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센서연계

Search Result 314,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Estimation and Phase Lag Compensation of Grid Voltages for Voltage-sensorless Grid-connected Inverter (전압센서를 사용하지 않는 계통연계 인버터 구현을 위한 계통전압의 추정 및 위상보상 기법)

  • Kim, Hyun-Sou;Kim, Kyeong-Hwa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07a
    • /
    • pp.77-78
    • /
    • 2016
  • 최근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 등 분산전원 시스템을 활용하는 경우가 증가함에 따라 마이크로그리드의 효율적인 제어와 안정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분산전원 발전설비를 마이크로그리드에 연계하기 위해서는 계통연계 인버터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계통연계 인버터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계통전압과 인버터 출력 전류 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가 요구되며 이는 계통연계 인버터의 생산비용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계통연계 인버터의 경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압센서를 사용하지 않는 새로운 인버터의 제어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전압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인버터 출력전류 정보와 외란관측기를 이용해 계통전압을 추정한다. 하지만 외란관측기로 계통전압을 추정하는 경우 관측기의 한정된 대역폭으로 인해 추정 계통 전압에는 위상 지연이 발생하며 이는 제어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정 계통 전압의 위상지연을 보상하기 위한 위상 보상기법이 설계된다. 제안된 기법의 안정성과 성능이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해 입증된다.

  • PDF

Current Harmonics Analysis of Grid-connected Inverter with LCL Filter According to Current Sensing Position (LCL 필터를 갖는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전류센서 위치에 따른 전류 고조파 분석)

  • Heo, Jin-Yong;Park, Kwon-Sik;Seo, Byuomg-Jun;Jo, Kwang-Rae;Kim, Haksoo;Nho, Eui-Cheol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9.07a
    • /
    • pp.338-339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LCL 필터를 사용하는 계통연계형 인버터에서 시스템을 안정시키기 위해 피드백 경로에 2차 저역 통과 필터(LPF)가 사용되었을 때 전류센서의 위치에 따른 출력 전류의 고조파 성분을 분석한다. LCL 필터를 사용하는 계통 연계형 인버터에서는 필터의 공진으로 시스템은 불안정해 지기 쉬우며 또한 안정조건은 전류센서의 위치에 따라서 바뀐다. 전류센서의 위치에 따라 바뀌는 계통측 전류의 고조파 성분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한다.

  • PDF

The Implementation research of CAN linked safety sensor hardware (CAN 연계형 안전진단센서 하드웨어 설계에 관한 연구)

  • Jeong, Soon-Ho;Kim, Seoung-Kwon;Cha, Jae-Sang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0 no.5
    • /
    • pp.209-213
    • /
    • 2010
  • This paper is a study of Car safety network system using sensed data from varied sensors. This hardware will work with various sensors and communication protocols. There are many sensors. Then, I selected 3 sensors for test, which were sonic sensor for distance checking, tilt sensor for rollover and impact sensor for car accident and theft. Also, there are many interfaces for sensor. Therefore I designed hardware to support various sensor interfaces. For instance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I2C, RS232, RS485, CAN. In this case, sonic sensor have I2C interface, tilt sensor have RS485 interface and Impact sensor have analog interface. In this research, I can gather sensing data from 3 sensors (mentioned above), and sending control signal to other processor with RS232, RS485, CAN communication. So, we can use easily this hardware for many cases of systems, which need sensors.

