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실거리

Search Result 3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Distance Estimation Between Vanishing Point and Moving Object (소실점과 움직임 객체간의 거리 추정)

  • Kim, Dong-Wook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6 no.5
    • /
    • pp.637-642
    • /
    • 2011
  • In this paper, a new technique to estimate the distances between a vanishing point and moving objects is proposed. A vanishing point for an input image is estimated and it use to extract distance form the vanishing point to a moving object. Using the obtained distances, moving objects is extracted. In simulation results, several performances for a test image sequnce is shown.

Relative Depth-Map Generation from Monocular Image using a Valid Vanishing Point (유효한 소실점을 이용한 단안영상의 상대적 깊이지도 생성)

  • Han, Jong-Won;Jo, Jin-Su;Lee, Yill-B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b
    • /
    • pp.539-543
    • /
    • 2006
  • 사람은 실내나 인공구조물을 가진 실외 환경에서 깊이를 지각하는데 소실점이라는 강력한 깊이 지각 단서를 활용한다. 소실점은 관찰자로부터 가장 먼 거리의 지점에 대응된다. 인간은 단안영상이 가지는 기하학적 성분을 이용해서 소실점을 추정하고, 소실점의 위치와 관찰자의 시점을 기준으로 상대적 깊이지각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소실점을 가진 2차원 단안영상에서 유효한 소실점을 추정하고, 입력영상에 대한 소실점의 위치 관계를 이용한 상대적 깊이지도의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 PDF

Intrinsic Camera Calibration Based on Radical Center Estimation (근심 추정 기반의 내부 카메라 파라미터 보정)

  • 이동훈;김복동;정순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742-74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두 개의 직교하는 소실점(Orthogonal Vanishing Points)을 이용하여 카메라의 내부 파라미터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카메라 보정(camera calibration)은 2차원 영상으로부터 3차원 정보를 얻기 위한 중요한 단계이다. 기존의 소실점을 이용한 대부분의 방법들은 세 개의 직교하는 소실점을 사용하여 파라미터론 추정하지만, 실제 영상에서는 세 개의 직교 소실점을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개의 직교 소실점을 사용하여 카메라 U부 보정을 위한 기하적이고 직관적인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주점(principal point)과 초점거리(focal length)는 Thales의 이론을 기초한 기하학적 제약사항으로부터 다중 반구(multiple hemispheres)들의 관계로부터 유도된다.

  • PDF

Depth Map Generation using Image Classification (영상 분류를 이용한 깊이지도 생성)

  • Kim, Dae-Sun;Baek, Yeul-Min;Kim, Whoi-Y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c
    • /
    • pp.451-453
    • /
    • 2012
  • 2D영상을 3D영상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영상 내의 깊이 정보를 알 수 있는 깊이지도(depth map)가 필요하다. 깊이지도를 획득하기 위해 다양한 시각적 특성들이 이용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영상에서 아래는 가깝고 위는 멀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하는 상대적 높이(relative height) 특성을 이용하여 깊이지도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상대적 높이 특성을 이용한 방법들은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거리가 멀어지는 영상에 대해서 부정확한 깊이지도를 생성한다. 따라서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입력 영상을 소실점 위치에 따라 분류하여 깊이지도를 생성한다. 소실점이 왼쪽이나 오른쪽에 위치할 때는 영상을 회전시켜 소실점을 상단으로 보내 상대적 높이 가정에 맞도록 영상을 변환하고 소실점이 중앙에 위치할 때는 하늘 검출 방법을 통해 실내, 실외를 판별한 후 각 특성에 맞는 초기 깊이 모델을 적용한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방법이 상대적 높이 가정을 만족하지 않는 영상도 적합한 깊이지도를 생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Effect of interproximal undercut on the dimensional accuracy of impression (치간 유두 소실로 인한 언더컷이 인상체의 체적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 Lee, Ju-Ri;Kim, Seok-Gyu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53 no.4
    • /
    • pp.330-336
    • /
    • 2015
  •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loss of interproximal papilla, creating an undercut, on the accuracy of impression materials. Materials and methods: Two addition type silicone impression materials ($Extrude^{(R)}$ Speed Wash, $Imprint^{TM}$ II Quick Step Light Body) and one alginate impression material (Cavex Impressional) were used to make impressions of a maxillary master model simulating clinical conditions with or without interproximal papilla. Stone was poured in the impressions and working casts were fabricated. A total of 6 groups with 6 working casts in each group were scanned using 3-dimensional optical scanner. The accuracy of the impressions was assessed by measuring the dimensional changes (${\Delta}I$ (%)) of 6 distances on working casts compared to a master model with a 3-dimensional digitizing and inspection software. The data were analyzed by two-way ANOVA (P<.05). Results: Three of 6 distanc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impression materials. Only 1 of 6 distances in alginate impress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asts with and without interproximal papilla (P=.047). Conclusion: The presence of undercut due to loss of interproximal papilla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dimensional accuracy of addition type silicone and alginate impression materials.

