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실치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3초

다중 영상을 이용한 신뢰성 있는 소실점 추출 (Robust Vanishing Points Detection from Multiple Images)

  • 차영미;이동훈;김복동;정순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 (B)
    • /
    • pp.745-747
    • /
    • 2004
  • 소실점은 실 공간의 평행한 직선들이 영상에서 만나는 점으로서 카메라 파라미터 추정. 영상을 사용한 3차원 구조복원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영상 상에 존재하는 3차원 기하에 대한 암묵적인 특징 정보이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소실점을 검출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먼저 단위구 상에서 셀 기반의 소실 공간을 EM 알고리즘의 초기 소실점으로 사용함한 신뢰성 있는 소실점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단일 영상에서 제거되지 않는 이상치에 대해 다중 영상에서 H응 직선이 가자는 사영불변치인 planar collineation과 harmonic range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소실점을 구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을 다양한 영상을 통해 실험한 결과 안정적이고 신뢰할만한 소실점 검출이 가능하였다.

  • PDF

다중 초기 소실점을 이용한 소실점 검출 방법 (Vanishing Point Detection Method Using Multiple Initial Vanishing Points)

  • 이창형;최형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31-239
    • /
    • 2018
  • 본 논문은 다중 초기 소실점 후보를 사용해서 소실점을 검출하는 것을 제안한다. 소실점은 3차원 구조복원 등에 사용되는 중요한 기하정보이다. 소실점은 실내 환경의 경우 세 개의 소실점이 검출된다. 기존 초기 소실점을 하나만 검출하는 방식은 가장 높은 투표합의 초기 소실점이 최적의 소실점의 위치와 다를 수 있기에 부정확 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개의 초기 소실점 후보 중 가장 좋은 소실점 후보를 채택하는 방식을 사용하면 처음 구해지는 초기 소실점이 적절치 않은 소실점일 경우를 대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검출된 소실점을 후처리를 통해서 소실점의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후처리를 통해 기존보다 정확한 소실점을 검출할 수 있다. 실험 결과는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소실점 검출의 정확도가 기존방법보다 약 1~2% 가량 높음을 보여주며, 이에 따라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Micro-CT를 이용한 발거된 유구치의 기성금속관 평가 (Micro-CT Evaluation of Stainless Steel Crowns on Extracted Primary Molars)

  • 정보람;신종현;정태성;김지연;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53-61
    • /
    • 2015
  • 소아치과 임상에서 기성금속관 수복은 매우 높은 활용성과 사용빈도에도 불구하고 완벽하고 정밀한 수복이 쉽지 않은 항목으로 판단된다. 불량한 변연 적합, 변연부 치태 침착, 인접 영구치의 맹출 장애, 접착제 소실 및 이차 우식, 부적절한 지대치 삭제, 교합면 천공 등이 임상적으로 흔히 관찰되는 문제점들이다. 본 연구는 기성금속관이 장착된 상태로 발치된 유구치를 대상으로 수복 상태를 평가해 봄으로써, 빈번한 결함과 착오들을 찾아낼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서 발치된 기성금속관 수복 유구치 97개를 대상으로 육안적 평가와 micro-computed tomography(micro-CT) 영상을 분석하였다. 변연 적합도, 접착제 소실, 이차우식, 교모성 천공, 변연부 연마 결함, 선반(ledge) 형성 등의 항목으로 수복상태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조사항목들을 대상치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접착제 소실이 가장 빈번하였으며(98%), 뒤를 이어 이차우식(42.3%), 변연부 연마 결함(41.2%), 선반(ledge) 형성(29.9%), 교모성 천공(17.5%)의 순으로 나타났다. 변연 간격이 클수록 접착제 소실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접착재 소실은 변연 간격 및 이차 우식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평균 변연간격은 $0.31{\pm}0.26mm$ 였으며, 상악 제2 유구치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변연이 백악법랑경계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변연이 치관 상방에 위치할수록 변연 간격은 작게 나타났다(p < 0.05).