공간정보산업 기술동향 - ETRI 연구과제 중심으로

  • Kim, Mi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186-186
    • /
    • 2010
  • 최근 들어, 2차원/3차원의 랩 또는 항공/위성 영상의 공간정보를 웹 상에서 서비스 하고 이러한 공간정보에 다양한 정보들을 융 복합하여 사용자들에게 보다 높은 수준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개발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예를들어, Microsoft사의 경우는 사용자 참여형(Participatory) 센서 웹 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SenseWeb 관련 기술 개발 및 시범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는데, SenseWeb 시스템에서는 전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센서들을 연계하여 웹 상에서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SenseWeb 시스템을 이용하여 센싱정보와 Bing Map의 공간정보를 융합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SensorMap 시스템이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SensorWeb/SensorMap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양한 시범 프로젝트들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Google사의 경우는 기존에 서비스 되고 Google Eearth/Map을 기반으로 실시간 센싱정보를 연계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와 다양한 사용자들의 정보들을 테이블 형태로 연계 및 융합하여 제공하기 위한 Google Fusion Tables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Oracle사의 경우는 센싱정보를 포함하여 실시간으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정보들에 대하여 이벤트 처리, 패턴 분석, 그리고 상황인식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CEP(Complex Event Processing)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Nokia사의 경우는 기존의 고정 센서노드들 이외에 모든 모바일 폰을 이동이 가능한 센서노드로 가정하고 이러한 모바일 센서노드들로부터 교통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센싱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공간정보 기반으로 서비스하기 위한 기술 개발을 꾸준히 추진해 오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이러한 공간정보와 센싱정보 또는 기타 사용자 정보와의 융 복합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기술들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첫째로 다양한 공간정보와 센싱정보의 융 복합 및 분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u-GIS 융합 엔진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u-GIS 융합 엔진에서는 구체적으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다양한 센싱정보의 효율적 수집, 분석, 관리를 위한 GeoSensor 데이터 저장/관리 기술과 센싱정보-공간정보의 실시간 융합 분석 기술에 대해서 소개를 하고자 한다. 둘째로, 이러한 공간정보, 센싱정보 그리고 기타 사용자 정보들을 웹 상에서 효율적으로 매쉬업하여 2차원 및 3차원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맞춤형 국토정보 제공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여기서는 공간정보 센싱정보 그리고 기타 사용자 정보와의 연계를 위한 매쉬업 엔진 기술 그리고 실시간 3차원 공간정보 제공 기술 등에 대하여 소개를 하고자 한다. 끝으로, 영상 기반의 효율적인 공간정보 구축을 위한 멀티센서 데이터 처리 기술에 대하여 간략히 소개를 하고, 앞에서 설명된 핵심기술들 이외에도 향후 추가로 요구되는 기술개발 내용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을 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Offset Error on Single-phase Grid-connected Inverter Based on PR Current Controller (비례공진 전류제어 기반 단상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옵셋 오차 분석)

  • Shin, Gwang-Hyun;Kim, Eun-Soo;Jeong, Byung-Guk;Hwang, Seon-Hwa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07a
    • /
    • pp.495-496
    • /
    • 2016
  • 단상 계통연계형 인버터에서 전류센서를 통한 계통측 상전류 측정시 옵셋 오차는 전류센서와 측정 경로상에 위치한 아날로그 소자의 전압 불균형 및 비선형성으로 인하여 발생하게 된다. 옵셋 오차가 존재하지 않는 실제 상전류와 달리, 옵셋 오차를 포함한 측정된 전류로 전류 제어를 수행하게 되면 계통측상전류에 직류, 전원 주파수의 기본파 및 2배 고조파 성분을 야기한다. 이러한 직류 및 맥동 성분은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전력전달에 있어서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단상 계통연계형 인버터에서 비례공진 전류 제어기를 적용하는 경우, 전류 옵셋 오차의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저감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타당성은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증명한다.

  • PDF

Sensorless Active Damping Method of LCL Filter for Grid-connected Inverter (계통연계형 인버터용 LCL 필터의 센서리스 능동 댐핑 기법)

  • Sung, Won-Yong;Ahn, Jung-Hoon;Ahn, Hyo-Min;Lee, Byoung-Ku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11a
    • /
    • pp.75-76
    • /
    • 2015
  • 계통연계형 인버터는 출력 전류의 고조파 저감을 위해 L 또는 LCL 필터를 사용된다. L필터에 비해 LCL 필터가 동일 인덕턴스로 높은 고조파 저감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LCL 필터를 이용하지만, 시스템에 공진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댐핑 기법과 함께 사용되어왔다. 특히, 능동 댐핑 기법은 추가적인 수동소자가 필요 없기 때문에, 수동 댐핑 기법에 비해 손실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추가적인 센싱회로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추가적인 센서가 필요없는 3상 계통연계 인버터용 LCL 필터의 능동 댐핑 기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인 계통연계 인버터에서 센싱받는 계통전압과 계통전류를 이용하여 캐패시터 전류를 계산하고, 이를 전류제어 루프에 보상함으로써 가상 저항 능동 댐핑 기법을 구현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한다.

