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모

검색결과 5,346건 처리시간 0.033초

자전거 안장높이에 따른 요추부 근 활성도 및 산소 소모량 차이 (Differences of Lumbar Muscle Activity and Oxygen Consumption According to Bike Saddle Height)

  • 최원재;이충호;정지혜;이승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363-36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전거 안장 높이에 따라 요추부 근 활성도와 산소 소모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근골계 장애가 없는 22명의 건강한 남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대상자들은 3가지 다른 안장 높이로 3분씩 자전거를 탔으며 각 조건 별로 10분의 휴식시간을 가졌다. 표면 근전도는 요추부 근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산소 소모량은 휴대용 가스 분석기를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연구 결과 내복사근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산소 소모량은 높은 안장 높이가 최적 안장 높이와 낮은 안장 높이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본 연구는 안장 높이가 건강한 남성의 내복사근 활성도와 산소 소모량에 영향을 미친다고 제안하지만 안장 높이는 요추 안정화 근육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저전력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재사용 컴포넌트의 전력소모 특성 명세 방법 (Energy Characteristic Specification Method of Reusable Component for Energy Efficient Embedded Software Development)

  • 김두환;이재욱;홍장의
    • 소프트웨어공학소사이어티 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55-66
    • /
    • 2011
  • 컴포넌트 기반 개발 방법론은 개발 편의성, 개발에 소요되는 시간, 비용 등의 이점으로 인해 그 적용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일반적인 소프트웨어에 비해 플랫폼 의존성이 높고, 제품 군(product family) 개발이 가능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경우 컴포넌트 기반 개발은 그 유용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형 임베디드 시스템의 경우, 전력 소모량이 적은 소프트웨어 개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에 재사용 컴포넌트의 소모 전력에 대한 특성은 컴포넌트 기반 개발에서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품질요소 중의 하나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재사용 기반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시, 컴포넌트에 대한 소모전력 특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소모전력 특성을 포함하는 컴포넌트 명세언어를 제안한다. 이는 추후 컴포넌트 저장소에서 소모전력 특성을 고려하는 컴포넌트 검색 및 선택 등과 같은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다.

  • PDF

Wi-SUN에서 비동기 RIT 모드 MAC의 전력소모 분석 (Power Consumption Analysis of Asynchronous RIT mode MAC in Wi-SUN)

  • 김동원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23-28
    • /
    • 2023
  • 무선 스마트 유틸리티 네트워크 통신시스템에서는 비동기 저전력 MAC이 IEEE 802.15.4e에 의해 표준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RIT(Receiver Initiated Transmission)라고 불리는 비동기 방식 MAC은 체크인터벌(RIT period)에 따라 지연시간과 전력소모가 크게 영향을 받는 특성이 있다. 체크인터벌 마다 수면에서 깨어나 자신이 수신할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수신단 전력 소모는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지만 송신단에서는 과도한 웨이크업 시퀀스(wakeup sequence)로 전력소모가 발생하는 단점을 가진다. 체크 인터벌을 짧게하여 과도한 웨이크업 시퀀스를 줄이면 너무 빈번한 웨이크업으로 수신단 전력 소모가 많아지게 된다. RIT 비동기식 MAC 기법에서 트래픽 부하와 체크인터벌의 운용에 따른 전력소모 성능을 분석하여 Wi-SUN 구축시 적용코자 한다.

2.4GHz ISM 대역 응용을 위한 저전력 CMOS Fractional-N 주파수합성기 설계 (Design of a Low-Power CMOS Fractional-N Frequency Synthesizer for 2.4GHz ISM Band Applications)

  • 오근창;김경환;박종태;유종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5권6호
    • /
    • pp.60-6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Bluetooth, Zigbee, WLAN 등 2.4GHz 대역 ISM-band 응용 분야를 위한 저 전력 주파수 합성기를 설계하였다. 저 전력 특성을 얻기 위해 전류소모가 큰 VCO, prescaler, ${\Sigma}-{\Delta}$ modulator 등의 전력소모를 최적화하는데 중점을 두고 설계하였다. VCO는 전력소모 측면에서 유리한 NP-core 유형의 구조를 선택하여 위상잡음 특성과 전력소모를 최적화하였으며, prescaler는 정적 전류소모가 거의 없는 동적 회로 기술이 적용된 D-F/F을 사용하여 전력소모를 줄였다. 또한 다수의 로직으로 구성되는 3차 ${\Sigma}-{\Delta}$ modulator는 'mapping circuit'으로 구조를 단순화하여 작은 면적과 저 전력소모 특성을 갖도록 하였다. $0.18{\mu}m$ CMOS 공정으로 IC를 제작하여 성능을 측정한 결과 설계된 주파수 합성기는 1.8V 전원전압에서 7.9mA의 전류를 소모하고, 100kHz offset에서 -96dBc/Hz, 1MHz offset에서 -118dBc/Hz의 위상 잡음 특성을 보였다 또한 spur 잡음 특성은 -70dBc이며, 25MHz step의 주파수 변화에 따른 위상 고정 시간은 약 $15{\mu}s$이다. 설계된 회로의 칩 면적은 pad를 포함하여 $1.16mm^2$이며 pad를 제외한 면적은 $0.64mm^2$이다.

친환경 난삭재 절삭가공기술

  • 김동현;김광선;이춘만
    • 기계저널
    • /
    • 제52권2호
    • /
    • pp.43-47
    • /
    • 2012
  • 현재 난삭재 가공에는 연삭가공기술이 널리 쓰이고 있다. 하지만 연삭가공은 냉각액, 절삭유 등의 소모가 많아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에너지 소모도 크다. 최근에 LAM(레이저 보조가공) 등의 기술개발이 이루어져 기존보다 더 효율적으로 난삭재를 가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글에서는 환경 친화적 난삭재 절삭가공기술 동향에 대해 소개한다.