$^{99m}Tc$ HSA 신티그램을 이용한 쯔쯔가무시병에서의 장내단백소실 진단 ([ $^{99m}Tc$ ] HSA Scintigraphy; Intestinal Protein Loss in Scrub Typhus)

  • 김윤희;양우진;김성훈;손형선;정수교;김춘열;박용휘;신경섭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8-125
    • /
    • 1996
  • Scrub typhus의 발현증상에는 저알부민혈증, 단백뇨, 전신 부종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저알부민혈증에 비해 단백뇨와 부종 등은 심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저알부민혈증이 장내에서의 단백질 소실에 의한 것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Scrub typhus가 의심되는 2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1) 저알부민혈증의 원인 장내 단백질 소실에 의한 것인지 여부와 (2) $^{99m}Tc$-HSA 신티그램의 진단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신티그램은 혈청학적 검사상 Scrub typhus로 확인된 18명의 환자에서 (13예는 항생제 치료 개시후 1일에서 8일 사이에, 5예는 치료 전에 시행하였으며, 11예에서는 대변에서 alpha-1- antitrypsin (${\alpha}AT$)배설 여부를 확인하였다. 촬영방법은 $^{99m}Tc$-HSA 30mCi를 정맥 주사한 후, 2, 4, 6, 24시간에 복부 전면상을 얻었다. 판정은 소장과 대장의 주행 위치에서의 혈관외 방사능 소견을 장내 단백질 소실로 간주하였다. 13예에서 양성으로 판정하였는데, 이중 8예는 대변에서의 ${\alpha}AT$치도 높게 나왔다. 신티그램상 음성을 보인 5예중 2예에서는 대변중 ${\alpha}AT$치가 매우 높게 나왔는데 그 이유는 신티그램 검사는 치료 도중에 하였고, 대변 검사는 치료 전에 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간주하였다. 결론적으로 전체 18예중 15예에서 신티그램이나 대변검사로 Scrub typhus로 진단하였다. 한편, 13예 (72%)에서 저알부민혈증을 보였는데 이중 4예는 장내단백질 소실과 단백뇨를, 5예는 장내단백질 소실만을, 3예에서는 단백뇨만을 보였고, 1예는 아무 소견이 없었다. 요약하면, 장내단백질 소실 소견은 Scrub typhus환자의 83%에서 보여, 혈중 알부민치가 저하되는 원인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99m}Tc$-HSA 신티그램은 장내단백질 소실의 진단에 매우 유용한 검사방법이다. 또한, 검사방법이 다소 어렵지만 대변에서의 ${\alpha}AT$측정도 동위원소 검사상 음성 소견을 보이는 환자에게는 어느 정도 진단에 도움을 주리라 보여진다.

  • PDF

전치부에서 발치와 골결손부에 따른 최적의 심미를 얻을 수 있는 수술법 (Optimized Implant treatment strategy based on a classification of extraction socket defect at anterior area)

  • 반재혁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5-24
    • /
    • 2016
  • 전치부에서는 비록 임플란트가 기능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하더라도 심미적인 문제가 있다면 실패로 간주한다. 2003년 Kan은 임플란트의 골 레벨은 인접치아의 골 레벨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고하였다. 그 후로 많은 학자들이 인접치아의 골 소실이 있는 증례에서 어떻게 심미적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하여 연구해왔다. 2012년 Takino가 지금까지 여러 저널을 정리 및 분류하여 Class 1부터 4로 발표하였다. Class 1과 2는 인접치의 골소실이 없는 경우, Class 3,4는 인접치의 골소실이 있는 경우로 나누어서 각 분류마다 최적의 심미를 얻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인접치의 골소실이 없는 경우에는 쉽게 심미적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인접치까지 골소실이 있는 경우는 수술이 복잡해지고 심미적 결과를 장담하기 힘들다. 따라서 장기적인 안정적 결과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인접치에 대한 골재생술이 필요하다. 하지만 그 과정이나 치료법이 너무 복잡하여 이 저널에서는 기존의 수술법을 단순화하여 쉽게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방법을 보고하고자 한다.

