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맥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32초

작물의 품종 육성을 위한 복교잡 조합 방법과 그 효과 (Effect of Combination Method on the Four Inbred Lines of Double Cross Hybridization for Crop Population Improvement)

  • 맹돈재;성병열;황종진;하용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32-538
    • /
    • 1990
  • 본 연구는 유전 배경과 초형이 다른 추파소맥 4품종을 공시하였으며, 이들 품종들의 조합배열을 감안하여 단교배 6조합, 3원교배 6조합 및 복교배 3조합을 생산하여 각 교잡방법 및 품종교잡 배열순서에 관한 효율성을 비교 분석하여 교잡육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신품종 육성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시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1. 교배양식간 비교에 있어서 복교잡에서 가장 빠른 출수를 보였으며 종실수량도 20.3g으로서 가장 많았는데 3원교배 및 단교배 순으로 감소하였는데, 친품종들이 가장 적은 주당수량을 보였다. 2. 주당수량과 수량구성요소에 대한 4$\times$4 단교배 Diallel 분석은 GCA와 SCA에서 각각 조합능력의 차가 인정되었으며, 또한 SCA 효과중 평균 우성편차도 역시 모든 형질에서 차가 있었다. 주당수량의 GCA효과는 그루밀과 Bezostaya 1이 가장 높았으며, 이들 품종들이 실제 주당수량이 가장 많았다. 3. F$_1$의 SCA효과는 (은파밀/Bezostaya 1)조합에서 4.22로가장 높았고, (그루밀/은파밀) 조합에서 2.00으로 가장 낮았다. 4. 3조합의 F$_1$ 복교잡종중에서 (Lancota/은파밀//그루밀/Bezostaya 1) 조합이 주당수량 24.5g으로서 가장 많았고, 이러한 복교잡에 이용된 단교잡종(그루밀/은파밀)과 (Lancota/Bezostaya 1)의 복교잡에 직접 발현되지 않고 이들간의 염색체 교환방법에 의하여 결합되어 (그루밀/Lancota), (그루밀/Bezostaya 1), (은파밀/Lancota) 및 (은파밀/Bezostaya 1)의 조합이 발현되었으며, 이들의 단교배 F$_1$들의 평균 수량도 많고 SCA 효과도 높았다. 5. 3원교잡 F$_1$의 6조합중에서(Lan./Bez.//은파밀) 조합에서 21.3g으로 가장 높은 수량을 보였는데, 이들의 염색체의 상호 교환 결합에 의하여(Lancota/은파밀)과 (Bezostaya 1/은파밀) 조합이 SCA효과가 가장 컸고 평균 종실수량도 다른 3원교잡의 경우보다 많았다.

  • PDF

한국인을 위한 식품 평균소비량(1990년대) 자료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Average Food Consumption Data for Koreans in 1990s)

  • 이서래;이효민;허근;이미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8-78
    • /
    • 2000
  • 국내에서는 식품수급표와 국민영양조사가 지난 수십년에 걸쳐 두개의 중앙부처에서 각각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근년에 들어와 두가지 통계자료간의 격차가 수용할 수 없는 수준에 도달하고 있다. 그 이유로서는 지난 30년간 공업화 및 도시화에 따른 식습관의 급격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조사방법의 개선이 뒤따르지 못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현재 이용가능한 국민영양조사에 의한 식품소비량 데이타를 식품수급표를 감안하면서 최적화하였다. 최근 1991-95년 기간중 개별 식품항목의 조정 소비량이 곡류, 감자류, 당류제품, 두류, 견과종실류, 과일류, 채소류, 육류, 난류, 우유제품, 유지류 및 수산물에 대하여 제안되었다. 소맥제품, 두류제품, 김치류 및 우유제품을 포함하는 가공식품에서는 그들의 원료성분으로 계산하기 위한 잠정적인 환산계수를 제안하였다. 식품들의 공급량 데이타와 섭취량 데이타 간의 큰 편차는 국민영양조사에서 계절적 차이와 아울러 가공식품 및 외식에 의한 섭취량이 무시되었기때문으로 지적되었다. 여기에서 제안하는 조정된 식품소비량 데이타는 앞으로 새로운 절차에 의한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가 나와 검증될 때까지 평균소비량을 위한 국가대표치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PDF

