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 다리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초

성장통으로 발견된 하지 불안 증후군 1예 (A case of restless legs syndrome in a child presenting with growing pains)

  • 김동순;신홍범;안영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1호
    • /
    • pp.1222-1227
    • /
    • 2008
  • 하지 불안증후군은 다리의 감각 둔화와 감각이상을 호소하며, 쉬고 있을 때 악화되고 움직이면 완화되는 특징을 보이는 증후군이다. 정확한 원인은 아직 알려진 바 없으며 아동기 시작되는 하지 불안증후군은 철분 결핍 및 가족력과 연관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하지 불안증후군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를 흔히 동반하며, 수면 다원 검사로 확진되는 주기성 사지 운동증과 같은 선상의 질병으로 여겨진다. 저자들은 하지 통증을 호소하는 5세 남아에서 어머니의 가족력을 발견하고 주의력 결핍 장애의 증상을 동반하며 수면 다원 검사로 진단된 경도의 주기성 사지 운동증으로 확진한 하지 불안 증후군을 진단하고 철분제 복용 후 증상 호전을 보인 사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며, 성장통으로 내원하는 아이들에서 하지 불안 증후군을 감별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근력, 평형성, 보행 동작훈련이 다운증후군 아동의 보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uscle, Balance and Walking Training on Gait Kinematics in Children with Down Syndrome)

  • 임비오;김규완;유연주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7-115
    • /
    • 2009
  • 본 연구는 다운증후군을 가진 아동($9{\sim}12$세) 9명을 대상으로 12주간의 근력, 평형성, 보행 동작 훈련이 보행과 관련된 운동학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근력, 평형성, 보행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 훈련이 시작되어 12주가 경과한 시점에서 사전 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보행의 운동학적 변인을 측정하였다. 보행의 운동학적 특성은 3차원 영상분석법을 통하여 산출하였다. 12주간의 근력, 평형성, 보행훈련 후에 골반의 회전이 감소하였으며, 무릎과 엉덩 관절의 굴곡이 증가하였으며, 다리를 스윙할 때 엉덩관절의 외전이 감소하였다. 또한, 분당 보폭 수가 증가하였으며 보폭은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다운증후군 아동들은 12주간의 근력, 평형성, 보행훈련 후에 보행의 운동학적 변인이 향상되었다.

더러브렛 경주말에서 부등제종 기인 특발성 제측열제 처치술 (Therapeutic Shoeing for Spontaneous Quarter Cracks Induced by Sheared Heel in Thoroughbred Race Horse)

  • 양영진;신상경;윤성욱;김승준;조길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61-465
    • /
    • 2014
  • 더러브렛종 세 살짜리 경주용 수말이 평보 및 속보 걸음에서 좌측 앞다리의 뚜렷한 파행, 경미한 열감 및 통증을 발현하여 한국마사회 동물병원에 내원하였다. 왼쪽 발굽의 내외측의 길이 차이가 매우 큰, 전형적인 부등 제종에 기인한 제측 열제로 진단되었다. 열제면 고정, 부중 감소용 편자 장착 및 인공제벽 도포 등 다양한 처치방법을 약 2개월 간격으로 총 5차례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발굽에 열감과 파행이 완전히 사라진 바 치료 개시 약 36주차 후부터 출전을 위한 훈련을 개시하였다. 특히 섬유강화플라스틱(FRP)재질의 연결판과 치료용 편자 장착 등 장제요법은 부등제종에 기인한 제측 열제의 치료에 있어서 매우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서 기능성 한방 추출액의 임상 효과 (Clinical Efficacy of Functional Herbal Extracts Liquid in Atopic Dermatitis Patient)