급상승된 혈청 ALT치를 나타낸 만성 B형 간염 환자에 대한 ${\alpha}$-Interferon 2b의 치료 효과 (Effect of ${\alpha}$-Interferon 2b on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with High Serum ALT)

  • 이헌주;송영두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237-245
    • /
    • 1998
  •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Interferon (IFN) 치료 후 혈청 HBeAg 소실 및 anti-HBe의 양전율을 높이고 효율적인 치료의 근거를 알기 위하여 치료 전 간기능검사상 갑자기 상승한 혈청 ALT치를 나타낸 환자군과 그렇지 않은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여 IFN을 투여한 군과 IFN 치료없이 정상 HBeAg의 자연 소실을 보인 환자군을 임상적으로 장기간 관찰하고 조사하였다. ALT치가 정상 상한치의 4배 이상 높이 증가되어 3개월 이상 왕복을 보인 40명의 환자(A군)와 ALT치가 정상 상한치의 3배 이하로 증가된 10명(B군)에게 ${\alpha}$-IFN 2b를 매일 300만 단위 피하주사로 3~12개월 주사하였다. 대조군으로는 ALT치가 A군처럼 장승한 45명 (C군)이었으며, IFN 치료없이 평균 2.9년을 관찰하였다. HBeAg/anti-HBe 혈청 양전율은 A군 68%, B군 20%, C군 13%이었으며 IFN 치료 중단 후 1년까지의 HBeAg 재양성율은 A군에서 29%였고 HBeAg이 소실된 A와 B군의 38명중에서 6명에서 HBV DNA가 양성이었다. 6명중 4명은 HBeAg/anti-HBe 양전을 보였으나 HBV DNA 양성이었고 나머지 2명은 HBeAg, anti-HBe 및 HBV DNA (hybridization) 모두 음성이었으나 중합효소연쇄반응검사상 HBV DNA 양성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비록 IFN 치료 후에 HBeAg이 소실되었다가 다시 양성화되더라도 IFN은 단기간내에 혈중 HBeAg이나 DNA가 자연적으로 감소가 될 환자나 그렇지 않은 환자에게도 HBV의 비증식화를 유발하여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IFN 투여 후에도 혈중 HBeAg과 DNA 소실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환자 및 HBV 증식 억제효과가 기대되는 HBV 간질환 환자의 조건, IFN 투여량, 기간 등에 대한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로 더 나은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매복된 견치의 Tunnel을 통한 교정적 견인 (TUNNEL TRACTION OF IMPACTED MAXILLARY CANINES)

  • 전정훈;오유향;이난영;이상호;이창섭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3-39
    • /
    • 2005
  • 매복된 상악 견치를 위한 외과적 수술을 동반하는 교정치료는 주위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고 치열궁내에 적절히 위치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매복된 치아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외과적, 교정적 방법이 소개되었으며, 그 방법으로 window procedure, apically positioned flap, closed eruption technique, tunnel traction 등이 있다. 깊은 골연하 매복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closed eruption technique 그리고 tunnel traction이 있는데, closed eruption technique은 점막 및 치은 하방으로 지나는 견인 와이어의 자극으로 염증 발생 가능성이 높으며 치은퇴축 및 부착 치은의 소실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tunnel traction은 치아의 맹출이 터널을 통해서 유도되어 각화치은에 둘러싸인 채 치조골의 중앙으로 나오게 되므로 치은퇴축이나 치주부착의 소실 없이 적절한 각화치은을 얻을 수 있으며 매복치가 치조골의 중심부로 맹출함에 따라 생리적 맹출과 같은 효과 얻을 수 있다. 본 증례는 깊은 매복을 보이는 상악 견치를 tunnel traction을 이용한 치료를 보고한 것으로, 적절한 방향을 가지고 맹출하였으며 치은퇴축이나 부착치은의 소실이 발생하지 않았다.

