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센서 안정화

Search Result 144,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Stabilizationof a sagnac interferometric optical fiber current sensor (Sagnac 간섭계형 광섬유 광전류센서의 안정화 방법)

  • 강현서;이종훈;송정태;이경식;김철중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2 no.7
    • /
    • pp.1607-1612
    • /
    • 1997
  • A new method of stabilizing a Sagnac optical fiber current sensor is presented. This method is characterized by creating aproper amount of circular birefringence the fibersagnac, whose correaponding value of rotation angle is (m+1/2)$\pi$-$2\Psi$, removes the effect of linear birefringence and leads to achieve good stability. Using the technique the stability of the current sensor was improved more than 10 times to within ${\pm}2.3{%}$ at 300Arms.

  • PDF

A Stabilization System of EFPI for Damage Detection of Composites (복합재료 파손 검출을 위한 EFPI 센서 안정화 시스템)

  • 김대현;구본용;방형준;김천곤;홍창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osite Materials Conference
    • /
    • 2003.04a
    • /
    • pp.22-26
    • /
    • 2003
  • EFPI (extrinsic Fabry-Perot interferometer) 센서를 이용해 복합재료의 파손 신호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파손 신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의 열적, 기계적 정적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위상 변화를 보상해 주는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센서의 민감도를 최적화하기 위해 출력 신호의 위상을 Quadrature 지점에 유지시켜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EFPI 센서 시스템의 출력 신호위상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안정화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안정화 제어 시스템은 광대역 파장 레이저 광원, 가변 F-P (Fabry-Perot) 필터 그리고 필터를 제어한 수 있는 전자 회로시스템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의 위상 제어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복합재료 시편의 인장 실험을 수행하여 인장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위상 변화를 개발된 시스템을 이용해 Quadrature 지점에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연필심 파손 실험을 통해 개발된 시스템이 파손 신호를 잘 취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Noise Removal of Acceleration Sensor Output using Digital Filter (디지털 필터를 이용한 가속도 센서 출력의 잡음 제거)

  • Cheon, Bong-Won;Kim, Nam-H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19 no.4
    • /
    • pp.186-191
    • /
    • 2018
  • As influence of the 4th industry is growing with development of information society more electronic devices and sensor are used in the field. As this is the case, importance of signal processing during data transfer is rising Furthermore, the need for technology to remove noise caused by various reasons and to stabilize sensor output is growing as well. This research suggests digital filter algorithm that efficiently remove noise by stabilizing output of accelerating sensor. The standard value of this algorithm is calculated by applying Gaussian coefficient. To maintain its feature, final output is obtained by subtracting weight depending on variance from standard value For its evaluation, it is compared with other protocols and its function is checked through output features.

A Study of Stabilization Loop Design for a Two Axis Gimbal System Using Resolver (리졸버를 이용한 2축 김발 시스템의 공간 안정화 루프 설계에 대한 연구)

  • Kang, Ho-Gyun;Seong, Ki-Jun;Kim, Sung-Un;Yeou, Bo-Yeo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0a
    • /
    • pp.303-304
    • /
    • 2007
  • 항공기, 차량, 유도탄 둥과 같은 동적인 플랫폼에서 표적을 추적하기 위해서 시선을 안정화하는 외부의 추적 루프와 내부의 안정화 루프(또는 속도 루프)가 있고, 또한 표적을 추적하기 전 표적을 지향하고 포착하기 위해 김발을 동체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유지하기 위한 위치 루프도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안정화 루프는 각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검출기로 자이로를 사용하고, 위치 루프는 김발각을 제어하기 위한 위치 검출기를 사용한다. 그러나 안정화 루프에 사용되는 자이로는 루프 성능을 최적으로 하기 위해서 고성능/고가의 자이로가 사용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위치 루프에 사용되는 위치 센서인 리졸버를 사용하여 고성능/고가의 자이로 센서 없이 안정화 루프를 설계하였고, 리졸버를 사용하여 설계된 안정화 루프가 동적인 플랫폼에 사용될 수 있는지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험 결과를 통해 분석하였다.

  • PDF

Walking and Stabilization Algorithm of a Biped Robot on the Uneven Ground (이족보행로봇의 비평탄지형 보행 및 자세 안정화 알고리즘)

  • 김용태;노수희;이희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4.10a
    • /
    • pp.71-74
    • /
    • 2004
  • 이족보행로봇을 실생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비평탄지형에서의 안정적인 자율보행 및 자세 안정화는 반드시 필요한 기능이다. 본 논문에서는 계단, 경사지형, 다양한 형태의 장애물에 대처가능한 이족보행로봇의 기구설계 및 원격제어 가능한 제어시스템 구현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러한 비평탄지형에서 발에 부착된 적외선센서 및 FSR센서, 머리에 장착될 카메라를 사용한 안정된 자율보행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또한 발바닥에 장착된 FSR센서를 사용하여 외부에서 들어오는 외력에 대처하는 자세안정화 알고리즘도 제안하였다. 제안한 자율보행 및 자세안정화 알고리즘들은 이족보행로봇을 제작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실험으로 검증하였다.

