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매디자인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7초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이 창업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유정헌;배병윤;전기석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3-9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한국디자인진흥원의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낮은 창업기업을 중심으로 경영성과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KIDP의 2013년 통계에 따르면 제품 판매에 미치는 요소 중 디자인이 27.5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기업 규모에서는 대기업과 중기업에 비해 소기업이 제품판매에 미치는 요소 중 디자인 요소가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번 연구를 위해 수집한 데이터의 업종별 추이를 살펴보면 기술 기반 업종이 도 소매업을 비롯한 기타 업종에 비해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어려운 경영여건에서도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KIDP로부터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을 받은 기업 중 186개(2013년, 2014년, 2015년)를 대상으로 업력이 7년 이하인 창업기업과 업력이 7년 이상인 계속기업의 경영성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우수디자인제품 선정기업 중 디자인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제조업과 비제조업 간의 경영성과(매출액)의 차이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KIDP의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효과가 있는지를 선정연도를 전후 비교하여 "창업기업이 계속기업에 비해 경영성과(매출액)에 더욱 긍정적 효과를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한 결과는 창업기업이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이 제조업과 창업기업 내의 제조기업 경영성과에도 유의미한 영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 PDF

Development of New Hanbok Jeogori Prototype

  • Cha, Su-Joung;Heo, Seung-Yeun;An, Myung-So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8호
    • /
    • pp.113-125
    • /
    • 2021
  • 본 연구는 신한복 저고리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통해 추출된 신한복 저고리 디자인을 기본으로 하여 신한복 저고리 원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선정된 K패턴을 기본으로 하여 진행되었으며, 외관평가에 대한 분석은 SPSS 27.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1차 외관평가 및 의복압 평가 결과, 어깨부위의 수정이 요구되어 어깨끝점을 1cm 줄여 진동둘레를 다시 정리하였다. 소매길이와 둘레의 수정은 소매길이를 1.5cm 줄이고 소매둘레는 양쪽 끝에서 0.5cm씩 줄여 주었다. 2차 평가결과, 저고리길이와 밑단둘레, 소매길이에 대한 수정이 요구되어 앞뒤저고리길이와 소매길이를 1cm 줄여 주었다. 밑단둘레는 프린세스라인에서 각각 0.2cm씩 줄여 총 1.6cm를 줄여 최종 평가에서는 높은 평가를 받았다. 향후 연구에서는 소재별, 길이별, 연령별 패턴 연구를 실시하고 실제 착의실험을 통한 수정사항 도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17세기$\sim$19세기 남성 재킷류의 소매패턴 연구 (Study on Sleeve Patterns of Men's Jackets from 17C to 19C)

  • 박상희;최정욱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5-115
    • /
    • 2008
  • Men's outer wear, such as jackets and coats appeared since the 16th century. They have been changed from doublets, coats, justaucorps, tail-coats, frock coats and morning coats to contemporary men's suits. Since the early 17th century, sleeve patterns of men's outer jackets had been mostly two-pieces close fitted pattern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mpare sleeve patterns of various jackets, which appear in various historic costume books. Armhole measurements, sleeve head measurements, amounts of ease, armhole depths, armhole widths, crown heights, sleeve width and sleeve angle had been compar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among patterns of different times and styles. Coming to the present, the difference between top sleeve and under sleeve became more obvious, and the sleeve angle became less curvy. Another interesting point is that there had been considerable amounts of ease,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sleeve head measurements and corresponding armhole measurements. It is because the sleeve has been attached to the armhole not by seam but by string. It is believed that the present sleeves have more natural curve and shape compared to the past.

