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외감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4초

청소년의 소외감과 스트레스 반응의 관계에서 스마트미디어 중독과 행동활성화체계(BAS)의 조절된 매개효과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Smart Media Addiction Caused by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BAS) on Adolescents' Alienation and Stress Responses)

  • 원소희;최유리;서경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619-62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소외감과 스트레스 반응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소외감과 스트레스 반응을 스마트 미디어 중독이 매개하는 모형에서 행동활성화체계(BAS)의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참여자는 수도권에 위치한 중·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361명의 남녀 학생들이다. 조절된 매개효과는 PROCESS Macro 3.5 모델 7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의 소외감과 BAS는 스마트미디어 중독이나 스트레스 반응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스마트미디어 중독도 스트레스 반응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스트레스 반응에 대한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에서는 소외감과 BAS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했으며, 소외감의 조건부 간접효과는 BAS 수준이 매우 낮은 집단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소외감을 느끼는 청소년이 스마트미디어 사용에 몰입하여 스트레스 반응을 경험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시사하며, 그런 영향은 BAS 수준이 높을수록 더 심각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고졸검정고시를 준비하는 학교 밖 청소년들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장벽의 관계 : 소외감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areer Barriers among Out-of school Adolescents preparing for Qualification Examination for High School Degree: Mediating Effects of Alienation)

  • 이정림;조영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90-102
    • /
    • 2017
  • 최근 들어 학교 밖 청소년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의 진로문제가 중요한 청소년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졸검정고시를 준비하는 학교 밖 청소년들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사회적 지지의 유형 및 사회적 지지원 간의 관계를 밝히고, 이들의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소외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장벽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5개 권역의 청소년지원센터 꿈드림(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과 검정고시 학원의 학교 밖 청소년 207명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 진로장벽, 소외감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활용하여 변인간의 관계와 소외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진로장벽, 소외감과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었으며, 소외감과 진로장벽은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장벽과 소외감은 사회적지지 중에서도 부모의 지지와 평가적 지지와 가장 높은 부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소외감은 부모지지 및 교사 지지와 진로장벽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으며, 친구지지와 진로장벽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였다. 소외감은 정보적, 물질적, 평가적, 정서적 사회적 지지의 모든 유형과 진로장벽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다. 이는 고졸 검정고시를 준비하는 학교 밖 청소년들의 경우 부모 및 교사, 친구들이 제공하는 여러 유형의 사회적 지지를 향상하여 소외감을 낮춰줌으로써 진로장벽을 낮춰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대학생이 인식한 부모애착과 부모됨의 동기에 관한 연구 (Parent attachment correlation between parent 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

  • 마지순;강영식;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933-936
    • /
    • 2010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인식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애착과 부모됨의 동기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생들은 아버지에 대한 애착보다는 어머니에 대한 애착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의 부모됨의 동기는 전체적으로 평균보다 높았지만 성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들의 어머니의 의사소통과 신뢰감 애착은 아버지의 의사소통과 신뢰감의 애착과 정적상관이 있었지만 아버지의 소외감과는 부적상관이 있었다. 어머니의 애착유형 하위요인 중 어머니의 소외감 애착이 높으면 아버지와의 의사소통과 신뢰감이 낮았다. 반면 어머니의 소외감 애착이 높으면 아버지의 소외감도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어머니와 아버지의 애착은 부모됨의 동기와 정적상관이 있었다. 특히 어머니와 아버지에 대한 애착요소 중 의사소통과 신뢰감 애착이 높을수록 부모됨의 동기가 높았다. 본 연구결과로 볼 때, 부모와의 애착은 자신이 부모가 되고자하는 동기에 영향을 미침으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예비 부모교육은 대학생이 미래의 부모가 되었을 때 자녀와 애착을 잘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포함해야 할 것이다.

  • PDF

코로나19로 인한 재택근무가 사회적 소외감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LMX의 조절효과 및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Telecommuting due to Covid-19 on Psychological State : Moderating Effect of LMX and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 이동주;정승철
    • 벤처혁신연구
    • /
    • 제5권4호
    • /
    • pp.117-133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재택근무가 사회적 소외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LMX(Leader Member Exchange)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사회적 소외감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재택근무를 경험한 317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3과 Process Macro를 통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살펴본 결과 재택근무의 횟수는 사회적 소외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그 과정에서 LMX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사회적 소외감의 조직 몰입에 대한 영향과 이러한 관계에 대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 재택근무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제언 및 연구의 한계점 등을 제시하였다.

중학생의 SNS중독 경향성에 있어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 자아존중감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Covert Narcissism, Sense of Alienation, and Self-Esteem with SNS Addiction Proneness in Middle School Students)

  • 조소연;정주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25-140
    • /
    • 2017
  • 본 연구는 중학생의 SNS중독경향성을 중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와 영향력을 살펴보고,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1주일 이내에 SNS이용 경험이 있는 중학교 1~3학년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341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자아존중감과 SNS중독경향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은 SNS중독경향성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자아존중감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자아존중감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자아존중감은 SNS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이 높을수록 SNS중독경향성이 더 높게 나타난 반면,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SNS중독경향성은 낮게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과 SNS중독경향성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은 직접적으로 SNS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매개변인인 자아존중감을 통하여 SNS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이 나타났다. 즉,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은 낮아지고 이는 SNS중독경향성을 더 높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올바른 네트워크 문화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일상생활에서도 통용될 수 있는 적합한 SNS이용에 대해 교육과 건강하고 바람직한 SNS문화가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이 스스로 통제하고 조절하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과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개인의 개방성과 정서적 소외감이 본인 및 배우자의 혼외관계 용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Individual Openness and Emotional Isolation on the Tolerance of Extramarital Relationship)

