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profession Stresses of Fire official -Based on G. fires school and G. fire station-  

Kim, Seong-Gon (경기도 소방학교)
Kong, Ha-Sung (청운대학교 건축설비소방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v.8, no.6, 2008 , pp. 81-9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As the process of the Korea is highly industrialization and knowledge information the extent of fire fighting business is getting wide with the development and change. But work environment is not improved much compared with the past. For the situation that threaten life is exposed greatly, compared with the other profession there are also much stress. Moreover, the professional stress of fire official influence not only the safety of fire official. In this paper based on the reduction countermeasure for professional stress of fire official the following are proposed: Lively communication activity between constituents, application of people system as a result work field, improvement of treatment and welfare institution, safety of fire official and health rule enactment, the establishment of specialty hospital for fire fighting and appointment of fire medical specialist.
Keywords
Fire official; Professional stresses; Medical testing; Specialty hospital for fire fight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경화, 이강숙, 김석일, 맹광호, 홍현숙, 정춘화 (2001) 일부소방 공무원의 음주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련성. 대한산업의학회지, 대한산업의학회, Vol. 13 No. 4, pp. 401-412
2 강성완 (2005) 하위층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석 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pp. 2-4
3 경기성남소방서 홈페이지 http://www.sn119.or.kr/technote6/board. php?board=sub04d&page=17&command=body&no=9
4 김건형 (2004)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 학위논문, 인제대학교. pp. 26-30
5 김용진 (2006) 소방공무원과 직업성 스트레스의 고찰, 석사학위논 문, 경북대학교, pp. 30-50
6 대한민국 (2008) 국가공무원 복무규정. (2008. 9.18 개정)
7 박효순 (2005) 국내.외 직무스트레스 현황. 서울지방노동청 서울 남부지청 재인용
8 소방방재청 (2008a) 2008년도 주요통계 및 자료. 소방방재청 재 난상황실 재편집
9 이상구, 이용규(2007)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관 한 실증적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한국화재소방학회, Vol. 21, No. 2, pp. 74-86   과학기술학회마을
10 S.R Baker&K.Williams (2001) Relation between Social Problem- Solving Appraisals, Work Strees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Male Firefighters. Stress and Health, Vol. 17, p. 220
11 윤명오 (2008) 소방의 정책실효성획득과 조직의 학습구조 확립 을 위한제안. 119매거진
12 노경환 (2004)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 학위논문, 인천대학교. pp. 71-90
13 양홍석 (1997) 스트레스요인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 증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pp. 74-84
14 박경효 (2002) 소방공무원의 근무환경 실태와 개선방안-서울특별 시를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한국도시행정학회, Vol. 15 No. 3, pp. 63-79
15 김종숙, 임태균 (2006) 소방공무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인제논총, 인제대학교, Vol. 21 No. 1, pp. 165-185
16 소방방재청 (2008b) 시도별 현장부서 3교대 비율. 소방방재청 소 방행정팀 내부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