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방업무

검색결과 209건 처리시간 0.03초

소방공사감리원의 업무수행능력이 아파트 소방시설공사의 완공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Performance of Firefighting Construction Supervision Personnel on the Completion Inspection of Firefighting Facility Construction in Apartments)

  • 김상식;공하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3호
    • /
    • pp.43-54
    • /
    • 2019
  • 이 연구는 아파트 화재의 대형화를 막기 위해 소방공사감리원의 업무수행능력에 따른 완공검사결과와 소방공사감리원의 성능시험 공기확보의 필요성에 따른 완공검사결과 및 완공검사증명서 발급 후 소방시설 등의 하자 유무상태에 따른 요인을 분석하여 완공검사 결과를 측정하여 소방공사감리원의 업무수행능력을 향상시키 위한 것이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소방공사감리원의 업무수행능력에 따라 아파트 완공검사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직업별로 소방공무원보다 소방시설설계업 및 소방공사감리업 종사자가 소방공사감리원의 업무수행능력에 따라 아파트 완공검사 결과 정도는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아파트에는 아파트 공사감리 경력이 있는 사람을 감리원으로 배치하여 소방공사감리원의 업무수행능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소방공사감리원의 성능시험 공기확보 필요성에 대한 완공검사 결과는 직업별로 소방공무원보다 소방시설설계업 및 소방공사감리업 종사자의 성능시험에 대한 공기확보 필요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건축 준공일까지 완공검사를 할 수 있도록 하며 발주처에서는 완공검사증명서를 건축준공일에 임박하여 발급받도록 강요하지 않도록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완공검사증명서 발급 후 완공검사의 하자가 완공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발주자(건축주. 감독관) 종사자보다 소방시설설계업 및 소방공사감리업체 종사자가 유의하게 낮게 분석되었다. 이는 소방시설공사를 마치지 않은 상황에서 발주처. 건설사가 완공검사증명서의 발급을 요구함에 따라 완공검사증명서 발급 후 소방시설 등에 하자가 발생하여 완공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소방공무원 공개채용 시험과목 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the Fire Officials' Employment)

  • 우성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53-161
    • /
    • 2008
  • 소방공무원의 업무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을 띠고 있으며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소방공무원의 공개채용 시험과목조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방공무원 공개채용에 있어 소방공무원 공개채용제도의 실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소방공무원 공개채용의 전문성 제고와 직무수행능력 평가를 위한 시험과목 조정(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지방)소방사 공개채용 필기시험 과목 중 행정학개론을 소방행정학으로 대체하고 소방업무와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소방관계법을 추가함으로써 소방공무원의 전문성 확보는 물론 효과적인 소방관계법 집행을 위한 바람직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소방공무원의 직업성 스트레스에 대한 경감대책 -G 소방학교 및 G 소방서를 중심으로- (A Study on profession Stresses of Fire official -Based on G. fires school and G. fire station-)

  • 김성곤;공하성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6호
    • /
    • pp.81-92
    • /
    • 2008
  • 한국은 고도의 산업화 또는 지식정보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소방업무도 변화 발전에 따라 업무범위가 점점 확대 되고 있다. 그러나 그에 따른 근무환경 등은 과거에 비해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또한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에 노출되어 다른 직업과 비교해볼 때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소방공무원의 직업성 스트레스는 소방공무원의 안전은 물론 국민의 안전과 직결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방공무원의 직업성 스트레스의 경감대책으로 구성원들 간의 활발한 커뮤니케이션 활동, 업무직능별 인사시스템 도입, 처우 및 복지시설의 개선, 소방공무원 안전 및 보건규칙 제정, 소방 전문병원 설립 및 소방전문의 위촉 등을 제안하였다.

정부의 위기관리 조직 재설계 필요성 연구 - 재난.비상대비.민방위업무를 중심으로 - (A Study for the Necessity of Restructuring Korea's Emergency Management Organization - Focused on Disaster.Emergency Preparation and Civil Defence Affairs -)

  • 김국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8
    • /
    • 2008
  • 이명박 정부는 출범과 동시 대국 대과의 원칙을 가지고 정부조직을 15부 2처 체제로 대폭 축소 개편하였고 국가 위기관리 분야도 전시, 평시 대비 업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행정안전부로 국무총리실의 비상기획 위원회 기능 등을 통합시켰으나 재난 안전관리, 비상대비, 위기상황 관리는 행정안전부가 소방, 재난관리와 민방위는 소방방재청이 대테러는 국가정보원에서 각각 관장하게 함으로써 행정안전부의 재난총괄, 비상대비, 위기 상황관리 업무가 소방방재청의 재난관리, 민방위, 재난 상황 관리 기능과 유사하게 중복되는 등 비효율적인 체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을 통하여 재난 비상대비 민방위 업무에 대한 정부의 바람직한 재난관리 조직 재설계 간을 제시하고자 함.

COVID-19 팬데믹 시대의 한국 소방공무원의 업무 실태와 우울증 위험 요인 (Korean Firefighters' Work Experience and Risk Factors for Depress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박혜연;이지혜;민범준;김정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446-455
    • /
    • 202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소방공무원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대응 업무 실태를 파악하고 COVID-19와 관련된 경험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소방공무원 53,557명이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하여, 본인 및 동료의 COVID-19 감염 경험, COVID-19 대응 업무 경험 및 업무 강도, 사회적 낙인의 두려움, 불안 및 우울 증상에 대한 설문에 답했다. 자료 분석 결과, 2021년 3월 기준으로 전체 53,557명 중 45.76%가 COVID-19 대응 업무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직무군 별로는 구급 업무군에서 COVID-19 대응 업무의 수행 비율이 가장 높았고, 대응 업무 강도와 사회적 낙인의 두려움 역시 다른 직무군에 비해 컸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동료의 감염, 대응 업무 강도, 사회적 낙인의 두려움이 COVID-19 팬데믹 중 소방공무원의 우울증을 설명하는 유의한 변수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COVID-19 팬데믹 시대에 소방공무원들에게서 우울증을 발생시킬 수 있는 위험 요인을 제시하며, 감염병과 관련된 소방공무원 직군의 우울증 발생 예방과 증상 완화를 위한 노력에 실질적인 토대를 제공한다.

직업성 질환 - 소방관과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

  • 김수근
    • 월간산업보건
    • /
    • 통권381호
    • /
    • pp.32-54
    • /
    • 2020
  • 소방공무원의 노출 위험과 그에 따른 건강영향 중에서 파킨슨병에 대한 연구를 고찰하고, 파킨슨병을 진단받은 소방공무원에 대한 업무 관련성 평가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소방공무원의 유해인자 노출특성을 파악하고, 이들과 파킨슨병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 PDF

소방방재서비스 향상을 위한 안전점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n Improvement of Safety Check System for Elevation Emergency Management Service)

  • 공하성;이정일;김국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42-57
    • /
    • 2006
  • 본 연구는 소방방재 행정서비스의 예방업무를 민간마인드와 대비, 심도있는 분석을 통하여 현재 안전점검기관의 분산 중복관리, 수수료징수의 부적성, 관계인의 도덕적 해이 만연, 부조리요인 잠재, 전문성확보 미흡 등의 문제점을 단계적 통합안전점검 시스템 구축, 소방검사의 일원화, 예방업무의 기업성 확보, 안전분야 자격증취득강화, 민관파트너십 활성화 등의 소방방재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