어분 종류 및 소맥분 함량이 다른 배합사료가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성장과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Different Fish Meal and Wheat Flour Content in Extruded Pellet on the Growth and Apparent Digestibility for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경덕;김동규;정재훈;김강웅;손맹현;이상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32-236
    • /
    • 2011
  • A feeding trial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fish meal and wheat flour contents in extruded pellets on the growth and apparent nutrient digestibility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our extruded pellets (HB1, HB1T, HB2 and HB2T) were prepared using two kinds of high quality brown fish meal and low quality tuna fish meal. Two diets (HB1 and HB2) contained two different kinds of brown fish meal, respectively; in HB1T and HB2T, we substituted 50 % of the brown fish meal with 10 % wheat flour. Three replicate groups of fish (initial body weight of 82 g) were fed the experimental pellets to visual satiation for 15 weeks. The highest weight gain was observed in fish fed HB1, and weight gain of fish fed HB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HB2T (P<0.05). Feeding efficiency for fish fed HB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HB1T and HB2T (P<0.05),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fish fed HB2. Apparent dry matter digestibility in HB1 and HB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HB1T and HB2T (P<0.05). The highest crude protein digestibility was observed in HB1, and protein digestibility in HB1T and HB2 was higher than in HB2T (P<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ish meal quality considerably affects growth and nutrient digestibility of olive flounder fed extruded pellets, and the use of HB1 is recommended over HB1T, HB2 and HB2T for efficient olive flounder production.

다양한 형태의 곳체다슬기 (Semisulcospira gottschei) 치패용 배합사료에 대두박과 소맥분 이용성 (Utilization of Soybean Meal and Wheat Flour in Different Types of Diets for Juvenile Snail (Semisulcospira gottschei))

  • 황규덕;김이오;박종호;방인철;김경덕;장현석;이상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54-457
    • /
    • 2003
  • A feeding trial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of dietary soybean meal and wheat flour as substitutes for fish meal and alginate in different dietary types (powder, pellet and flake) for juvenile snail (Semisulcospira gottschei). After 10 weeks feeding trial, survival was not affected by formulation and type of diets (P>0.05), but weight gain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dietary formulation (P<0.001) and type (P<0.05). In the same dietary formulation, weight gain of the snail fed the flake type of diets was lower than that of the snail fed the powder or pellet types. However, the type of diet did not affect weight gain when snail fed diets containing $37\%$ soybean meal and $18\%$ alginate. The weight gain was lower in the snail fed diets containing $25\%$ fish meal compared with that of the snail for diets containing $33-37\%$ soybean meal at the same dietary type. When soybean meal was used as main protein source in diets, weight gain was not affected by dietary alginate $(0\;and\;18\%)$ and wheat flour $(36\;and\;58\%)$ contents. Crude protein and ash contents of whole body of the snail was not affected either by formulation or by type of diet. Moisture and crude lipid contents of the whole body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dietary formulation, but not by the typ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25\%$ fish meal could be replaced by $37\%$ soybean meal as dietary protein source, and pellet and powder could be desirable dietary type for the optimum growth of the snail.

미생물(微生物)을 이용(利用)한 대두단백질분해이용연구(大豆蛋白質分解利用硏究) (Studies on the Digestion of Soybean protein by Aspergillus sojae)

