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아병동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19초

소아병동간호사와 일반병동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 (Nursing Environment,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Pediatric Ward Nurses and General Ward Nurses)

  • 김안숙;박성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24-132
    • /
    • 2017
  • 본 연구는 소아병동간호사와 일반병동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 차이를 비교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 소재 200병상 이상의 중소병원과 종합병원 및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경력 1년 이상의 간호사 17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6년 8월부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간호근무환경,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소아병동간호사와 일반병동간호사간에 간호근무환경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직무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소아병동간호사가 간호근무환경이 나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아병동간호사는 일반병동간호사보다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은 이유는 아동의 건강문제 뿐 아니라 그 가족으로 부터 받는 스트레스가 가중되기 때문이므로 소아병동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의사소통, 자아성취감을 높일 수 있는 전문가 교육 등 다양한 방안이 요구된다.

소아병동 간호사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및 신고태도 (Perceptions and Report Attitudes of Pediatric Nurses toward Child Abuse)

  • 신화진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995-100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개 지역 소아병동 간호사들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및 신고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있다. 소아병동에 근무하는 학대의심 아동 간호 유경험자 중 아동학대 신고율이 매우 저조하며 신고하지 않은 이유로는 절반 이상이 학대의 정도가 심하지 않거나 증거 부족을 사유로 들었다. 아동학대 발생에 대한 소아병동 간호사의 제 특성에 따른 인식은 '학력'(X2=16.52, p=.011)에 따라, 신고 태도는 '연령'(X2=13.64, p=.034)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소아병동 간호사들 대상으로 아동학대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아동학대 사정도구 개발이 요구되며 아동학대 예방 교육과 체계가 마련되어 학대 아동에 대한 사례 신고 보편화와 아동학대 예방 체계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입원 아동 어머니의 간호요구와 소아병동 간호의 질에 관한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Nursing Needs of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s and Quality of Care in Pediatric Unit)

  • 김예영;조해련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155-16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입원 아동 어머니의 간호요구와 소아병동에서 제공되는 간호의 질을 융합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복합적 연구 설계를 활용한 2차 분석연구로, 간호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8명의 입원 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면담한 질적자료를 분석하였고, 간호의 질 평가를 위하여 194명의 입원 아동 어머니로부터 소아병동 간호의 질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수집한 설문자료를 IBM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소아병동에 입원한 아동 어머니의 간호요구는 존엄과 존중, 설명, 참여 및 협력, 간호기술로 범주화되었다. 소아병동에 입원한 아동에게 제공되는 간호의 질의 중요성은 $8.76{\pm}1.19$점(0~10점)이었고, 수행 정도는 $.30{\pm}.19$점(0~1점)이었으며 간호의 질 지수는 $7.52{\pm}1.62$점(0~10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아병동 간호의 질은 아동의 발달단계에 따라 존중에 대한 중요성 점수가 차이가 있었고(F=2.75, p=.044), 어머니의 연령에 따라 숙련의 간호의 질 지수 점수에 차이가 나타났다(t=-2.08, p=.039). 이상의 연구 결과가 추후 소아병동 간호의 질을 개선하는 전략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종합병원 소아병동부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for the Children's Ward in General Hospital)

  • 송영석;김광문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3권5호
    • /
    • pp.97-105
    • /
    • 1997
  • According as the medical demands have been high, ward dept, in general Hospital become more specifying. One thing of its sample is Children ward in general Hospitals and Children's medical demand become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present the standard for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children ward in general Hospital. For it, the present conditions and space programs of 4 general Hospitals were investigated, analyzed. And to present children ward's functional programs, plans of the 2 domestic children hospitals and foreign children hospitals were analyzed. Then one children ward in general hospital was selected, architectural remodeing process was performed by the whole those sources.

  • PDF

소아병동의 치유적 휴게공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ling Rest Space in Pediatric Ward)

  • 정소영;김예슬;최광석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23-34
    • /
    • 2013
  • Purpose: Many researches have clearly begun to add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their physical environments. These represent that children experience traditional hospital environments as unpleasant and scary. More specifically, children in hospitals face many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llenges: isolation, painful procedures, separation from family members, all in unfamiliar settings. For this reason, some have argued that the children's experiences within hospital environments can lead to poorer health outcomes. This study has been started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s for the planning of Healing rest space in pediatric ward. Methods: Literature reviewes and field surveys to rest space at pediatric ward in Korea and foreign country have been conducted for the data collection.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eight environment factor for healing rest space in pediatric ward: family, noise, safe, choice opportunity, light, privacy, social support and distract from disease or death. Implications: In the rest space in pediatric war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ealing rest space for promoting healing from disease and normal developing of children.

