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셜 Q&A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7초

대학생들의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건강정보 추구행태에 관한 연구 (Undergraduates' Use of Social Media for Health Information)

  • 김수정;오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83-99
    • /
    • 2012
  • 본 연구는 225명의 대학생들을 설문조사하여 건강정보 추구를 위한 소셜 미디어의 이용행태와 건강정보원으로써의 소셜 미디어의 유용성, 신뢰성,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151명의 대학생들이 건강정보를 위해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반면에 74명은 사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가장 인기있는 소셜 미디어는 소셜 Q&A, 블로그,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의 순이었으며 나이, 성별, 학년, 병의 유무가 소셜 미디어 이용행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에게 건강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채널로써 소셜 미디어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소셜 Q&A 사이트의 디자인 요소가 신규 사용자의 지속사용에 미치는 영향: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XGBoost 기법의 적용 (How Design Elements of a Social Q&A Site Influence New Users' Continuance Behavior: An Application of Logistic Regression and XGBoost Techniques)

  • 강민형
    • 지식경영연구
    • /
    • 제24권2호
    • /
    • pp.161-183
    • /
    • 2023
  • 소셜 Q&A 사이트에서는 사용자들이 서로 질문하고 답변한 내용들이 실시간으로 저장되어, 지식 저장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소셜 Q&A 사이트가 지속적으로 성장하려면 신규 질문자와 답변자가 지속적으로 유입되어야 한다. 하지만 선행 연구는 기존 사용자, 그 중에서도 답변자의 자발적 지식 공유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고, 신규 참여자에 대한 관심이 부족했다. 본 연구는 동기부여 어포던스 이론과 자기결정이론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신규 참여자들이 소셜 Q&A 사이트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요인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신규 참여자가 질문자인지 답변자인지에 따라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도 알아보았다. 추가적으로, 전환 비용의 개념을 활용하여 신규 사용자의 다른 멤버 사이트에 대한 사전 경험이 지속사용 영향요인에 대해서 가지는 조절효과도 확인해 보았다. Stack Exchange Network의 5개 주요 사이트에서 수집된 25,000명의 온라인 활동 데이터를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XGBoost 기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자기결정 이론에서 제시하는 근본적인 욕구 세가지(역량, 자율, 관계)와 연관된 동기부여 어포던스들이 신규사용자의 지속사용 행위에 유의한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멤버 사이트 사용 경험은 사용자들의 전환비용을 높여서 지속사용 선행요인들의 영향력을 약화시켰다. 흥미로운 점으로, 규제 관련 어포던스는 신규 사용자 전체를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으나, 질문자와 답변자를 구분한 분석에서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다.

온라인에서의 비언어적 요소에 대한 주관성 연구: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A Subjectivity Study on Nonverbal Communication Cues in Facebook)

  • 김수형;이정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183-195
    • /
    • 2020
  • 커뮤니케이션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비언어적 요소들이 소셜미디어에 있어서도 그 활용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Q 방법론을 통해 비언어적 요소들을 활용하는 주관적 인식 유형들을 찾아냈다. 우선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시행하여 소셜미디어의 비언어적 요소들을 대표하는 34개의 Q 진술문들을 도출하였다. 페이스북 이용자들 19명을 대상으로 Q 소팅을 시행한 결과 비언어적 요소들을 서로 다르게 활용하는 3개의 그룹들을 대별할 수 있었다: 안전거리형, 은둔관조형, 전력투구형. 각각의 유형별로 현재 활용하는 비언어적 요소들과 미래에 필요할 것으로 보이는 비언어적 요소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의 기능들에 관해서 논의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온라인에서의 비언어적 요소나 기능들을 확장하기 위한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소셜 네트워크 기반 공유경제 서비스에 관한 밀레니얼스 소비자 세분화 연구: 사이코그래픽 관점에서 (Segmenting Korean Millennial Consumers of Sharing Economy Services on Social Networking: A Psychographic-based Approach)