  • 김재욱;조무제;김상순;이춘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2권
    • /
    • pp.19-24
    • /
    • 1969
  • 우리나라에서 많이 생산(生産)되고 특히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이 많은 대두(大豆)로 부터 단백질(蛋白質)을 용출(溶出)하여 새로운 대두식품(大豆食品)을 만들고저 증자대두(蒸煮大豆)에 적당량(量)의 밀을 가(加)하여 Aspergillus sojae를 접종배양(接種培養)시켜 이것이 분비(分泌)하는 Portease에 의(依)하여 대두중(大豆中)의 단백질(蛋白質)을 Amino 산(酸) 내지 peptide형태(形態)로 분해용출(分解溶出)시키는데 있어서 최적용출조건(最適溶出條件)을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원료배합(原料配合)(대두(大豆)+소맥(小麥))비(比)에 따른 단백질용출량(蛋白質溶出量)은 단위(單位) 원료당(原料當) 총용출단백질양(總溶出蛋白質量)은 콩만을 원료(原料)로한 것이 가장 많았고 용해율(溶解率)은 양자 등양배합비(等量配合比)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나 총용출단백질양(總溶出蛋白質量)과 용해율(溶解率)을 더하여 생각할 때 콩과 밀이 10:4의 배합(配合)이 가장 적당하다. 2. 가수량(加水量)에 따른 단백질 용출량(溶出量)은 가수량(加水量)이 많을수록 용출량(溶出量)도 많았으나 용출후(溶出後) 농축(濃縮)할 것을 고려하면 6배(倍)(V/pH) 정도의 가수량(加水量)이 적당하다. 3. 소화(消化) pH는 $5{\sim}8$ 정도로 하는 것이 용출량(溶出量)이 높으며 보통의 수도물을 그대로 사용함이 용출후 중화의 필요성이 없으므로 적당하다. 4. 소화온도(消化溫度)는 $40{\sim}45^{\circ}C$ 용출기간(溶出期間)은 18시간(時間)이 적당하다. 5. 식염첨가(食鹽添加)는 부패방지기간(腐敗防止期間)을 연장시킬 수 있으나 단백질용출량(蛋白質溶出量)은 감소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6. 상기(上記)의 최적 조건으로서 시료중(試料中)의 총단백질(總蛋白質)에 대(對)하여 70%까지 용출(溶出)이 가능하였다.

  • PDF

소맥엽의 섭취가 Streptozotocin 유발 당뇨 흰쥐에서 혈중 포도당 및 지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iticum aestivum sprout on Blood Glucose and Lipid Levels in the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 이선희;임성원;이영미;강천식;정연근;박철수;송봉준;김대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012-1018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unctional effect by diets of Triticum aestivum sprout (TA) on the levels of blood glucose and lipid profiles in streptozotocin(STZ)-induced diabetic mice. Diabetes mellitus were induced by STZ intraperitoneal injection (50 mg/kg) into the male Balb/c mice. All mice fed AIN-93 diet for 3 weeks. Mice were divided to 4 groups: normal, diabetic control and two experimental groups (TA 5.0, diet with Triticum aestivum sprout 5.0% w/w; TA 2.5, diet with Triticum aestivum 2.5% w/w). The blood glucose level was decreased by TA intake in diabetic mice in the dose-dependant manner; 21.34% and 35.77% in TA 2.5 and TA 5.0 groups. The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ratio also were improved by TA intake compared with DM group. The weight gain was increased 1.28 and 1.09 folds in TA 5.0 and TA 2.5 groups, respectively. The weight of organs, including liver and kidney, was reduced but that of spleen and abdominal fat was increased by TA intake. Moreover, TA treatment increased the level of HDL but decreased the level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in the blood of diabetic mice. The blood of HbA1c also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out changing hematocrit by TA treatment compared with DM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e TA intake has the functional effects attenuating blood glucose and plasma lipid levels in insulin-dependent diabetes.

버섯재배용 배지재료의 성분분석 (Composition analysis of raw material constituting the medium for mushroom cultivation)

  • 김선영;정민화;김민근;임착한;김경희;김태성;김동성;정종천;홍기성;류재산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08-213
    • /
    • 2013
  • 버섯의 혼합배지에 사용되는 배지원료의 아미노산과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순단백질(아미노산) 함량은 대두박이 44.02%로 가장 높았고, 건비지가 31.5, 면실박이 30.6%로 나타났다. 주요 질소원 배지지료의 비단백태질소화합물(NPN)의 조단백질에 대한 비율은 대두박이 2.4%, 건비지는 5.6%였지만, 탄소원 배지재료인 미강과 밀기울은 17.6%로써 높았다. 조단백질/가격(원)은 채종박이 6.0으로 가격대비 조단백질량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균사생장에 관여하는 가용성무질소물(NFE)는 알파콘이 72.9%, 소맥피B가 57.2%로 높았다. 산성세제불용섬유(ADF)는 콘콥이 51.88%로 높았는데, 잣버섯 등 갈색부후균이 이용하기 어려운 리그닌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고구마를 이용한 된장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prepared with sweet potato)

