average 71.2) dB (A), exceeded the indoor noise recommended value of ASHRAE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 Conditioning Engineers). But noise levels of the restaurant were $61.6{\sim}70.4$ (average 66.9) dB(A)Leq5min and $59.8{\sim}70.6$ (average 64.9) dB(A). 2) The users's responses on major noise type in the cafeteria were 'noise by handling equipment and tableware', 'noise by moving chairs', and 'talcing noise', but 'taking noise' and 'background music' in the restaurant. 3) It was found that indoor noise level of the cafeteria was caused by sound reflection of finishing materials, noise diffusion by open type kitchen, and dragging noise of movable furni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