  • PDF

전력전자기술에서 HVDC MMC기술 현황 (Technical Trends of HVDC MMC in Power Electronics)

  • 김량규;이상중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7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 /
    • pp.389-390
    • /
    • 2017
  • 본 논문은 전압형 HVDC 시스템의 기술 동향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전압형 HVDC 시스템은 무효전력소모가 있고, 전류형 HVDC 시스템은 무효전력 소모가 없기 때문에 시스템의 구성과 제어에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현황을 요약 정리한 논문이다.

  • PDF

수산화라디칼 소모인자를 이용한 자외선/과산화수소공정의 효율적인 운전 조건도출 (Determination of Efficient Operating Condition of UV/H2O2 Process Using the OH Radical Scavenging Factor)

  • 김선백;권민환;윤여준;정유미;황태문;강준원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534-541
    • /
    • 2014
  • 본 논문은 먹는물 처리공정에 적합한 고도산화공정 중 하나인 자외선/과산화수소공정의 효율적인 운전을 위한 최적 운전 조건을 도출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자외선/과산화수소 공정에서 대상물질의 제거효율을 예측하고 그에 따른 운전조건을 도출하기 위한 핵심 인자인 수산화라디칼 소모인자를 보다 쉽고 빠르게 측정하기 위해 새로운 지표물질인 로다민 비(Rhodamin B, RhB)를 선정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기존 지표물질인 para-Chlorobenzoic acid (pCBA)와 비교해 약 1.1% 이하의 오차율로 높은 신뢰성을 가진 것을 확인하였다. 검증된 RhB를 이용하여 측정한 수산화라디칼 소모인자 및 모델링을 통해 대상물질(Ibuprofen)의 제거효율 예측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 실제 실험값과 평균 오차율 약 5% 내외로 거의 일치하였다. 약 8개월간의 자외선/과산화수소공정 파일럿 플랜트 유입수의 수산화라디칼 소모인자 모니터링 결과, 최대 두 배 정도의 차이로 크게 변화하였다. 이 차이는 미량오염물질 중 하나인 Caffeine의 목표 제거율을 만족하기 위한 자외선 에너지를 약 1.7배 증가시켜야 할 정도로 큰 값이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자외선/과산화수소 공정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전하기 위해서는 수산화라디칼 소모인자의 측정이 매우 중요하며, 측정된 소모인자, 자외선 흡광도($A_{254}$), 대상물질의 정보만 입력하면 자외선/과산화수소 공정을 쉽게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MPEG-21 디지털 아이템 적응을 이용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전력 소모 절감 기법 (Power saving in Kand-held multimedia systems using MPEG-21 Digital Item Adaptation)

  • 심호준;조영진;김재민;장래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3권2호
    • /
    • pp.60-75
    • /
    • 2006
  • MPEG-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는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와 장치들이 멀티미디어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MPEG-21의 주요한 목표 중 하나는 서로 다른 기종의 단말기기에서 동일한 가독성을 보여주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streaming)을 지원하기 위해서 디지털 아이템 적응(digital item adaptation, DIA)을 통한 광범위한 멀티미디어 접근성, 다시 말해서 UMA (universal multimedia access)를 구현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MPEG-21 디지털 아이템 적응을 이용하여 단말기기의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을 최초로 소개한다. MPEG-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는 처음부터 단말기기의 전력 소모 절감을 목적으로 설계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단말기기.의 전력 소모에 관련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는 없지만 몇 가지 제한된 정보는 현 시점에서도 이용가능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MPEG-21 디지털 아이템 적응 표준을 따르는 여러 가지 전력 소모 절감 기법들을 제시하고, 각각의 전력 소모 절감 기법들 사이의 상호 의존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소개한 전력 소모 절감 기법들을 단말기기에 적용하면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품질을 거의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소비 전력을 최대 $66\%$까지 줄일 수 있다.

센서 네트워크에서 클러스터 헤드의 load-balancing을 통한 에너지 효율적인 클러스터링 (An Energy-Efficient Clustering Using Load-Balancing of Cluster Head in Wireless Sensor Network)

  • 남도현;민홍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4C권3호
    • /
    • pp.277-284
    • /
    • 2007
  •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에서 라우팅 방식은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 데이터의 전송량을 줄일 수 있는 클러스터링 방식이 사용된다. 하지만 클러스터링 방식은 클러스터 헤드 노드의 에너지 소모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클러스터 헤드 노드의 에너지 소모가 많은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방식으로 클러스터 헤드 노드의 재 선출을 통해 에너지 소모를 분산하는 동적 클러스터링(dynamic clustering)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동적 클러스터링 방식의 경우 클러스터 헤드 노드를 재선출할 때마다 클러스터 구조가 바뀌게 되며, 이로 인한 에너지 소모가 발생한다. 즉 지금까지 연구된 동적 클러스터링 방식은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는 클러스터 헤드 노드 선출 및 클러스터 형성의 셋업(set-up) 과정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반복적인 셋업의 에너지 소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클러스터는 고정하고, 클러스터 내의 클러스터 헤드 노드를 Round-Robin으로 선출하는 RRCH(Round-Robin Cluster Header)방식을 제안하였다. RRCH방식은 한번 구성된 클러스터 내에서 각 센서 노드(sensor node)의 지속적이고 균형적인 에너지 소모를 이루어, LEACH방식처럼 셋업 과정이 반복적으로 일어나지 않게 하는 에너지 효율적인 방식이다. 이 제안의 타당성을 모의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