  • 차수진;박서라;김동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21-229
    • /
    • 2017
  • 된장 담금시 소맥분의 일부를 고구마로 대체하여 고구마가 된장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된장의 효모수는 발효 4주 이후에 감소하였고, 호기성 세균은 발효 후기에 증가하였다. Amylase 활성은 발효 8주 이후에 증가하였고, 발효 중에 산성 protease는 감소하였으나 중성 protease는 높은 활성을 유지하였다. 색도는 발효중 L 값과 b 값은 저하하였으나 a 값은 증가하였다. 된장의 pH는 발효 10주까지 저하하였고 적정산도는 고구마 혼합구에서 낮았다. 산가는 밤고구마 혼합 된장에서 높았으며, 발효가 진행되면서 된장의 수분활성도와 산화환원전위는 저하되었으나 시험구간의 차이는 없었다. 환원당은 발효 2-6주 이후에 감소하여 고구마 혼합구에서 낮았고, 알코올은 2주 이후에 서서히 감소하였다. 된장의 아미노산성과 암모니아성 질소는 발효 중에 증가되어 각각 10주와 12주에 최고에 달했다. 12주 발효된 된장의 기호도는 맛과 향기,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밤고구마 8% 혼합구가 대조구나 호박고구마 혼합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양호하였다(p<0.05).

3T3-L1 세포에서 소맥엽 에탄올추출물의 지질생성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Triticum aestivum Ethanol Extract on Lipid Accumulation in 3T3-L1 Preadipocytes)

  • 이선희;신명걸;;차지윤;임지영;권세욱;임성원;서주원;김영호;김대기;이영미
    • 약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478-484
    • /
    • 2011
  •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s known to be frequently associated with obesity and type 2 diabetes. We examined the effects of EtOH extracts from Triticum aestivum on lipid accumulation during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to screening the candidate materials in preventing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The lipid level in adipocytes was determined by Oil Red O staining. The treatment of 50% ethanol, but not water and 100% ethanol extracts, from Triticum aestivum at concentration of 0.5 $mg/ml$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in 3T3-L1 cells, revealing no cell toxicity. Thus, the fractions of $CH_2Cl_2$, EtOAc and BuOH were separated from 50% EtOH extract to characterize anti-adipogenic effect. The $CH_2Cl_2$ fraction at concentration of $50{\mu}g/ml$ effectively inhibited the lipid accumulation in the adipocytes compared to those of EtOAc and BuOH at concentration of $50{\mu}g/ml$. The intracellular triglyceride accumulation also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treatment of $CH_2Cl_2$ fraction in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the $CH_2Cl_2$ fraction attenuated the intracelluar level of fatty acid synthase(FAS) accompanied by attenuated expression of Peroxidas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_2Cl_2$ fraction from 50% EtOH extract of Triticum aestivum may has the potent anti-adipogenic effects by inhibiting the transactivation of $PPAR{\gamma}$.

대두분과 청국장분 첨가가 제빵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ybean Powder and $Chungkukjang$ Powd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 고은숙;이원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3-228
    • /
    • 2012
  • 대두분과 청국장분은 소맥분에 비해 조단백질(44.6%)이 약 3~4배, 회분(5.4%)은 15~18배, 조지방(18.4%)은 8~11배, 섬유소(12.2%)는 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arinograph에서는 대두분과 청국장분의 첨가량을 증가함에 따라 수분흡수율이 증가하였으며, 형성 시간은 대조구에 비해 청국장분 혼합율이 증가함에 따라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반죽의 힘이나 강도의 지표가 되는 반죽의 안정도에서는 대두분과 청국장분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안정도가 감소되었다. 대두분과 청국장분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부피가 감소하였으나, 빵의 무게는 무거워졌다. 빵 단면(bread crumb)의 색상은 대두분과 청국장분 함량이 5%, 10%, 20% 증가함에 따라 색의 밝은 정도를 나타내는 명도(lightness)값은 점차 감소하여 어두워지는 경향을 나타냈고, 적색(redness)과 황색(yellowness)값은 약간씩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시 결과 색, 향, 조직감, 맛과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대두분 10%, 청국장분 5% 첨가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