  • PDF

교정치료와 관련된 치조골 높이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alveolar crest height following orthodontic treatment)

  • 강경화;이경원;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99-611
    • /
    • 2000
  • 교정치료에 의해 빚어지는 치조골 소실의 정도를 좌, 우측 제1대구치의 근, 원심면에서 치료 전, 후의 파노라마 필름을 이용하여 비교평가하고 치조골 소실에 미치는 영향 요소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고정식 교정장치 치료를 받은 216명의 환자들은 104명의 성장군과 112명의 성인군으로 나뉘어 졌으며 4개 소구치의 발거가 이루어진 경우는 각각 50명씩이었다. 치료 전, 후 파노라마 사진에서 상하 좌우 제1대구치의 근심 및 원심 부위의 치조골 높이를 백악법랑질경계에서 치조골의 최첨점까지 치아 장축에 평행하게 계측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료 시작시, 성인군은 성장군보다 유의하게 치조골 수준이 낮았다. 2. 치료 후 치조골 수준은 치료 전 수준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3. 성장군과 성인군 간에 치조골 변화량의 유의한 차가 없었다. 4. 성인발치군은 비발치군보다 유의하게 더 많은 치조골 소실을 모든 원심면에서 보였다. 5. 상악은 하악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많은 치조골 소실을 근심면에서 보였다. 6. 성인군은 원심면에서 근심면보다 유의하게 더 많은 치조골 소실을 보였다.

  • PDF

중등도 치주염으로 인한 치주조직상실과 정중이개를 동반한 상악중절치에서 laminate를 이용하여 심미적인 공강폐쇄를 얻은 증례보고 (A Case Report of Porcelain Laminate Veneers for Closing the Space in Anteriors with Moderate Periodontitis)

  • 김은하;최정한;이동환;이석형;정운호;임순호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9-85
    • /
    • 2009
  • 전치부사이의 비정상적 공간이 생기는 원인은 순측소대, 악궁과 치아의 크기 부조화, 악습관, 과잉치, 치주염으로 인한 병적치아이동 등 다양하다. 이러한 일차적인 원인요소들을 먼저 제거한 후 남게 되는 공간을 해결하기 위해서 교정치료 또는 여러가지 보철수복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보철적으로 치료할 경우, laminate를 이용하여 심미적인 전치부를 만드는 술식은 보존적인 면에서나 심미적인 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인접면사이에 비교적 큰 공간이 존재하며, 감소된 치주조직으로 인하여 치간유두의 소실이 많고 직경이 작은 치경부가 노출되었을 경우에는 laminate를 이용하여 공간을 수복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교정적으로 치아를 이동시킴으로서 보다 심미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증례는 중등도의 치주질환으로 인하여 치주조직이 감소된 상악중절치에서 정중이개의 양이 비교적 크고 치간유두의 소실 및 직경이 작은 치경부가 노출된 환자에서 laminate를 이용하여 심미적인 공간폐쇄를 도모하였다.

  • PDF

성장기 어린이에서 상악 중절치 조기 상실 후 치조골 소실 (ALVEOLAR BONE LOSS AFTER THE EARLY LOSS OF UPPER CENTRAL INCISOR IN GROWING CHILDREN)

  • 나혜진;송제선;이제호;최형준;김성오;손흥규;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1-57
    • /
    • 2012
  • 어린이는 8-10세 경에 외상을 자주 받으며 구강 내에서는 상악 절치부가 호발하는 부위이다. 외상으로 인하여 상악 절치가 상실되면 어린이에게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상악 절치를 유지해야 하지만 조기 상실되는 경우가 있다. 상악절치의 조기 상실로 인한 합병증으로는 심미적 문제나 치조골의 수직적 높이와 수평적 너비의 감소, 인접치의 경사, 악궁 장경 감소 등이 있다. 그 중에서 치조골이 소실되면 보철적 수복 시에 기능성과 안정성, 심미적인 면에 영향을 준다. 이 증례는 외상으로 인하여 상악 중절치가 조기 상실된 9세 여아와 6세 남아에서 각각 5년 5개월, 3년 7개월 후의 치조골소실 정도를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와 진단 모형 상에서 관찰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