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센서 위치 인식

Search Result 612,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Positioning System for Mobile Robot using Hall Sensor (홀센서를 이용한 이동로봇의 위치인식 시스템)

  • Kim, Eui-Sun;Lee, Chang-Ki;Kim, Ki-Jung;Kim, Won-Ho;Park, Ju-Yong;Lim, Hyung-Kyu;Park, Se-W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1754-1755
    • /
    • 2007
  • 영구자석을 사용한 마커가 설치된 자기장 이동 경로에서 이동 로봇의 경로 인식을 위한 위치인식 시스템이다. 저가의 홀센서를 일정 간격의 열로 배치한 센서를 설계 제작하고, 그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마커의 자계 값을 이용하여 경로상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커의 극성을 인식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 인식된 극성을 코드화하여 경로상의 특이점들에 배치함으로써 경로 이동 중에 그 점들의 위치를 인식하도록 하였으며, 로봇은 그 위치에서 미리 정해진 행동을 하도록 프로그램 하였다. 센서들 간의 통신 방법을 논하였고, 각 센서들에서 얻어진 정보로부터 이동 로봇의 경로상의 위치인 측방향 변위 오차와 방향각 오차를 기하학적으로 산출한다.

  • PDF

Grid Sensor Network for Vehicle Location Awareness in the Airport (공항 내 이동체 위치 인식을 위한 그리드 센서 네트워크)

  • Ryu, Won-Sang;Yang, Jung-Kyu;Roh, Hyoung-Hwan;Seo, Ki-Won;Kim, Jong-Cheol;Jeong, Myoung-Sub;Park, Jun-Seok;Oh, Ha-Ryoung;Seong, Yeong-Ra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1418-1419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그리드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항 내 이동체 위치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드 센서 네트워크는 공항에 격자형으로 다수의 센서를 설치하여 이동체의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이다. 격자 형태로 설치된 센서들은 이동체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이동체 식별정보 및 위치 측정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고 중앙 서버로 전송한다. 중앙 서버에서는 수집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이동체들의 위치를 계산하고 추적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공항 내 이동체 위치 인식과 관련된 몇 가지 기술들에 대하여 살펴보고, 제안하고자 하는 그리드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 인식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 PDF

Development of Monitoring Function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Localization Data of Sensor Network (전력선 통신과 센서네트워크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모니터링 기능 개발)

  • Kwon, Seong-Ki;Lee, Ho-Cheol;Lee, Soon-Yi;Lee, Dong-My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a
    • /
    • pp.85-88
    • /
    • 2010
  • 본 논문은 센서네트워크 환경에 설치된 전력선통신 기반 영상 송수신 장치의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기능과, CSS기반 SDS-TWR Ranging을 지원하는 센서모듈로부터 거리정보를 수신하여 제안하는 위치인식 알고리즘을 적용시키고 이동노드의 위치정보를 보여주는 모니터링 기능을 개발하였다. 전력선통신 기반 영상 송수신 장치는 장소의 제약 없이 전기 플러그가 있는 곳이면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고, 주변의 상황을 확인하기 어려운 센서모듈의 단점을 보완하였다. 그리고 제안한 위치인식 보정 알고리즘은 SDS-TWR의 위치인식 오차 116.8cm를 80.5cm로 위치인식의 성능을 향상시켰으며, 대부분의 위치인식 오차가 1m 내외로 보정함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모니터링 기능은 센서 네트워크 및 다양한 환경에서 적용이 가능하여 위치인식 시스템의 서비스 품질의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elf-Localization of Mobile Robot Using Multi-Sensor (다중센서를 이용한 모바일 로봇의 자기위치 인식)

  • Kim, You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9.01a
    • /
    • pp.125-128
    • /
    • 2009
  • 모바일 로봇이 자기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기위치인식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초음파 센서만을 이용한 위치인식 기술의 난제와 카메라 즉, 영상처리만을 이용한 위치 인식 기술의 난제를 두 가지 기술의 융합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Distributed localization using Bayes' rule in wireless Sensor Networks (베이즈 이론을 이용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 인식 기술)

  • Kong, Young-Bae;Park, Gui-T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1821-1822
    • /
    • 2007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위치인식 기술은 데이터 수집, 라우팅, 위치기반 서비스와 같은 기술에 필수적인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베이즈 이론을 이용한 그리드방식의 분산형 위치 인식기술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센서 노드들이 받은 신호세기를 바탕으로 하여 그리드를 구성해서 베이즈 이론을 이용하여 가장 큰 확률을 갖는 그리드를 자신의 위치로 인식하는 방식이다. 우리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기존의 방식보다 제안된 알고리즘이 정확한 위치를 갖으며, 더욱 효율적인 연산을 수행함을 알 수 있다.