  • 이재헌;최재원;김기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09-121
    • /
    • 2015
  • 본 질적연구의 목적은 이머징 소셜 네트워크에 익숙한 밀레니얼스 세대 소비자들의 소셜 네트워크 기반 공유경제 서비스를 대하는 소비자 행동학적 동향, 사이코그래픽적 특성, 다양한 인지적 유형이 어떠한지 탐색하고 발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최신 기술의 ICT 장비, 디바이스 또는 사회 문화적 웹서비스나 네트워킹을 능숙하게 다루는 젊은 밀레니얼 소비자들을 해석적 관점에서 4가지 차별화 된 유형의 이론적 정의를 제시한다. 최근 국내 산학 분야에서 모두 창조경제 정책에 힘입어 공유경제 서비스의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 공유경제를 주제로 한 기존 연구들이 본격화 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개인의 내재적 관심, 선호, 태도, 의견 등을 포함하는 일명 스키마타(Schemata)라고 불리는 응답자의 사고 구조의 독특한 사이코그래픽적 특성을 발견하는데 초점을 둔다. Q방법론의 연구 절차에 따라, Q모집단과의 인터뷰 및 여러 문헌들의 메타 스터디를 통해 수집한 180개의 진술문으로부터 축약한 최종 40개의 Q샘플(진술문)을 35명의 밀레니얼스 세대(P표본) 응답자이 Q소팅 하여 등급화 하였다. 마지막으로, QUANL PC 분석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소셜 네트워크 기반 공유경제 서비스에 대한 젊은 층 소비자들의 4가지 시장 세분화를 수행하였다. 도출된 유형들은 제1유형 'Early majority', 제2유형 'Laggard', 제3유형 'Opinion leader', 제4유형 'Late majority' 라고 명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밀레니얼스 신세대 소비자의 행동 및 심리적 특성, 시장 세분화를 깊이 있게 탐구하려는 질적 관점의 후속 연구들의 기초 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소셜 Q&A 사이트의 질문 분석을 통한 청소년의 성 정체성(sexual identity) 고민에 대한 이해 (Understanding Sexual Identity-related Concerns through the Analysis of Questions on a Social Q&A Site)

  • 주영준;남서진;이다정;이용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101-119
    • /
    • 2020
  • 본 연구는 소셜 Q&A 사이트인 네이버 지식iN에서 성 정체성과 관련된 질문들을 분석하여 질문의 중심이 되는 주제를 추출하고 구체적인 고민들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네이버 지식iN에서 2010년부터 9년간 작성된 2,120개의 관련 질문들을 수집한 후, 자연어 처리와 정보 검색 방법을 사용하여 질문들의 주제와 고민들을 추출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주요 주제는 인간관계, 성 정체성 의심, 성적 지향, 감정 및 관계, 성 정체성 고민 등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사용자들은 주로 1) 일반적인 성 정체성, 2) 성적 지향, 3) 성 정체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 4) 감정 고백, 커밍아웃, 동성애, 5) 미래, 이성 관계, 군대에 대한 우려, 6) 성 정체성 혼란을 겪는 이유 등과 관련된 고민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성 정체성에 대한 실제적 고민들을 수집하여 토픽 모델링 기법을 통해 정보 요구를 도출하였으며 exact match와 tf-idf 기반의 검색 방법을 비교함으로써 문헌정보학 분야의 방법론적 확장을 시사했다. 또한 특정 관심사에 대한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들의 정보요구 및 정보탐색행태를 관찰함으로써 정보행위분야의 학문적 성숙에도 기여했다.

SNG의 공간 꾸미기를 통한 자기표현 욕구 연구 (Researching the self-presentation desire of decorating in-game space in Social Network Games)

  • 박지혜;백철호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7-18
    • /
    • 2015
  • 소셜 네트워크 게임(SNG)은 기존의 경영 시뮬레이션 장르에 소셜 네트워크의 접목으로 특히 많은 여성 유저에게 환영받고 있다. 따라서 SNG의 플레이 동기나 구체적인 몰입 요소, 특히 게임 속 공간 꾸미기 콘텐츠에 초점을 맞춘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SNG의 공간 꾸미기 콘텐츠 이용 경험과 구체적 이용 동기에 관한 연구이다. SNG를 이용하는 유저의 태도를 관찰하고, 이를 Q 방법론을 통해 유형화하였다. 또한 SNG의 공간 꾸미기를 이용하는 유저의 구체적 동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다수의 유저들이 SNG의 사회적 교류 요소보다도 공간 꾸미기 콘텐츠에 몰입하며 게임의 지속적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런 몰입 현상은 유저의 자기표현 욕구와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온라인 정보원의 인지적 권위가 대학생의 과제정보 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Cognitive Authority of Online Sources on Undergraduate Students' Academic Information Evaluation)

