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 생존

검색결과 1,987건 처리시간 0.026초

악성 타액선 종양의 방사선 치료 성적에 대하여 -원자력 병원의 10년 경험 ($1975.1{\sim}1984.12$)- (Primary Radiation Therapy of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s by Conventional Megavoltage Irradiation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조철구;고경환;류성렬;박영환;박우윤;심윤상;오경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8권1호
    • /
    • pp.35-43
    • /
    • 1990
  • 1975년 1월부터 1984년 12월까지 원자력병원 치료 방사선과에서 악성 타액선 종양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은 5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생존율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들은 수술후 재발했거나,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들이었다. 58명의 환자중 mucoepidermoid carcinoma를 가진 환자가 $43.1\%$, adenoid cystic carcinoma를 가진 환자는 $41.3\%$였다. 주 타액선 종양의 5년 보험생존율은 $68.2\%$, 10년 생존율은 $31.8\%$였으나, 무병생존율은 각각 $43.2\%\;13.0\%$로써 치료 후 재발된 상태에서도 비교적 오래 산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NM staging에 의한 생존율도 $T_1$의 5년 생존율이 $86.5\%,\;T_2+T_3$$40.0\%,\;T_4$$0\%$로, T stage가 높아지면 질수록 생존율도 현저히 감소하였다. 병리조직학적 관점에서 볼 때, adenoid cystic carcinoma의 5년 무병생존율은 $40.1\%$로써, mucoepidermoid ca.의 $49.8\%$보다 낮았으나, 전체적인 생존율은 $77.3\%$로써, mucoepidermoid ca.의 $51.5\%$보다 현저히 높았다. 따라서, adenoid cystic carcinoma는 치료실패후 병을 가진 상태에서도 상당 기간 생존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으며, 평균 생존기간은 2년 이었다. 또한 mucoepidermoid ca.인 경우에는 세포의 분화정도에 따라 생존율이 달라졌는데, 저등도 분화세포의 5년 생존율이 $78.8\%$로 고등도 분화세포의 $38.2\%$보다 거의 2배나 높았다. 암의 위치와 성별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는 없었다. Minor salivary gland tumor는 6명으로 5년 보험생존률은 $32.3\%$였다. 따라서 주 타액선 종양의 생존율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예후 인자는 1) 병리조직학적 세포종류, 2) T와 N stages (AJCC), 3) mucoepidermoid carcinoma에 있어서 분화 정도 였다.

  • PDF

Porphyran-청국장 추출물의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 (Growth-inhibitory Effect of the Extract of Porphyran-Chungkookjang on Cancer Cell)

  • 민현경;김효주;장해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826-833
    • /
    • 2008
  • 김 가공 후 발생되는 자투리 김으로부터 porphyran을 추출(13.9% 수율)하고, 이를 청국장에 첨가하여 porphyran-청국장을 제조하고 이의 항암활성을 조사하였다. Crude porphyran의 암세포에 대한 증식억제효과는 AGS와 HT-29에서 모두 농도가 증가할수록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Crude porphyran의 정상세포 BJ에 대한 세포 독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0.25 mg/mL의 농도까지는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성장효과를 보였다. Bacillus subtilis DJI으로 제조한 청국장의 물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의 세포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정상세포 BJ에 대해 청국장 물 추출물의 경우 0.5 mg/mL의 농도에서는 최고 153%의 생존율을 나타냈으며,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동일 농도에서 140%의 생존율을 보여 청국장이 정상세포에 대해 세포성장효과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Porphyran-청국장의 정상세포 BJ에 대한 세포독성을 관찰한 결과 물, 메탄올 추출물 모두 독성이 없었으며, 물 추출물의 경우 1.0 mg/mL 농도 처리 시 160%,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0.25 mg/mL에서 최대 127%의 생존율을 보이므로 porphyran-청국장이 정상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청국장 추출물과 porphyran-청국장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농도 1.0 mg/mL 구간에서 비교해보았을때 porphyran을 첨가하지 않은 청국장 물 추출물에서 최고 17%, 메탄올 추출물은 24%의 AGS 세포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비해, porphyran-청국장의 물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은 최고 23%와 38%의 세포증식 억제효과를 각각 나타내었다. 장암세포 HT-29에 대해서는 porphyran을 첨가하지 않은 청국장 물 추출물에서 19%, 메탄올 추출물은 27%의 세포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비해 porphyran-청국장의 물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은 최고 27%, 32%를 각각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청국장과 porphyran-청국장의 물 추출물보다 메탄올 추출물이 더 높은 항암활성을 나타내며, 청국장보다 porphyran-청국장이 $1.2{\sim}1.5$배 더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율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에서 김으로 부터 유용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porhyran을 추출하여 항암 활성 기능을 가지는 porphyran-청국장을 제조하여 그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이러한 기능성 식품을 널리 이용하여 해조가공산업에 기여하고 부가가치를 향상시켜 새로운 소비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재조합 표피성장인자가 방사선이 조사된 섬유아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combinant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on the Proliferationand Radiation Survival of Human Fibroblast Cell Lines in Vitro)