  • 양희태;최화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80-384
    • /
    • 2005
  • 2004년 10월부터 2005년 9월까지 대전 선골한의원에 아토피를 주 증상으로 내원한 환자 총 36명을 대상으로 증상에 따라 1개월에서 12개월 동안 복용하도록 한 후 몇 가지 일반상황 및 한방 추출물 복용 전후의 아토피 증상 호전도 등을 조사하였다. 환자 중 남녀의 성비는 61.11:38.89이었으며, 연령별 분포는 20세 이하가 18명으로 전체 환자수의 $5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성인기, 노인기보다는 유년 및 청년기에 아토피 환자가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아토피 증상이 호발하는 부위로는 다리와 사타구니가 $25.88\%$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팔과 목, 얼굴로 각각 $22.35\%,\;16.47\%,\;14.12\%$였고, 겨드랑이가 $2.35\%$로 가장 낮았으며 아토피가 나타나는 부위 중 한 개 혹은 두 개 이상의 부위를 가지고 있는 환자수를 조사한 결과 $50\%$이상의 환자가 3가지 이상의 아토피 호발 부위를 가진것으로 나타났다. 아토피 환자에게 한방 추출액을 복용시킨 결과 복용 전 환자들은 $72.22\%$가 중증도의 홍박과 $63.8\%$가 경도의 부종과 $44.44\%$의 경도 찰상을 보유하고 복용후 홍반과 부종, 찰상이 각각 경도 ($55.56\%$), 경도($52.78\%$), 없음($83.33\%$)으로 복용전보다 호전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자기위치 인식 가능한 덕트 청소로봇의 메카니즘 설계 및 제어기법 (Mechanism Design and Control Technique of Duct Cleaning Robot with Self-position Recognition)

  • 장우진;서명인;하준환;박경태;김동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85-95
    • /
    • 2019
  • 이 연구는 다양한 직경의 덕트를 탐사하고 극복하는 삼족 로봇의 구조를 디자인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세 개의 휠바디들은 센터바디에 연결되어 회로들이 모여있고 그것들이 로봇바디들을 움직인다. 또한 4개의 파트로 이루어진 슬라이더 링크 구조들도 로봇의 움직임을 돕는다. 스프링들은 로봇 다리의 수축과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데 로봇이 다양한 환경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해준다. 기어모터와 스프링, 그리고 벨트들은 정, 동역학적 계산에 의해 수직축과 다양한 수평 구조를 극복할 수 있도록 선정되었습니다. 센터 바디에는 카메라와 거리 센서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L형 및 T형의 덕트에서도 성공적으로 진행이 되도록 제어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UWB 모듈 및 3변 측위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덕트 내의 청소로봇의 위치 추정도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May-Thurner 증후군과 동반된 장골동맥-장골정맥루: 증례 보고 (Ilio-Iliac Arteriovenous Fistula with May-Thurner Syndrome: A Case Report)

  • 김태현;연재우;김혁중;장석기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1호
    • /
    • pp.235-239
    • /
    • 2024
  • 장골동맥-장골정맥루는 드문 질환으로 일으키는 주요 요인으로는 선천성 이상 발생, 의인성, 외상 등이 있다. 그중에서도 May-Thurner 증후군과 동반된 장골동맥-장골정맥루에 대한 문헌은 매우 드물다. 이에 따라, 저자들은 80세 남성에서 발생한 May-Thurner 증후군과 동반된 장골동맥-장골정맥루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컴퓨터단층촬영 및 혈관조영술을 통해 매우 넓은 범위의 장골동맥-장골정맥루를 확인하였고 이에 대해 다양한 크기의 색전용 코일 및 1400-2000 ㎛ 크기의 젤라틴 입자를 사용하여 색전술을 시행하였다. 색전술 이후, 추적을 위해 시행한 복부-골반 컴퓨터단층촬영에서 왼쪽 다리의 부종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사육 밀도에서 대형 육계 암컷의 생산성과 도체 수율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Yield of Heavy Female Broiler at Different Stocking Densities)