  • PDF

Hardware Implementation of Depth Image Stabilization Method for Efficient Computer Vision System (효율적인 컴퓨터 비전 시스템을 위한 깊이 영상 안정화 방법의 하드웨어 구현)

  • Kim, Geun-Jun;Kang, Bongs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9 no.8
    • /
    • pp.1805-1810
    • /
    • 2015
  • Increasing of depth data accessibility, depth data is used in many researches. Motion recognition of computer vision also widely use depth image. More accuracy motion recognition system needs more stable depth data. But depth sensor has a noise. This noise affect accuracy of the motion recognition system, we should noise suppression. In this paper, we propose using spatial domain and temporal domain stabilization for depth image and makes it hardware IP. We adapted our hardware to floor removing algorithm and verification its effect. we did realtime verification using FPGA and APU. Designed hardware has maximum frequency 202.184MHz.

PZT 위상변조기를 이용한 광섬유 음향센서의 신호안정화

  • 서상준;이두희;조문재;은희준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88.06a
    • /
    • pp.112-116
    • /
    • 1988
  • Homodyne 방식으로 동작하는 광섬유 간섭계 센서는 주위 온도의 변화나 진동등에 의하여 시노의 크기가 불규칙하게 변화된다. 따라서 광섬유 간섭계가 직작조건에서 동작하도록 하여 감도를 최대로 유지시켜야 한다. 본연구에서는 원통형 압전자소자에 단일모드 광섬유룰 감아서 변환율 K=1.07$\pi$/V의 위상변조기를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능동위상추적(active phase tracking)방식의 신호안정화 장치를 제작하고 광섬유 간섭계 센서의 공기중 읍압반응을 조사하였다.

  • PDF

Improvement of Grain-Boundary Conduction in Stabilized Zirconia (안정화 지르코니아 고체전해질의 입계전도 향상)

  • 이종흔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11a
    • /
    • pp.25-25
    • /
    • 2003
  • 안정화 지르코니아(Stabilized Zirconia)는 산화물 연료전지 (SOFC: Solid Oxide Fuel Cell), 전기화학식 가스센서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고체전해질이다. SOFC의 효율향상 및 센서의 저온 동작을 위해서는 높은 이온전도도를 갖는 고체전해질이 요구된다. 안정화 지르코니아의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MgO, CaO, $Y_2$O$_3$, Yb$_2$O$_3$, Sc$_2$O$_3$ 등의 안정화제가 첨가된 바 있으며, 이들 첨가제의 변화에 의한 전기전도도 향상 연구는 현재 성숙된 단계이다. 지르코니아 고체전해질의 안정화제가 정해진 상태에서 재료의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키는 다른 방법은 입계에서의 이온전도도를 높이는 것이다. 안정화 지르코니아는 입계가 입내에 비해 저항이 약 100-10000배 정도크기 때문에, 입계가 얇은 두께에도 불구하고 전해질의 저항에서 큰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입계의 Si-포함상 편석, 입계액상, 공간전하층등이 입계의 저항에 대한 원인으로 받아 들여 지고 있다.

  • PDF

A Study of Method and Algorithm for Stable Flight of Drone (드론의 안정화 비행을 위한 방법 및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Cha, Gyeong Hyeon;Sim, Isaac;Hong, Seung Gwan;Jung, Jun Hee;Kim, Jin Young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10 no.3
    • /
    • pp.32-37
    • /
    • 2015
  • Unmaned Aerial Vehical(UAV) is a flight which is automatically flying by remote control on th ground. However UAV has an advantage of control that is easy, but has an disadvantage of not hovering. By comparison, quadcopter which is one of the UAV is easily operated. Also quadcopter has hovering function and high stability. In this paper, we propose stable flight algorithm associated PID(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 with fuzzy contorl to implement stable quadcopter system. After getting a positioning information of the drone, This proposed system is implemented for stable flight through flight attitude control using gyro and acceleration sensor. We also propose the flight mode system to hover drone with GPS sensor.

Walking and Stabilization Algorithm of Biped Robot on the Uneven Ground (이족보행로봇의 비평탄지형 보행 및 자세 안정화 알고리즘)

  • Kim Yong-Tae;Noh Su-Hee;Lee Hee-J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5 no.1
    • /
    • pp.59-64
    • /
    • 2005
  • In the paper, we propose an intelligent walking algorithm of biped robot on the uneven ground and a posture stabilization algorithm against external forces. At first, the mechanics and the control system of biped robot that can walk on the uneven ground and stand external forces are designed. We propose obstacle hurdling, incline walking. and going-up stairs algorithm by using infrared sensors and FSR sensors. Also, posture stabilization algorithm against external forces is designed using FSR sensors. Infrared sensors ate used to detect the obstacles i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FSR sensors are used to obtain the ZMP of biped robot. The developed biped robot can be controlled by th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vision system and RF modul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biped robot Performs obstacle avoidance, obstacle hurdling, walking on the inclined plane, and going up stairs using the proposed walking and stabilization algorith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