  • 김현숙;강기문;이상욱;나재범;채규영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4권3호
    • /
    • pp.179-184
    • /
    • 2006
  • 목 적: 재조합 표피성장인자는(rhEGF) 다양한 표피와 상피 세포의 증식을 자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이 조사된 섬유아세포의 증식에 rhEGF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인간에서 기원한 섬유아세포를 초대배양(primary culture)한 세포를 이용하였다. 대웅제약에서 유전자 재조합하여 대장균에서 발현하여 생산한 rhEGF를 제공 받아 사용하였다. 방사선 조사는 4 MV 선형가속기(CLINAC 600C, Varian, Palo Alto, CA, USA)를 이용하여 분당 2 Gy 내외의 선량률로 균일하게 조사하였다. 조사된 방사선량은 8 Gy이었다. 생존세포수는 trypan blue 염색법을 이용하였고, rhEGF에 의한 세포주기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유세포 분석법을 시행하였다. 결 과: 4 Gy의 방사선을 조사한 후 7일째까지 생존 세포수를 trypan blue 염색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모든 rhEGF 농도(1.0 nM, 10 nM, 100 nM, 1,000 nM )에서 방사선 조사 단독군보다 생존세포 수가 많았다. 방사선을 조사하지 않은 섬유아세포에서 rhEGF를 10 nM처리한 후 FACS scan을 시행한 결과 세포주기 중에서 S기 비율이 증가하였다. 결 론: 방사선이 조사된 섬유아세포에서 rhEGF를 투여하면 rhEGF를 투여하지 않은 섬유아세포에 비해서 세포증식이 가속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상세포종과 교아세포종의 수술후 방사선치료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of Astrocytoma and Glioblastoma Multiforme)

  • 박문백;홍성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7권1호
    • /
    • pp.23-27
    • /
    • 1989
  • 1980년 1월부터 1987년 5월까지 경희대학 부속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수술후 방사선 치료받은 뇌의 성상세포종과 교아세포종 환자에 대해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44예중 40예 에서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고 3년 생존률은 Grand I. II 성 상세포종은 각각 $66.7\%$, Grand III 성상세포종은 $30.0\%$, 교아세포종은 $20.4\%$이었다. Grade I과 II 성장세포종에서는 환자수가 적어 예후인자를 평가할 수 없었고, Grade III성상세포종과 교아세포종에서는 조직학적 분화도, 환자의 나이, 총 조사선량 등이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나타났다. BCNU항암약물 요법은 교아세포종 환자에서 생존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 PDF

4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복합화학요법군과 보존적치료군의 생존율 비교연구 (Survival Difference of Combination Chemotherapy versus Supportive Care in the Patients with Stage Ⅳ Non-Small Cell Lung Cancer)

  • 김병훈;이경희;도갑석;이은정;김성목;정진홍;이관호;현명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4호
    • /
    • pp.536-546
    • /
    • 1996
  • 연구배경 : 복합화학요법이 진행성, 특히 원격전이를 가진 4기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의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원격전이가 증명된 4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cis-platin을 근간으로 한 복합화학요법군과 보존적 치료군의 생존율 차이를 평가하고, 생존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예후 인자를 조사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 대상환자는 1989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5년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 내원하여 조직병리학적으로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된 환자 중 원격전이가 증명된 4기 환자, 총 89명에서 평가 가능한 환자 6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67명의 환자를 항암화학요법군과 보존적 치료군으로 나누고 항암화학요법군은 다시 반응군과 비반응군으로 나누어 생존율과 예후인자를 조사하였다. 결과 : 1) 4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의미있는 예후인자는 ECOG 기준에 따른 전신수행상태와 조직형이었다. 2) 전체 대상환자의 중앙생존기간은 13.6주였고 복합화학요법군의 중앙생존지간은 20주로써 보존적 치료군의 11.7주에 비해 길었다(p<0.01). 3) 복합화학요법에 반응이 있었던 환자들의 중앙생존기간은 45.5주로써 비반응군의 17.3주에 비해 의미있게 길었다(p<0.05). 4) 복합화학요법군의 1년 생존율은 15%, 보존적 치료군은 8%였다. 5) 복합화학요법의 부작용은 비교적 수용할 만 했다. 결론 : 전신수행상태가 양호하고 젊은 4기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에 대해서 보다 적극적인 항암화학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파킨슨유발제인 이산화망간으로 손상된 배양 대뇌 신경아교세포에 대한 노박덩굴 추출물의 보호 (Protective Effect of Celastrus orbiculatus Thunb Extract on Cultured Neuroglial Cells Damaged by Manganese Dioxide, a Parkinsonism Inducer)