  • 나재천;추효준;김동운;황보종;김지혁;강환구;김민지;최희철;홍의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1-47
    • /
    • 2013
  • 본 시험은 세 가지 다른 사육 밀도가 대형 육계 암컷의 생산성과 도체 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사육 밀도에 따라 T1(10.9 수/$m^2$), T2(12.4 수/$m^2$) 및 T3(13.9 수/$m^2$)로 하였다. 공시계는 1일령 Arbor Acre종 육계 암컷 492수를 선별하여 처리구당 4반복씩, 반복당 각각 36, 41 및 46수씩 나누어 완전임의 배치하였으며, 육계 초기(0~1주), 전기(1~3주) 및 후기(3~6주)로 나누어 총 6주 동안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조사 항목으로 생존율, 체중, 증체량, 사료 섭취량, 사료 요구율, 생산지수, 도체 수율 그리고 부분육 비율(날개, 다리, 가슴, 등, 목)을 조사하였다. 6주 동안의 육성률은 세 처리구 모두 9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처리구 간 차이가 없었다. 육계의 체중은 3주령, 증체량, 사료 섭취량 및 사료 요구율은 2~3주령에 T3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며(P<0.05), T1과 T2 처리구 사이에 서는 유의차가 없었다(P>0.05). T1, T2 및 T3 처리구의 생산지수는 각각 331.0, 340.8, 336.0으로 처리구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4주령 육계의 도체 수율과 대부분의 부분육(날개, 가슴, 등, 목) 비율은 처리구 간 차이가 없었으나, 다리 부위의 비율은 T2에서 가장 높았다(P<0.05). 5주령 육계의 도체 수율은 T1처리구에서 76.2%로 가장 높았으나(P<0.05), 부분육 비율은 처리구 간 유의차가 없었다. 6주령 육계의 도체 수율과 부분육 비율은 처리구 간 차이가 없었다. 본 시험은 대형 육계 암컷을 위한 다양한 사육 밀도를 기초자료로 제공하였으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트래드밀에서의 최대하 부하 운동과 간헐적 부위별 인체 냉각 시 심부와 말초 부위의 체온 변화 (Thermal Dynamics of Core and Periphery Temperature during Treadmill Sub-maximal Exercise and Intermittent Regional Body Cooling)

  • 이주영;;김정현
    • 한국생활환경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9-100
    • /
    • 2009
  • 본 연구는 최대하 부하 트래드밀 운동과 간헐적 부위별 인체 냉각 시 심부와 말초 부위의 동적 체온조절을 관찰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이를 위해 총 다섯명의 남자 피험자가 세 가지 실험 조건, 머리와 손 냉각 조건(HH cooling), 다리 냉각 조건(Leg Cooling), 냉각하지 않는 대조군(Control)에 참여하였고, 모든 실험은 기온 24±1℃와 습도 50±5%RH로 유지되는 인공기후실에서 수행되었다. 피험자들은80%HRmax의 트래드밀 운동과 이어지는 회복 스케쥴을 두 번 반복하였고, 인체 부위별 냉각은 15℃의 물이 순환하는 액체 냉각모자, 장갑, 다리를 덮는 형태의 담요를 이용하여 회복 시에만 적용되었다. 본 연구 결과, (1) 직장온도(Tre)는 세 조건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피부온도는 부위별로 특징되어지는 다양한 체온조절 현상을 보였다. 특히, 운동의 시작 시점에서 보이는 피부온도의 초기 하강은 주로 가슴, 넓적다리, 종아리, 손가락 피부 온도에서 관찰되었으며, 이 중 손가락 온도(Tfing)에서의 초기 하강 현상은 매우 현저했다. (3) 피부 온도가 초기 하강을 보이는 동안 Tre는 점점 증가했다. (4) 두 번째 운동 시작 시 Tfing에서의 초기 하강 규모는 Control 조건에서 평균 4.8℃, HH cooling 조건에서는 5.1℃, Leg cooling 조건에서는 3.4℃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초기 하강 현상을 보인 시간은 Control 조건에서 평균 8.1분으로 HH cooling 조건에서는 7.9분, Leg cooling 조건에서는 6.3분보다 길었으나 통계적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트래드밀 운동의 개시기에 관찰된 피부온도 하강 현상은 인체 심부의 온열 상태의 진행과는 반대되므로, 비 온열적 요인을 반영한다. 특히, Tfing에서 초기 하강의 규모는 인체 부위별 냉각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말초 부위의 피부온도 하강 현상은 운동 중 피부면의 온열 상태 예측 시 주의깊게 고려되어져야 한다.