  • PDF

재킷 디자인의 입체와 평면 패턴분석 및 외관 적합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Wearing Fitness of Jacket Design and Analysis of Flat Pattern and Draping)

  • 서완석;김숙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1-113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draping and flat pattern according to jacket design, and provide basic materials for developing a jacket pattern that can enhance fitness, functionality, and aesthetic expression of clothes by reflecting esthetic expression of draping and efficiency of flat pattern at the same time. For the experimental jacket designs of a one-piece sleeve jacket and a two-piece sleeve jacket were selected among the entries of the designer Rubina for 2014 F/W Seoul Fashion Week. Designer brand Rubina usually produced clothes using draping and the designer brand company provided the experimental patterns for the study. We also had flat patterns of the same design and size specifications designed by a flat patternmaker who has 30 year-experience in flat pattern like Rubina. The test apparel jacket was made of 20's cotton yarns. Three models wore the jackets and evaluation on appearance fitness was conducted by 7 members in an expert panel group from August 10, 2015 to September 10, 2015. As a result of appearance fitness analysis on one-piece sleeve jacke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4 items among 17 items in terms of overall appearance. The appearance of jackets by draping had higher score than those using flat pattern. As for two-piece sleeve jacke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7 items among 17 items related to overall appearance. As for the items related to sleeve, 5 items out of 13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Except for one item, appearance of jackets using draping had higher score than flat pattern. As for motion fitness, draping was evaluated to be more comfortable. Applying the items with high scores in appearance and motion fitness in draping to flat pattern, The study suggests a new jacket pattern development that would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consumers for future research.

  • PDF

박물관 문화상품을 위한 플랫폼의 상호경험디자인에 대한연구 -선양고궁박물관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Interactive Experience Design of Museum Cultural Product Customization Platform -Focusing on Shenyang Palace Museum)

  • 임시뢰;반영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85-200
    • /
    • 2022
  • 박물관 문화 콘텐츠의 혁신적 개발은 박물관이 소장품을 이용하여 문화의 전파 기능을 강화하는 중요한 방법이다. 사람들의 소비 수준이 늘어나고 업그레이드화됨에 따라 전통적인 문화 콘텐츠 디자인과 판매 방식은 날로 늘어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고는 박물관 문화 콘텐츠의 맞춤형 체험 플랫폼 구축을 제안하여 박물관 문화 콘텐츠의 개발을 촉진하고 박물관 문화의 전승과 보호를 도모하려 한다. 본고의 연구방법은 선행연구를 정리하고 분석하여 기존의 플랫폼 모델과 특징을 분석하고 설문지 159부를 배포하여 문화 콘텐츠 소비자들의 욕구를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요구에 따른 맞춤형 체험과 현존하는 인터넷 소매 플랫폼과 결합하여 이론적 틀을 만들었으며 선양 고궁박물관을 중심으로 실험을 설계하고 가용성 테스트를 진행했다. 연구결과를 보면 문화 콘텐츠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의 수요도가 비교적 높았다. 맞품형 플랫폼을 이용한 디자인은 박물관 문화 콘텐츠의 확산과 확대를 촉진하며 사용자의 경험을 최적화하여 박물관의 콘텐츠 개발과 디자인, 소매 등에 새로운 생각을 부여한다. 따라서 본고는 박물관의 문화 콘텐츠 개발은 맞춤형 플랫폼에 따라 소비자들의 특성에 맞춰 소비자들의 서비스 경험을 더욱 향상할 것으로 기대한다.

한 후의 현대적 의미 (Modem Meaning of Han Chinese Clothing(韓服))

