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아재활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31초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실태 조사: 서울 경기 지역 소아 청소년 재활병원을 중심으로 (Survey About Current Status of Pediatric and Adolescent Physical Therapy: Focus on Pediatric and Adolescent Rehabilitation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 김정수;민경철
    • 재활치료과학
    • /
    • 제12권4호
    • /
    • pp.67-80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장애 소아 청소년을 치료 중인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실태, 만족도, 수가 체계, 대상, 시행, 평가 활용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 서울 경기 지역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사 6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하여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실태, 대상자, 만족도, 치료 시행 및 평가 활용 등을 조사하였다. 실태, 대상자, 만족도 등은 빈도 및 기초 통계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물리치료 참여도-난이도,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주요 요소의 중요도-본인의 능력, 주요 치료 목표-사용 빈도 차이는 대응 표본 T 검정을 통하여 그 차이를 확인하였다. 결과 :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실태는 대부분 독립된 공간(95.0%)에서 하루 11~15건(66.7%), 1대 1 치료(95.0%)로 진행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상자의 주요 연령은 학령기, 학령전기, 진단은 뇌병변, 발달지연이 많았으며 20대 이상까지 치료하였다.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만족도는 높았으나(70.0%) 업무강도 역시 높았다(71.7%). 주요 치료법으로는 신경발달치료, 보행치료, 목표지향적 재활이 있으며, 평가는 대동작기능검사 88과 66, 대동작기능분류검사 사용이 많았다. 현 수가 체계는 부적합하다고 하였으며(66.1%), 적정 수가 체계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와 관련된 광범위한 내용과 요소를 확인하였다. 현 실태조사연구를 바탕으로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사의 전문성 및 지속성 향상, 최신 치료법 적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어린이 재활병원 공간구조의 시지각적 특성 연구 - 소아재활 외래진료부 및 재활치료부 영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Visual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Configuration in Children's Rehabilitation Hospitals - Focused on the Pediatric Rehabilitation Outpatient and Therapy Areas -)

  • 조민정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10호
    • /
    • pp.83-94
    • /
    • 2018
  • In many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on the design issues of therapeutic healthcare facilities, spatial configuration that promotes users' wayfinding behavior, has been emphasized as a significant factor to mitigate stressful experiences and to enhance restorative quality in the healthcare environment. This is also applicable to the healthcare setting for children. However, not much evidence has been reported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configuration and wayfinding behaviors in this specific setting. Moreover, healthcare facilities for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need more attention to provide easy wayfinding due to various physical restrictions. The aim of this study is therefore, to unfold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configuration and visual cognitive qualities of outpatient spaces in the selected children's rehabilitation hospitals in Seoul, by examining visual cognitive attributes such as visibility, accessibility, and intelligibility. In the first phase, the spatial layout of the hospitals was analyzed, with an emphasis on the major outpatient areas such as the entrance lobby, doctors' examination, and physical therapy zones. In the second phase, a space syntax tool was implemented to examine visual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configuration. The spatial configuration parameters measured were integration, integration core, visual isovist field continuity, correlation between integration and step depth, and the correlation between integration n and integration 3. As a result, the integration was higher in the hall type configuration. Circulation intersections acted mostly as integration cores for better visibility. Some areas showed the lack of continuity in the visual isovist fields overlap and irregular correlation between integration and step depth. The intelligibility was higher in the circulation area and social interaction spaces such as a cafe, reception waiting, and therapy waiting areas. Based on the analysis, design implication and possible future improvement were discussed to enhance wayfinding experiences in the hospitals for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재활승마 선별도구 : 델파이 방법을 통한 융합연구 (The Screening Tool for Equine Assisted Activities and Therapi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A Convergence Study with the Delphi Method)

  • 황영섭;장현정;홍보영;이지영;권정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203-21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재활승마 선별도구를 개발하는 것으로, 승마장에서 재활승마지도사들이 참가자를 직접 선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비 선별도구는 6명의 전문가가 기존 국외의 지침서들을 참조하여 개발하였으며 해당 인원이 포함된 총 23명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두 차례의 델파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별도구 각 항목의 적절성에 대한 의견을 0점(비동의)~10점(동의)으로 총 11점 척도로 표시하도록 하였다. 항목의 적절성이 8점 이상인 경우를 합의된 항목으로 간주하였으며 8점 이상인 항목은 48개의 항목 중 39개의 항목이었다. 39 항목의 켄달의 일치계수에서 유의미한 결과값이 나타나(p<.001) 평가자간 의견일치가 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최종 선별도구는 총 39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재활승마 선별도구는 참가자에게 보다 더 안전한 재활승마를 제공할 것이며 향후 성인을 대상으로 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 내 입원한 환자의 소아치과 의뢰 현황 (Inpatient Dental Consultations to Pediatric Dentistry in the Yonsei University Severance Hospital)