당귀(當歸)와 시호(柴胡)뿌리 혼합분말(混合粉末) 첨가(添加) 사료가 육계(肉鷄)의 성장능력(成長能力)과 장기발달(臟器發達) 및 혈액성분(血液成分)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Root Powder Mixture of Angelicae gigantis and Bupleurum falcatum on Growth Performance, Organ Weight and Serum Components in Broiler Chicken)

  • 조성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45-152
    • /
    • 1996
  • 당귀(當歸)와 시호근부(柴胡根部) 혼합분말을 육계사료(肉鷄飼料)에 0. 0, 0. 4, 1. 0, 2. 0%씩 첨가하여 6주간 급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당귀와 시호근부 첨가구의 사료섭취량(飼料攝取量)이 대조구보다 많았음을 볼때 기호성(嗜好性)은 좋게 평가되었다. 증체량(增體量)은 혼합제 1. 0% 첨가구에서 1,752g으로 대조구 보다 수당(首當) 130g 이상 높았다. 사료요구율(飼料要求率)은 1. 0% 첨가구에서 1. 85로서 대조구의 1. 99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 < 0. 05) 도체량(屠體量)은 1. 0% 첨가구(1,261g)에서 높았으나 도체율은 0. 4% 첨가구에서 69. 48%로 높았다. 가슴살고기량은 0. 4% 첨가구에서 233g으로 대조구보다도 20g이상 더 높았다. 다리고기는 0. 4% 첨가구에서 대조구의 353g보다 50g이상 높았다. 당귀와 시호근부 첨가수준이 높아질 수록 간장(肝臟)의 중량이 무거워지는 경향이 있으며 비장(脾臟)과 심장(心臟) 및 근위(筋胃)의 중량과 복강과 근위주위 축적지방량(蓄積脂肪量)은 0. 4% 복합첨가구에서 높았다. 혈청(血淸) 총단백질(總蛋白質)과 혈청 총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는 2. 0% 복합첨가구에서 높았으며 증체중이 높은 1. 0% 복합첨가구에서는 헐청 단백질과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 라이드 농도가 낮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 PDF

서울 일부 지역 노인들의 등속성 근기능, 유연성, 균형성 측정 및 평가 (Assessment of Elderly's Isokinetic Muscle Function, Flexibility and Balance in a Region of Seoul)

  • 김석원;손지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7-44
    • /
    • 2016
  • 이 연구는 고령화 사회를 대비하여 노인 체력 향상 프로그램 설계 및 관련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2013년, 서울 동대문구 소재 노인종합복지관에 등록 중인 노인 52명과 동대문구 소재 대학교 학부 과정에 재학 중인 학생 46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하지의 등속성 근기능과 발목 관절가동범위, 유연성, 균형성 및 신체조성 등을 측정하였으며, Biodex system IV, Biodex stabilizer system, CNP-5403, Inbody 3.0이 사용되었다. 남자 노인 집단의 평균 연령은 77.13세였으며, 45.85kg의 근육량을 가지고 있었고, 체전굴은 2.97cm로 유연성이 아주 결여되어 있었다. 좌측발의 균형 능력이 우측보다 좋지 않았으며, 발바닥쪽굽힘의 관절 가동 범위는 35도 내외로 정상 범위에서 벗어났다. 전반적인 무릎 폄근과 굽힘근의 근력은 남자 대학생의 50% 정도 수준이었으며, 뒤넙다리근의 결손율이 18.55%로 균형이 깨어져 있었다. 발목 가쪽번짐-안쪽번짐 결손율 또한 23.08%, 19.19%로 나타났다. 여자 노인 집단의 평균 연령은 75.46세로 근육량은 35.68kg이었으며, 체전굴은 11.69cm로 여자 대학생 집단과 비슷하게 좋은 편이었다. 무릎의 동측 근력비가 좌우 모두 50% 미만이었고, 결손율 또한 폄 14.32%, 굽힘 19.73%로 좌우 근력 균형이 좋지 않았다. 발목의 발등굽힘력은 여자 대학생 집단의 62%(좌), 73%(우) 정도였다. 발등굽힘-발바닥쪽굽힘의 결손율이 각각 25.05%, 26.86%, 가쪽번짐-안쪽번짐 결손율이 19.97%, 21.09%로 나타나 발목의 좌 우 근력 불균형이 상당히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연구 결과들이 실질적인 노인 체력 향상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