  • 이창호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8년도 제25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79-82
    • /
    • 2018
  • 본 연구는 인터넷에서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온라인 정보원마다 대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인지적 권위가 과제정보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도출된 변인에 따라, 온라인 학술논문, 온라인 사전, 소셜 Q&A, 온라인 사전에 대해 대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각각의 인지적 권위가 과제정보의 정확성, 포괄성, 객관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온라인 사전, 소셜 Q&A, 온라인 사전의 인지적 권위는 과제정보의 정확성, 포괄성, 객관성 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라인 학술논문의 인지적 권위는 과제정보의 정확성, 포괄성 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일상생활 맥락 정보요구 기반의 이미지 접근점 확장에 관한 연구 (An Approach Toward Image Access Points based on Image Needs in Context of Everyday Life)

  • 정은경;정선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73-294
    • /
    • 2012
  • 세대적 특성과 정보기술의 발달은 이미지의 생산과 이용을 가속화한다. 본 연구는 이미지 이용자의 일상생활 맥락에서 정보요구를 분석하여 이미지 접근점 확장에 관한 논의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소셜 Q&A 서비스인 네이버 지식인에서 이미지를 검색하고자 하는 질문 105건을 추출하였다. 이미지 질문은 이용 목적과 이미지 속성으로 구분한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서 이용 목적은 총 8가지로, 이미지를 데이터로서 이용하고자 하는 목적이 두드러졌으며, 이중에서 '보고그리기'는 기존 연구결과에서 찾아볼 수 없었던 이용 목적으로 새롭게 도출되었다. 이미지 속성에서는 의미, 비시각적, 구성 측면에서 의미와 비시각적 속성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전통적으로 이미지 검색과 접근에서 의미 측면의 속성은 중요하게 인식되어 왔으나,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비시각적 측면 특히, 맥락 요소의 비중은 접근점 제공에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으로 볼 수 있다.

표정 감지 시스템을 통한 직장 생활을 하는 1인 가구의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 분석 로봇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obot Analyzing Mental Disorder Risks for a Single-person Household Worker through Facial Expression-Detecting System)

  • 이성웅;이강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489-494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표정 감지 시스템을 통한 직장 생활을 하는 1인 가구의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를 분석하는 로봇을 설계 및 구현한다. 복합적인 사회적 요인들로 인해 1인 가구의 수와 그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다인 가구 대비 1인 가구의 정신질환 유병률도 큰 차이를 보인다. 정신질병을 가진 환자는 대부분 스스로 질병을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전문의와의 상담 및 치료를 하지 못하고 방치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본 논문에서는 표정 감지 시스템 구축을 Thecorpora 사에서 제작한 소셜 로봇 Q.bo One에 구축하여 직장 생활을 하는 1인 가구의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를 분석하도록 설계 및 구현한다. Q.bo One은 아두이노와 라즈베리파이 및 기타 센서들로 구성된 소셜 로봇으로 사용자가 구현하고자 하는 방향에 맞추어 센서를 감지하고 그에 반응 할 수 있도록 제작된 로봇이다. 미국 정신의학회에서 제공한 정신질환의 기준 DSM-5를 기반으로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를 구체화하고, Q.bo One이 대상의 얼굴 표정을 1주~2주간 분석하여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를 측정하고 위험도가 높을 경우 전문의와의 상담 및 치료를 유도하도록 설계한다.

SNS 환경에서 양방향 헬스케어 질의응답 서비스 개발을 위한 사용자 질문 추출 및 분류 방법 연구 (Extracting and Classifying User Questions to Develop Bidirectional Healthcare Q&A Services in an SNS Environment)

  • 오교중;김승석;최호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1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8 No.1(C)
    • /
    • pp.198-201
    • /
    • 2011
  • 본 연구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소셜네트워크 속에서 일반 사용자들이 의료 도메인의 전문가들과 쉽게 질문과 응답을 주고 받을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써, 사용자의 문서를 분석하여 질문을 추출해 내고 어떤 의료 도메인에 해당하는 질문인지 분류하는 연구이다. 한글로 구성된 문서 속에서 질문에 해당하는 형태소 분석 방법을 이용하야 질문을 추출을 한 다음 질문 속의 단어 들을 분석하여 KORLEX를 이용한 단어간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도메인을 분류하는 작업을 거친다. 또한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 기법과 인공지능의 분류 기법을 응용하여 소셜네트워크 속에서 질문과 응답을 분석하여, 의료 도메인의 전문가들이 볼 수 있게 함으로써, 소셜네트워크를 이용한 양방향의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 한다. 이 같은 양방향 질의응답 서비스를 통해 헬스케어 및 의료 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본 논문은 소셜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들이 올린 헬스케어에 관련된 질문들을 추출하고 분류해 주는 과정에 한정하여 진행된 결과를 기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