발달장애아동을 대상으로 낮병동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Efficacy of a Day-Center Treatment Program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 강희양;이문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3권4호
    • /
    • pp.188-195
    • /
    • 2012
  • Objectives: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day-center treatment program to promot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 disorder (PDD) and pervasive development disorder/mental retardation (PDD/MR). Methods:Twenty five children (14 in the PDD group and 11 in the PDD/MR group) participated in a day-center treatment program. They had been enrolled in the whole program for 2-3 years. Their performance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Preschool Language Scale (PRES), Social Maturity Scale (SMS), and Korean version of the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CARS). They were grouped by diagnosis at the beginning of the program and the treatment effect was compared. Results: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day-center treatment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ir PRES and SMS scores and a decrease in their CARS scores. Conclusions:A day-center treatment program is effective for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PDD and PDD/MR.

아동간호사의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 영향요인 (Associated Factors in Pediatric Nurse Parent Partnership)

  • 최미영;김지수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176-184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아동간호사를 대상으로 아동간호사와 환아 부모의 파트너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대상자는 서울, 인천, 충북 소재 7개 대학병원 및 종합병원의 일반소아과 병동, 소아암 병동, 신생아중환자실, 소아중환자실 및 소아응급실에 근무하는 아동간호사 158명이다. 자료는 2013년 9월부터 12월까지 본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으며, SPS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아동간호사의 특성에 따른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 정도는 결혼상태, 최종학력, 직급, 근무부서 만족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아동간호사의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자기 효능감, 임상의사결정능력, 임파워먼트와 일반적 특성중 학력이 아동간호사의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을 44.0% 설명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결론 아동간호실무 영역 중 최적의 입원 환아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핵심 사안이지만 상대적으로 연구되지 않은 아동간호사의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아동간호사를 대상으로 아동간호사와 환아 부모의 파트너십 중재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소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에서 발생한 열성 경련 (Febrile Seizure Associated With COVID-19 in a Child: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조유리;정나영;김민경;권영세;김동현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1권1호
    • /
    • pp.147-152
    • /
    • 2024
  • 기저 질환 없이 평소 건강하던4세 남아에서 COVID-19와 연관된 열성 경련이 발생하였다. SARS-CoV-2 양성으로 확인되어 음압격리병동에 입원한 당일 발열과 함께 25분간 전신 간대성 발작이 있었고 산소흡입, 항경련제 투여 후 소실되었다. 말초혈액, 혈액화학, 전해질, 혈액기체분석, 급성기반응물질, 면역혈청, 특수화학 검사 결과들은 참고치 내에 있었으나, 소변검사에서 케톤이 검출되었다. 가슴X선 영상검사에서 활동성 폐병변이 관찰되지 않았고, 뇌파 검사에서 이상 소견 없었다. 뇌 자기공명영상 검사에서 뇌실질 내외의 병변은 없었다. 발작은 재발하지 않았고 입원 12병일째 퇴원하였으며 신경학적 후유증은 없었다.

발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어린이 낮병원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후향적 분석 (Efficacy of a Day-Hospital Treatment Program for Child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and Mental Retardation : A Retrospective Study)

  • 류정은;이순정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6권3호
    • /
    • pp.209-216
    • /
    • 2015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 day-hospital treatment program designed to help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PDD) and mental retardation (MR). Methods : Retrospective review of the charts of 32 children (28 with PDD, 4 with MR), who participated in a day-hospital treatment program of Seoul Metropolitan Eunpyeong Hospital, from October 2008 to February 2012, was conducted. Development level of each patient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Psycho-Educational Profile-Revised (PEP-R), Social Maturity Scale (SMS), and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CARS). Evaluation was done at two points, before participation and after 1 year participation. Results :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day-hospital treatment program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all categories of PEP-R, SMS, and CARS. Conclusion : Day-hospital treatment program is effective for helping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PDD and M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