  • 주기훈;이제호;송제선;이효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45-151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신질환으로 입원한 환자의 소아치과 협진 의뢰 현황에 대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여 소아치과로 의뢰되는 전신질환 환자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2012년 한 해 동안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에 전신질환으로 입원한 소아환자 중 소아치과에 의뢰되어 실제 진료를 받았으며 그 기록이 온전한 391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나이, 성별, 전신질환명, 협진의뢰과, 협진주소, 치과적 진단명, 치과적 치료 내용, 사망여부로 분류하여 통계 분석하였으며 환자 정보의 수집은 연세의료원의 Clinical Data Retrieval System을 이용하였다. 총 288명의 환자(M:F=166:122)가 소아치과로 의뢰되었으며 평균 연령은 5.9세였다. 재활의학과에서 129건(33.1%), 소아혈액종양내과에서 80건(20.5%), 소아심장과에서 51건(13.0%), 소아신경과에서 44건(11.3%)이 의뢰되었다. 협진주소는 기본 구강검진(156cases, 39.7%), 치아우식증(55cases, 14.0%), 수술 전 검진(50cases, 12.8%)순으로 많았으며 이 외에도 구강통증, 외상, 치아동요도, 교정치료, 자해로 인한 외상, obturator 제작 등 다양한 주소로 의뢰되었음이 확인되었다. 협진 의뢰된 환자의 절반 가량은 특별한 치료 없이 구강검사만을 시행하였으며(193건, 49%), 보존치료 및 예방치료는 각각 63건, 60건으로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신질환으로 입원한 환자의 소아치과 의뢰 현황을 분석한 결과 구강검진을 포함한 다양한 주소로 의뢰됨이 확인되었으며 재활의학과 및 소아혈액종양내과에서 가장 많은 의뢰가 이루어졌다. 의뢰된 환자의 치과적 진단명은 치아우식증이 가장 많았고 이에 대한 비침습적이고 예방적 치과치료가 주로 이루어졌다. 입원환자의 전신건강관리와도 밀접한 구강질환 예방 및 처치를 위하여 치과협진이 독려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한 의사 및 보호자의 인식 개선이 요구된다.

소아 특발성 관절염과 관련된 요통으로 오인된 베르톨로티 증후군 (Bertolotti's Syndrome Misdiagnosed as Juvenile Idiopathic Arthritis in an Adolescent Girl with Low Back Pain)

  • 한승희;김중곤;김종규
    • Clinical Pain
    • /
    • 제20권1호
    • /
    • pp.35-38
    • /
    • 2021
  • Bertolotti's syndrome is a congenital abnormality in which the expanded lower lumbar transverse process articulates with the ilium or sacrum. It is an important cause of low back pai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at is frequently misdiagnosed. We describe the case of a 17-year-old girl with low back pain who had a 4-year history of juvenile idiopathic arthritis. She subsequently underwent plain radi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was eventually diagnosed with Bertolotti's syndrome. She was managed conservatively with 6 weeks of physical therapy and an exercise program, and her pain subsided. This case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anatomical and structural variants when evaluating low back pain in adolescents.

뇌성마비(Cerebral palsy) 소아의 재활치료와 재활과 침치료의 병행치료를 비교한 체계적 문헌 고찰 (The Effect of Acupuncture combined with Conventional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Cerebral palsy: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RCTs))

  • 장석주;성은학;김장현;민상연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81-96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 of acupuncture combined with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cerebral palsy in children. Methods 7 electro-database (PubMed, CENTRAL, CNKI, DBpia, KISS, OASIS, KJTK) were searched for using the keywords "cerebral palsy AND acupuncture" which study is designed i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Results 10 out of 303 studies were included in analysis after screened. Acupuncture combined with rehabilitation treat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otor function. Only 1 study reported minor adverse effects. Conclusions All of the studies have shown acupuncture combined with conventional rehabilitation treatment was effective in cerebral palsy. Additional well-designed studies are needed to justify the effectiveness of acupuncture in cerebral palsy.

국내 소아성장 한약치료에 대한 고찰 (Review of Clinical Researches for Herbal Medicine Treatment in Pediatric Growth - Focusing on recent national studies -)

  • 권지현;조성우;유선애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03-112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linical evidences on effectiveness of herbal medicine treatment regarding pediatric growth based on recent clinical studies. Methods Selected 17 clinical studies since January 1998 to June 2018 from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and OASIS Traditional Medicine Knowledge Portal were reviewed. Results Medications that strengthening spleen and stomach (健脾胃藥), digestant (消導藥), supplementing kidneys (補 腎藥), and lungs (補肺藥) were frequently used. Frequently used herbs were Hoelen (茯?), Citri Pericarpium (陳皮), Glycyrrhizae Radix (甘草), Atractylodis Rhizoma Alba (白朮), Dioscoreae Rhizoma (山藥), Angelicae Gigantis Radix (當歸), Amomi Fructus (砂仁), Rehmanniae Radix Preparata (熟地黃).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Korean herb medicine treatment can be effective for pediatric grow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