  • PDF

Performance Improvement of Magnetic Position Sensor for Unmanned Autonomous Vehicle Based on Magnetic (자계기반 무인주행 차량용 자계위치 인식센서 성능 향상)

  • Kim, Jeong-Hwan;Joo, Chil-Kwan;Ryoo, 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8.04a
    • /
    • pp.163-16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자계기반 무인주행 차량용 자계위치 인식장치의 성능향상에 대하여 다룬다. 자계위치인식장치는 자석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기존의 자계위치인식장치는 센서사이에 자석이 놓여있는 경우 자석의 위치를 검출하지 못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는 자석의 위치검출 정밀도가 떨어지고 차량이 무인주행 시 조향각 오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자계위치 인식장치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센서사이의 자석위치도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의 유용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실험을 행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 PDF

무선 센서 네트워크와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이동로봇의 실내 위치 인식 기술

  • Park, Jong-Jin;Cheon, Chang-Hui;Choe, Gyu-Sik
    • ICROS
    • /
    • v.16 no.1
    • /
    • pp.35-43
    • /
    • 2010
  • 본 연구에선는 먼저 무선 센서 네트워크와의 연동물을 통해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로봇의 인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이 중 구조가 간단하고 성능이 비교적 정확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이동로봇의 위치 인식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Qn Evaluation Comparative Trilateration algorithm for ranged-based localization in Wireless sense network (무선 센서 네트워크 거리기반 위치인식기법을 이용한 삼변측량 알고리즘 비교평가)

  • Kim, Sun-gwan;Kim, Tae-hoon;Tark, S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1799-1802
    • /
    • 2010
  • 무선센서 네트워크에서 위치인식 기법을 거리정보기반 위치인식방식과 거리정보에 기반하지 않는 위치인식 방식으로 분류 된다. 무선센서 네트워크에서 거리정보기반 위치인식기법에서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에서의 오차로 인해 정확한 위치데이터를 얻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거리정보기반 위치인식 방식의 대표적인 기술들과 위치계산방법을 소개하고, 위치계산방식의 삼변측량 알고리즘을 다양한 측면에서 체계적이고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비교평가 하였다.

Compensation System for Wireless Location based on Pyroelectric sensor (초전센서를 이용한 무선 위치 인식 보정 시스템)

  • Sung, Joo-Hyun;Cho, Hyun-Jong;Kim, Yoon-Sik;Seo, Dong-Ho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6a
    • /
    • pp.133-13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실내 위치인식시스템에 있어서 오차 발생 문제점을 초전센서를 이용하여 보완하였다. 기존의 CSS기술은 SDS-TWR(Symmetric Double-Sided Two-Way Ranging) 기반의 위치인식시스템을 구현하는 기술로 사용되고 있으나 전파의 반사 및 간섭에 의해 레인징의 오차가 크게 발생하고 수신 감도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환경적인 제약을 받는 공간에서 CSS을 이용한 SDS-TWR과 초전센서를 사용하여 수신불량과 오차를 줄여 사용자의 위치인식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Ubiquitous Sensor Network based Localization System for Public Guide Robot (서비스 로봇을 위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 위치 인식 시스템)

  • Choi, Hyoung-Youn;Park, Jin-Joo;Moon, Young-S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0 no.10
    • /
    • pp.1920-1926
    • /
    • 2006
  • With social interest, there hie been a lot of research on the Service Robot but now we are faced with the limitation of single platform. The alternative plan is the Ubiquitous-based Service Robot connected with a Ubiquitous network to overcome this limitation. Systems using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d supersonic waves appeared for functions such as recognition of surroundings through Ubiquitous Sensor Networks. This was applied to the real robot and we have got good results. However, this has several limitations to applying to low power-based Sensor Network For example, if RFID uses a passive Sensor, the rate of recognition with the distance is limited. In case of supersonic waves, high power is required to drive them. Therefore, we intend to develop RSSI position recognition system on the basis of embodying a Sensor Network Module in this thesis. This RSSI position recognition system only measures RSSI of signals from each sensor nod. then converts them into distances and calculates the position. As a result, we can still use low power-based Sensor Network and overcome the limitation according to distance as planning Ad-Hoc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