  • PDF

PZT보를 이용한 진동센서의 동특성 해석 및 센서의 최적 설계

  • 정이봉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6.10a
    • /
    • pp.35-41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PZT를 이용한 Bimorph Cantilever형 진동센서의 동특성을 모달해석하고 이를 압전세라믹의 센서방정식과 연계하여 센서출력의 정밀해를 구하였다. 그리고 이론식에 대한 시간응답 특성 및 주파수응답 특성을 알아보고 각각의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센서의 최적설계 기법을 컴퓨터 Simulation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그리고 PZT를 이용한 Bimorph Cantilever형 진동센서를 직접 제작하고 그 실험적 데이터를 수식적 데이터와 비교하여 이론식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Fault-Tolerant Control of a DC-link Voltage Sensor for Grid-Connected Inverter Systems (계통연계형 인버터에서 직류단 전압 센서의 고장 허용 제어)

  • Kim, Gwang-Seob;Lee, Kyo-Beum;Lee, Dong-Choon;Kim, Jang-M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11a
    • /
    • pp.297-298
    • /
    • 2011
  • 최근 계통연계형 인버터 시스템에서 고 신뢰 운전이 매우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인버터의 고장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계통연계형 인버터에서 직류단 전압 센서의 고장 허용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직류단 전압의 추정값으로 고장의 발생 시에 허용 제어를 수행한다. 매우 빠른 동특성을 가진 제어기가 요구되는 제안된 알고리즘의 적용을 위해 데드비트 전류제어기를 사용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알고리즘을 검증한다.

  • PDF

A Study on Application to interface IEEE 1451 to IEC 61850 (IEEE 1451 과 IEC 61850 연계 및 활용에 대한 연구)

  • Myoung, Hee-Chul;Min, Byoung-Woon;Kim, Han-Jung;Lee, Bo-In;Lee, Dong-Chu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a
    • /
    • pp.254-255
    • /
    • 2006
  • 최근의 전력시스템 분야에서는 IT기술의 혁신적인 발전과 향후 전개될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사회에서의 전력시스템 분야의 역할 및 발전 방향에 대한 많은 의견이 있었다. 이러한 노력은 IT기술과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기술을 전력분야에 적용하여 지능화된 전력네트워크 감시 및 제어시스템을 구현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전력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시설물을 감시하고 유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센서 및 센서네트워크의 구현을 통한 지능형 감시 체계를 구현하는 방법이 논의되고 있다. 전력계통시스템을 감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각종 센서 및 액츄에이터에서 계측된 데이터를 규격화하는 방법을 규정한 IEEE 1451 과 디지털변전소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로 여겨지는 IEC 61850 규격은 전력설비내의 센서 및 센서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주요 프로토콜로서 프로토콜간의 상호 연계 및 변환 기술의 개발은 네트워크 시스템의 운용 성능에 직결된다. 그러므로 IEEE 1451과 IEC 61850의 연구를 통하여 최적의 지능형 전력네트워크 구현하기 위한 변환기술이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Sewer Based on Sensor Network Using Tiny-DB (Tiny-DB를 응용한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Web Sewer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 Lee Sang-Hoon;Moon Se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460-462
    • /
    • 2005
  • 센서 네트워크 노드는 각각 초저전력, 초소형, 저비용을 지향하는데 이러한 하드웨어 리소스를 사용하는 임베디드 OS가 TinyOS이다. TinyDB는 이러한 TinyOS 센서 네트워크로부터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쿼리프로세싱 시스템이다. 이러한 TinyDB를 활용해서 X-Scale 기반의 임베디드 리눅스 환경에서 네트워크를 통한 Host서버와의 연계 및 센서 네트워크 응용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