  • 이원준;이희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336-34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개방성과 정서적 소외감이 배우자의 혼외관계 용인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본인의 혼외관계 용인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남녀 655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혼외관계인식과 관련요인들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 분석 결과 밝혀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성'과 '정서적 소외감'이 배우자의 혼외관계 불용인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자신의 혼외관계 용인에 미치는 직접효과(개방성, .244***; 정서적 소외감, .164**)는 유의하였다. 둘째, '본인의 혼외관계 용인'과 '배우자 혼외관계 불용인' 간에는 강한 부적 상관(-.493**)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개인의 개방성이 '배우자 혼외관계 불용인'에 미치는 효과에 '본인 혼외관계 용인'의 완전 매개효과(-.081; 하한값 -.140, 상한값 -.027 ), 그리고 '정서적 소외감'이 '배우자 혼외관계 용인'에 미치는 효과에 '본인의 혼외관계 용인'의 완전 매개효과(-.120; 하한값 -.189, 상한값 -.061 )가 각각 입증되었다. 개인의 개방성과 정서적 소외감이 배우자의 외도에 미치는 영향은 본인의 혼외관계에 대한 용인 수준에 의해서 결정적으로 영향을 받고, 본인의 혼외관계에 대한 인식이 배우자의 혼외관계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배우자 외도문제 대처와 관련하여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모색하고 논의하였다.

그룹음악치료를 통한 과잉-분리가정 청소년의 소외감 감소에 관한 연구 (Study of Group Music Therapy Program on Alienation of Adolescents from Enmeshed or Disengaged Families)

  • 전희란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6권2호
    • /
    • pp.71-100
    • /
    • 2009
  • 본 연구는 그룹음악치료가 정서적 단절을 경험하는 과잉-분리가정 청소년의 소외감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내용 분석하여 고찰한 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S정보산업 고등학교 1학년 148명을 대상으로 가족응집력 검사를 실시한 후, 척도 점수가 10-25점 사이의 과잉-분리가정 청소년 4명을 대상으로 주 2회 7주간 14회기의 그룹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의 음악활동에서 보인 소외감과 관련한 언어적 음악적 표현을 단계별로 내용 분석한 결과,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자신의 상황과 환경에 대한 불만이 감소하였고 이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인식의 변화가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중재 후 대화와 토론은 이들이 긍정적이고 일관된 지지를 경험하고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모델로 활용되어 대상자들에게 삶의 목적과 의미를 부여하게 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가족 구성원간의 정서적 단절로 인해 무기력과 무의미, 고립감을 경험하는 청소년에게 음악을 매개체로한 그룹치료는 연주과정을 통해 소속감과 성취감을 경험하고 그룹원의 지지와 친밀감을 경험하게 함으로 소외감 감소에 효과적인 중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PDF

기술 활용의지, 디지털 소외감, 조력자 경험이 고령소비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illingness to use Technology, Digital Alienation and Assistant Experience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Consumers)

  • 장은교;이진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133-141
    • /
    • 2021
  • 최근 인터넷과 디지털 기기를 능동적으로 활용하는 고령층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보기술 활용에 있어서 취약계층으로 여겨지는 고령소비자의 기술 활용의지와 디지털 소외감 그리고 정보기술 활용을 돕는 조력자 경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인터넷 활용이 가능한 60대 이상의 고령소비자 총 31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소비자는 정보기술을 주체적으로 활용하려는 의지가 강하고 디지털 소외감을 낮게 지각하며 기술 활용 시 조력자의 도움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디지털 소외감을 낮게 지각할수록, 기술사용에 있어서 조력자의 도움을 많이 경험할수록 고령소비자의 삶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첨단정보기술 환경에서 고령소비자의 삶의 만족도 증진에의 영향요인을 밝히고 정책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방임경험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자아탄력성, 소외감의 매개효과 (Pathways From the Experiences of Neglect to Adolescent Smart Phone Dependenc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 Resilience and Alienation)

  • 박소연;유미숙
    • 재활치료과학
    • /
    • 제8권1호
    • /
    • pp.27-39
    • /
    • 2019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방임경험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자아탄력성과 소외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자료 중 초등학교 4학년 패널 7차년도(2016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데이터 중 결측치가 없는 1,8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과: 방임경험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아탄력성, 소외감은 방임경험과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방임경험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자아탄력성, 소외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아동 청소년 상담 및 부모상담에서 스마트폰 의존을 예방하고 개입하는 방안을 논의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대한 소외감의 영향에서 스트레스를 통한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Aliena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 이성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85-194
    • /
    • 2022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심리적 소외감이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스트레스 지각의 매개 역할과 마음챙김의 조절 역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Hayes의 PROCESS Macro 4.0의 모델 7로 연구모형을 분석하였다. 충청남도의 대학생 217명이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할 때, 소외감은 스트레스 반응을 매개하여 또는 직접적으로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준다. 이때 마음챙김 수준이 높은 사람들은 스트레스 반응을 완화함으로써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을 낮추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소외감이 스트레스 반응을 거쳐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을 유발하는 심리적 과정을 밝혔다는 점과, 마음챙김이 스트레스 반응 완화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을 낮출 수 있는 역할을 한다는 점을 밝혔다는 점이다. 향후 스마트폰 중독 진단을 받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모형을 적용해 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