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규모 학교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초

소규모 유치원.초등학교의 성립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대도시 고밀도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priety of Minimum-sized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 윤천근
    • 교육시설
    • /
    • 제5권1호
    • /
    • pp.18-32
    • /
    • 1998
  • This study is the consideration of related characteristics between infants of the kindergarten and the lower level children of the elementary school. The characteristics of infant's growth show the homogeneous and successive peculiarity in the aspects of physical, intellectual, emotional, language learning and social develop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moulding expression show similarity in developmental stage. So, It is proper that the mini-school for the lower level students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could be built as the branch unit of neighbourhood.

  • PDF

우리나라 적정규모학교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조사 연구 - 서울시 소규모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A basic research on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proper school size policy in Korea - Focusing on small elementary school in Seoul -)

  • 윤용기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8권1호
    • /
    • pp.27-37
    • /
    • 2019
  • 본 연구는 서울시 교육청의 학교수용계획 수립의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18년 10월 서울시 전체 11개 지원청 25개 구 607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최근 30년간의 재학생수 증감추세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특히 53개 서울시 소규모학교에 초점을 맞추어 8개 학교수용계획요소와 재학생수 증감추세와의 상관성 유무를 조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설립정책'이 단기적 요법이 아니라 중장기적인 예측 가능한 지속가능한 정책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8개 요소중 '노후단독주택밀지역과 공간적 고립지역 위치' 등에서는 매우 높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소규모 아파트단지 밀집'이나, '임대아파트단지 소재' 또한 상관성이 높아 보인다. 넷째, '공동통학구역, 아파트단지 재건축, 상업업무지역 연접' 등의 계획요소도 어느 정도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농어촌 소규모학교의 통합 전후 교육여건 비교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Analysis about the Pre to Post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Integrated Small Schools in Rural Area)

  • 조창희;이화룡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3-11
    • /
    • 2015
  • Nowadays, the number of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 has decreased significantly. For this reason, there are mixed classes among students of different grades in schools in rural area. Moreover, there are several teachers who teach two and more subjects except for the major of teacher so educational environment has been deteriorated. To tackle this problem,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suggested merging small schools in rural area. However, some people believe that merging small schools would make educational environment more worse and would not solve this problem. To solve this problem,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proper solution for educational environment of merging small schools through surveying environment of merging schools.

아파트 저층부를 활용한 소규모 초등학교 건축계획 가능성에 대한 검토 (A Study on the Planning of Elementary Mini School Using the lower part of the Apartment)

  • 오병욱;이재훈
    • 교육시설
    • /
    • 제13권4호
    • /
    • pp.5-1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odel plan for a mini school using the lower part of the apartment. In order to reach this model, firstly, the existing condition of over populated schools is analyzed, secondly, the Proper size and planning module for a mini school are suggested through the analysis of 7th national curriculum for the education, and thirdly, the model plan for a mini school is suggested using the apartment under construction. Mini school will be expected to solve the problems from over populated schools, and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 for the primary students.

지역사회 개방형 학교도서관의 배치유형과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 and Space Composition of School Libraries that are Open to Public)

  • 공순구;박지훈;신한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17-340
    • /
    • 2012
  •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도서관 접근성 향상을 위한 지역 개방형 학교도서관에 대한 연구로서 기존의 학교도서관으로 이용하던 시설일부를 개방하여 지역주민에게 공공도서관의 소분관으로 제공함으로써 도서관접근성 향상 및 지역주민의 평생교육 제공에 목적을 갖는다. 또한 공공도서관의 이용활성화를 통해 국민생활의 정보이용 복지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대한 논의로 교육과학기술부와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에서는 도서관 접근성 향상 및 활성화를 위한 대책으로 공공도서관의 분관에 속하는 소규모도서관과 작은 도서관 확충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역에 거점도서관의 소분관 설치 증가도 의미는 있겠지만 지역주민의 접근이 용이한 학교도서관에 같은 기능을 접목시켜 설치할 경우 도서관 조성시 대지 및 공간확보에 대한 예산을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학교도서관 자체의 질적 향상 또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학교도서관은 기능과 성격이 공공도서관과는 차이가 있으므로 학교도서관을 지역개방하여 활용할 경우에 대한 공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학교도서관을 지역사회에 개방하기 위한 배치와 규모 그리고 공간구성에 지향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조성될 개방형 학교도서관이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구미시와 의성군 소규모초등학교의 재편성 방향에 관한 기초적 연구 (A Basic Study on the Directions for Reorganization of Small Elementary School in Kumi and Uiseong)

  • 양금석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33-40
    • /
    • 2012
  •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actual conditions of small elementary school facilities in depopulation areas.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present the directions for Reorganization of small school facilities. Research area was kumi and uiseong, the number of students decreased rapidly. And small elementary school facilities were surveyed. The results are as the follows; 1)After consider living zone, commuting distance, opinions of residents, it is advisable that the small size school(the number of students under 60) will be combined stronghold school. 2)In the case of relocation, first of all, should consider the characteristic of living zone, exchanging training programs between elementary schools. 3)The closed school facilities will be used consistently as public facilities with priority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 and users' dem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