  • 호위;이은영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9-109
    • /
    • 2009
  • 한 후란 중국의 전통 복장을 말하는 것이다. 한 장 (漢裝) 이라고도 하며 고대 복장이라고도 한다. 영어로는 silk robe라고도 한다. 한 후는 한 나라 이후 명나라까지 만주가 정복하기 전인 1644년까지 입혀졌던 중국의 전통복장이다. 최근 중국에서도 전통복장에 대한 새로운 모색이 일어나고 있다. 중국 전통복식으로 대표되는 치파오는 만주족의 한족 말살 정책의 일환으로 간소화시킨 복식이다. 따라서 중국 전통의복은 만주족에 의해 사양길을 가기 전 고대 한 조의 복식이 중국전통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전통적인 한 후 스타일은 벨트를 매며 여밈이 있고 좁은 소매 혹은 넓은 소매가 특징이다. 한 족이 한 나라, 상 왕조, 송나라, 당나라때 입었던 한 후가 중국의 복식을 대표하는 복식이며 주나라의 쉔의는 튜닉과 스타일의 결합으로서 아직도 상류그룹이 입고 있다. 당나라에서는 동방의 문화와 혼합되어 화려하거나 사치스럽게 수정되었고 만주가 침범하여 한 후는 더 이상 전통복으로 입히지 못하였다. 한 후의 현대적 의미를 볼 때 역사적으로는 베트남에서 기모노에 이르기까지 그 원형을 볼 수 있고 한 후를 통해 중국전통 복식의 원류를 찾을 수 있다. 연구방법으로 문헌과 시각자료를 활용하였다. 한 후의 현대적 의미는 전통의 새로운 자각과 세계화 현대화의 노력이라 할 수 있다. 치파오로 규정된 중국복식에 반해 전통 한 후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활용은 세계화와 오리엔탈이미지에 녹아 있는 한 후 디자인 디테일을 통해 현대적 모색을 활용하고 있다. 충분한 시각 자료가 부족하지만 현대적 노력이 앞으로의 중국이미지의 재고를 가져올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New Hanbok Cheollik One Piece Prototype

  • Cha, Su-Joung;An, Myung-Sook;Heo, Seung-Ye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0호
    • /
    • pp.125-137
    • /
    • 2021
  • 본 연구는 신한복 철릭 원피스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통해 추출된 신한복 철릭 원피스 디자인의 신한복 철릭 원피스 원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신한복 철릭 원피스 생산의 기초가되는 패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시판 철릭 원피스 패턴 비교에서 우수한 것으로 선정된 D패턴을 변형하여 실험의 패턴을 제작하였다. 패턴에 대한 외관평가 분석에는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외관 및 의복압에 대한 1차 평가 결과, 어깨, 소매길이, 치마길이, 소매통의 수정이 요구되어 소매길이는 8.0cm를 줄이고 소매통은 총 1.0cm를 줄여 주었다. 치마길이도 5.0cm를 줄이고 어깨끝점을 양쪽에서 0.5cm 안으로 들여 어깨폭을 줄여 주었다. 2차 평가결과, 허리부위, 소매통, 치마 주름에 대한 수정이 요구되어 허리 2.0cm, 소매통 1.0cm를 줄여 주고 앞중심과 옆선 부위 주름을 제거하여 최종 패턴은 높은 평가를 받았다. 1차, 2차, 3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소재와 연령에 따른 철릭 원피스 원형 연구와 실제 제작된 의복의 착의실험을 통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문화경제의 발현과 확산의 공간적 특징: 북촌의 창의적 소매업을 중심으로 (Spatia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Economy Emergence and Diffusion: Creative Retail Shops in Bukchon)

  • 이경옥;이금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3-3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인 요소가 응집되어 있는 북촌지역을 사례지역으로 지역의 문화가 경제적인 공간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한다. 북촌은 조선왕조의 고궁과 많은 역사적인 문화재, 전통한옥들이 남아 있고, 현대적 미술관과 박물관들이 들어서 있어 전통문화와 현대문화예술이 공존하는 곳이다. 최근 이 지역에는 문화와 직 간접적으로 연관된 경제활동들이 들어서면서 경관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북촌 지역에 입점하고 있는 문화와 관련된 창의적 수제품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소매점들이 이곳에 입지하는 이유가 이지역의 장소성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으며, 그 입지적 특징은 무엇인가를 밝혀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서화된 통계자료의 활용과 함께 이곳 소매점 업주들을 상대로 한 심층면담조사를 실시하여 통계자료에 나타나지 않는 구체적인 자료를 확보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곳에 입점하고 있는 창의적 소매점들이 이곳에 입점한 주 이유는 전통과 현대의 풍부한 문화적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북촌 지역의 장소성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들이 북촌에 소매점을 개점한 가장 큰 이유는 북촌에 내재되어 있는 문화요소와 그에 따른 경제적 가치 때문이다. 이곳에 소매점을 내고 있는 업주들은 전반적으로 고학력이며, 많은 경우 외국에서 디자인을 공부하고 돌아와 이곳에 본인의 창의적 문화상품을 제작하는 작업장을 겸하여 점포를 내고 있다. 그들이 북촌에 입점한 이유는 북촌의 장소성을 그들이 제작하는 제품의 가치 창출에 영향을 주는 문화자본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그들은 작가주의에 입각하여 자신이 직접 디자인하여 손수 제작한 작품을 소량 생산하여 판매하는 유연적인 전문적 생산의 전형을 이룬다. 이곳에 입지하고 있는 점포에서 판매되는 대부분의 제품은 기획 생산 유통 과정이 장소와 밀접히 통합되고 있다. 이들은 초기에는 주요 통행로인 삼청동길을 따라 입점하고 확산되었으나 최근에는 통행량이 적은 이면도로인 화개길을 따라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현재도 계속 진행 중이며, 북촌이 지니고 있던 기존의 장소성에 작가주의에 입각한 문화상품을 생산 공급하는 개성있는 상점들이 입지하여 문화와 경제가 접목된 독특한 문화경제경관을 형성해 가고 있다.

