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생활권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생활권계획 수립지원을 위한 공간적 접근성 불평등 지역 분석 (Derivation of Inequality Areas in Spatial Accessibility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Neighborhood Unit Plan)

  • 김호용;김지숙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99-114
    • /
    • 2024
  • 최근 지역 간 격차 해소와 지역 특성 반영을 통한 균형발전 및 지속 가능한 개발에 대한 기대로 생활권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생활권 계획에서는 일상생활을 지원할 수 있는 필수적인 생활인프라 시설에 대한 접근성이 중요한 요소로 다루어지며,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생활권계획에서 설정한 생활인프라 시설 및 접근범위를 기반으로 시설로부터의 접근성을 분석하고 생활권계획 및 공간적 군집성과 연계하여 접근성이 집중되는 지역과 떨어지는 지역에 대한 공간적 접근성 불평등 지역을 분석하였다.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접근성을 분석한 결과, 시설에 따라 접근성 범위가 다양하게 존재하였으며 생활권계획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중생활권인 동래권, 원도심권, 해운대권은 공간적 접근성이 높게, 강서권과 기장권은 공간적 접근성이 낮게 나타났다. 공간적 군집성과 연계하여 분석한 결과 강동권, 원도심권, 동래권, 해운대권에서 핫스팟 지역이, 강서권과 기장권은 콜드스팟 지역이 많이 분포하는 지역적 불평등이 나타났으며, 같은 생활권내에서도 핫스팟과 콜드스팟이 동시에 존재하는 공간적 불평등이 나타났다. 이러한 공간적 특성을 고려하면 소생활권 단위에서 부족한 시설에 대한 세밀한 계획과 정책이 요구되며, 분석 결과는 최근 추진하는 균형발전이라는 도시정책을 실현하는 데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라산에 서식하는 노루(Capreolus pygarus tianschanicus Satunin)의 개체수 현황과 관리방안 (The Current Number of Its Individuals and Management Plan of Roe Deer(Capreolus pygarus tianschanicus Satunin) Inhabiting Mt. Halla(Hallasan), Jeju Island, Korea)

  • 김병수;오장근;오홍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66-373
    • /
    • 2007
  • 본 연구는 한라산국립공원 및 주변 약 $270km^2$의 면적에 서식하는 노루(Capreolus pygarus tianschanicus Satunin)의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조사는 1998년 11월(늦가을)에서 2001년 3월(이른 봄)사이에 이루어졌으며, 2006년 11월에서 2007년 1월사이에 추가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총 1,444마리가 확인되어 $1km^2$당 5.33마리의 노루가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돈내코 등산코스 주변에서 270마리로 가장 많았고 제 2횡단도로 주변이 12마리로 가장 적게 관찰되었다. 노루집단의 관찰빈도는 한라산국립공원의 가장자리에서 가장 높았는데, 이는 겨울철 한라산노루의 분포는 인위적인 간섭보다 먹이의 양과 질에 영향을 더 받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학생수 변화와 학교 위치를 중심으로 본 구시가지역 초등학교 재배치 계획 모형 도출과 사례 적용에 관한 연구 - 부산시 D 구시가지역 사례 적용 - (A Study on the Planning Model of Elementary School Relocation and the Application of Case Studies in Old City Area focused on the Change of the Number of Students and the Location of Schools - Application of D Old City Area Cases in Busan -)

  • 최기석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0권1호
    • /
    • pp.29-42
    • /
    • 2021
  • 본 연구는 학생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구시가지역의 중장기 학생수 증감 추이, 통학구역 내 학교위치, 통학거리 등을 조사·분석하여 학교 재배치에 도움이 되는 실질적 방안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조사, 사례지역 분석 등을 실시하여 구시가 지역 학교 재배치 모형을 도출하였다. 구시가지역 학교 재배치 모형 도출은 먼저 대상지역과 학교별 학생수의 중장기적 변화추이를 분석하고, 학교별 학생들의 통학거리를 실측하여 통학구역 내의 학교 위치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역 맞춤형 학교 배치 격자도 모형을 통해 학교를 배치한다. 그리고 학교 재배치 계획은 인근의 도시정비사업과 연계 등을 통해 학교용지를 확보하고 지역 소생활권 계획과 연계한 중장기적 학교 재배치 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다.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과정에서의 시민참여: 건강 격차 해소방안을 위한 시민원탁회의 결과를 중심으로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Community Health Plan: Based on the results of roundtable discussions to Resolve the Health Disparity)

  • 이수진;홍남수;김건엽;류동희;배상근;김지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51-161
    • /
    • 2021
  • 본 연구는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과정에서 시민들이 생각하는 건강문제와 보건 서비스 요구도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대구광역시의 중장기 보건의료 종합계획 수립에 반영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시민참여단을 구성하여 2차례의 시민원탁회의를 실시하였으며, 시민원탁회의는 고객여정지도, DVDM (Definition, Value, Difficulty, Method) Map, 페르소나 기반 시나리오법을 통해 진행하였다. 시민들은 건강수준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보건 서비스 접근성 확대, 소생활권 중심 보건 서비스, 정신건강 서비스 확대, 건강 친화적 환경조성, 환경오염 개선, 사회적 건강개선을 제안하였으며, 건강 격차를 줄이는 방안으로는 건강 취약계층의 소통 향상 및 사회적 환경조성, 보건의료에 대한 접근성 향상, 쾌적한 물리적 공간, 사회적 역할 수행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의 설문조사를 통한 주민요구도 조사와 달리 실제 주민들의 생각과 요구를 상세히 파악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지역보건사업의 기획과 수행과정에서 주민참여 수준의 단계를 평가하고, 보다 다양한 시민들의 의견을 적용할 수 있도록 주민참여 제도화 기반 수립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