A Vanishing Point Detection Method Based on the Empirical Weighting of the Lines of Artificial Structures (인공 구조물 내 직선을 찾기 위한 경험적 가중치를 이용한 소실점 검출 기법)

  • Kim, Hang-Tae;Song, Wonseok;Choi, Hyuk;Kim, Taejeong
    • Journal of KIISE
    • /
    • v.42 no.5
    • /
    • pp.642-651
    • /
    • 2015
  • A vanishing point is a point where parallel lines converge, and they become evident when a camera's lenses are used to project 3D space onto a 2D image plane. Vanishing point detection is the use of the information contained within an image to detect the vanishing point, and can be utilized to infer the relative distance between certain points in the image or for understanding the geometry of a 3D scene. Since parallel lines generally exist for the artificial structures within images, line-detection-based vanishing point-detection techniques aim to find the point where the parallel lines of artificial structures converge. To detect parallel lines in an image, we detect edge pixels through edge detection and then find the lines by using the Hough transform. However, the various textures and noise in an image can hamper the line-detection process so that not all of the lines converging toward the vanishing point are obvious. To overcome this difficulty, it is necessary to assign a different weight to each line according to the degree of possibility that the line passes through the vanishing point. While previous research studies assigned equal weight or adopted a simple weighting calculation, in this paper, we are proposing a new method of assigning weights to lines after noticing that the lines that pass through vanishing points typically belong to artificial structur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method reduces the vanishing point-estimation error rate by 65% when compared to existing methods.

Estimating the Effect of VMS on Drivers' Legibility and Perception (도로전광표지의 운전자 판독성 및 정보 인지 특성 비교 연구)

  • Jeong, Jun-Hwa;Lee, Suk-Ki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1
    • /
    • pp.944-956
    • /
    • 2013
  • Drivers need lots of information when they drive on the highway, however it is necessary and important to be provided information which is appropriate formation. In order to offer the suitable information, adequate size, quantity, and frequency of provided information are required for the drivers. To evaluate propriety of the expressed message of VMS that provides real-time traffic conditions, first of all, the amount of message about legibility distance and viewing should be estimated. In this research, drivers' characteristics of VMS message design were also reviewed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VMS. And legibility distance, the amount of viewing information, and ratio of viewing information were analyzed on the currently operating VM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posed that the appropriate size, quantity, and frequency were concluded by the legibility and memory of message on the real driving conditions. Consequently, these design methods of VMS could be expected to improve the transmitting capability of highway information to drivers.

Stereoscopic Conversion of Monoscopic Video using Edge Direction Histogram (에지 방향성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2차원 동영상의 3차원 입체변환기법)

  • Kim, Jee-Hong;Yoo, Ji-Sa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4 no.8C
    • /
    • pp.782-789
    • /
    • 2009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for creating stereoscopic video from a monoscopic video. Parallel straight lines in a 3D space get narrower as they are farther from the perspective images on a 2D plane and finally meet at one point that is called a vanishing point. A viewer uses depth perception clues called a vanishing point which is the farthest from a viewer's viewpoint in order to perceive depth information from objects and surroundings thereof to the viewer. The viewer estimates the vanishing point with geometrical features in monoscopic images, and can perceive the depth information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on of the vanishing point and the viewer's viewpoi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estimate a vanishing point with edge direction histogram in a general monoscopic image and to create a depth map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vanishing point. With the conversion method proposed through the experimental results, it is seen that stable stereoscopic conversion of a given monoscopic video is achieved.

노인과 건강: 욱신거리고 시큰거리는 무릎, 골이 텅텅 골다공증

  • Kim, Seon-Ju
    • The Monthly Diabetes
    • /
    • s.258
    • /
    • pp.72-73
    • /
    • 2011
  • 생활수준과 의료 질의 향상으로 평균 수명이 길어지면서 노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골다공증의 발병률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골다공증은 뼈의 구성성분인 칼슘이 서서히 소실되면서 구멍이 생겨 가벼운 외상에도 골절되는 상태로 뼈가 극도로 약해져 있는 경우를 말한다. 우리나라 여성의 42.6%가 골다공증 또는 골감소증이고 50대, 60대, 70대로 갈수록 골다공증 비율이 2배 이상 늘어난다고 한다. 골다공증은 예방 할 수 있는 질환이므로 지금부터라도 관심을 가지도록 하자.

  • PDF

A study on a Front Measurement System from the Traveling Vehicle Using V.F. Model (V.F. 모델을 이용한 주행차량의 전방 계측시스템에 관한 연구)

  • Jung, Yong-Bae;Jung, Sung-Wook;Zhang, Woo-Chol;Kim, Tae-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6.06a
    • /
    • pp.5-8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좌표를 얻을 수 있는 카메라 Calibration 알고리듬을 확립하고, View Frustum(V.F.) 모델을 이용하여 도로의 영상을 모델화하였다. 그리고 주행하는 차선 내에 존재하는 선행차량의 위치측정 및 차량까지의 거리를 정확히 인식하기 위해 피칭오차를 보정하며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많은 추돌 경보시스템(CWS)들은 도로가 평면이라 가정하여 도로와 차량사이의 기하적인 변화에 따른 오차 특성을 고려하지 않았다. 이를 보완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 Calibration 알고리듬을 적용하여 실세계 좌표계와 영상좌표계 사이의 기하해석으로 사영행렬을 추출하였고, V.F. 모델을 이용하여 소실점의 기하적인 해석을 통하여 차량의 피칭변화에 따른 오차특성을 실시간으로 보정하였다. 실험결과 거리의 오차를 2%이하로 줄일 수 있어 피칭변화에 강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