  • PDF

생체신호 모니터링 스마트 의류의 디자인 연구 -심전도 센싱 의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sign of Smart Clothing for Vital sign Monitoring -Based on ECG Sensing Clothing-)

  • 조하경;조현승;구수민;송하영;강다혜;이주현;이정환;이영재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23-126
    • /
    • 2009
  • 최근 생체 신호 센싱 기능의 의류가 연구 개발되어 왔으나, 생체 신호 측정 시 착용자의 동작에 의한 치명적인 잡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보고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심전도 센싱 의류를 기반으로 생체 신호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착용자의 동작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심전도 센싱 스마트 의류의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일자형 절개 타입', '십자형 절개 타입', '엑스형 절개 타입', '곡선 엑스형 절개 타입'의 총 네 가지 타입의 생체신호 센싱 스마트 의류의 시안을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디자인 시안은 민소매 형태의 남성용 티셔츠로 신축성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인체 굴곡을 따라 의복과 전극이 밀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트랜스미터를 이용하여 메인 컴퓨터로 데이터가 무선 전송되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4 가지 의류 타임을 기반으로 인체의 정지 및 동작 상태에서의 심전도 센싱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동작에 따른 전극의 변위를 측정하고, 심전도 측정 평가를 실시하여 SNR을 분석하였다. 본 실험 곁과를 반영하여 의류 디자인 시안의 수정 및 보완 과정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 동작 잡음을 최소화하는 생체신호 센싱 스마트 의류 디자인 모형을 제시하였다.

  • PDF

지속적인 가치 유지를 위한 화예디자인 패키징의 소비자 요구에 관한 연구 -소비자와 공급자의 설문 조사 분석 중심으로- (A Study on Consumer Needs of Sustainable Floristry Packaging : Focused on the Survey Analysis of Consumers & Suppliers)

  • 안혜경;김흥렬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1호
    • /
    • pp.25-44
    • /
    • 2019
  • 본 연구는 소매 샵에서 꽃다발 패키징의 필요성과 효용성에 대해 소비자와 공급자의 이견이 있음을 인지하고 지속적인 가치 유지를 위한 화예디자인 패키징의 소비자 요구를 설문형식을 이용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도입에서는 화예디자인의 이해와 지속 가능함에 대한 것을 고찰하였다. 설문은 일반적 구매 형태, 패키징 관련 문항 그리고 소비자와 구매자의 프로필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소비자 대상은 목동 대단지 아파트의 중류층 주민들과 목동 외 소수 소비자와 직장인들이었으며 공급자는 전국에서 현재 활동하는 플로리스트였다. 그들의 요구 공통점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한 효과적이고 전략적인 패키징의 방향을 제시하여 비즈니스 모델로 제시하였다. 향후 조사 연구 결과는 패키징 디자인을 제작하고 보급하는데 기초가 될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