  • 서영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50-157
    • /
    • 2020
  • 본 연구는 이산화망간(MnO2)의 신경독성과 이에 대한 노박 덩굴 추출물의 보호 효과를 C6 glioma 세포를 배양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세포생존율을 비롯하여 지질산화(LP) 억제능 및 XO 저해능과 같은 항산화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MnO2는 배양 세포에 처리한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이 과정에서 XTT50값은 146.7 μM로 나타나 Borenfreund and Puerner의 독성판정기준에 따라 중간독성(mid-cytotoxic)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산화제의 일종인 kaempferol (KAE)은 MnO2의 독성에 의해 손상받은 세포의 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킴으로써 MnO2의 독성을 방어하였다. 한편, MnO2 독성에 대한 노박덩굴(CO) 추출물의 영향 조사에 있어서, CO 추출물은 배양 세포에 MnO2만을 처리한 것에 비하여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킴으로써 MnO2의 독성을 효과적으로 방어하였다. 이와 동시에 높은 LP 억제능과 XO 저해능과 같은 항산화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MnO2의 독성에 산화적 손상이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CO 추출물은 LP 억제능과 XO 저해능과 같은 항산화능에 의하여 MnO2의 독성을 효과적으로 방어한 것을 확인였다. 따라서, CO 추출물과 같은 천연소재는 파킨슨병 유발제인 MnO2와 같이 산화적 손상과 관련된 질환적 중금속 독성을 경감 내지는 개선할 수 있는 유용한 물질이라 생각된다.

독성물질인 염화카드뮴으로 손상된 배양 NIH3T3 섬유모세포에 대한 애기똥풀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Chelidonium majus Extract on Cultured NIH3T3 Fibroblasts Injured by Cadmium Chloride of Toxicant)

  • 김태윤;제갈승주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7
    • /
    • 2016
  • 본 연구는 배양 NIH3T3 섬유모세포를 재료로 독성물질인 염화카드뮴($CdCl_2$)의 세포독성과 이에 대한 애기똥풀(Chelidonium majus, CM) 추출물의 방어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세포생존율(cell viability)을 비롯한 $CdCl_2$에 대한 BHT의 영향 및 DPPH-자유라디칼 소거능, superoxide anion-radical scavenging activity (SSA), lactate dehydrogenase (LDH) 활성과 같은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CdCl_2$는 농도 의존적으로 배양 NIH3T3 섬유모세포의 생존율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XTT_{50}$값이 38.7uM로 나타나 Borenfreund와 Puerner의 독성판정기준에 따라 고독성(highly-toxic)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산화제인 BHT는 $CdCl_2$의 독성으로 인하여 심하게 손상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한편, $CdCl_2$의 세포독성에 대한 CM 추출물의 방어효과에서, CM 추출물은 $CdCl_2$에 의하여 감소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또한 DPPH-자유라디칼 소거능을 비롯한 SSA 및 LDH 활성 억제와 같은 항산화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에서 $CdCl_2$의 독성에 산화적 손상이 관여하고 있으며, CM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에 의하여 $CdCl_2$의 세포독성에 대한 방어효과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CM 추출물과 같은 천연소재는 산화적 손상과 관련된 독성의 제독 내지는 저감을 위한 항산화물질로서의 개발적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파킨슨씨병 유발물질인 황산철로 손상된 배양 신경아교세포에 대한 물매화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Parnassia palustris L. Extract on Ferrous Sulfate-Induced Cellular Injury of Cultured C6 Glioma Cells)

  • 서영미;양승범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298-306
    • /
    • 2022
  • 본 연구는 배양 C6 glioma 세포를 재료로 파킨슨병의 유발 물질인 황산철(FeSO4)의 신경독성과 이에 대한 물매화(Parnassia palustria L., PP) 추출물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세포생존율을 비롯한 슈퍼뮤타제(SOD)-유사능 및 과산소음이온 라디칼(SAR)-소거능과 같은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FeSO4는 처리농도에 비례하여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이 과정에서 XTT50값이 63.3 μM로 나타나 Borenfreund and Puerner의 독성판정기준에 따라 고독성 (highly-toxic)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산화제의 일종인 quercetin은 FeSO4의 독성으로 손상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한편, PP 추출물은 FeSO4만을 처리한 것에 비하여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동시에 SOD-유사 능과 SAR-소거능과 같은 항산화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FeSO4의 세포독성에 산화적 손상이 관여하고 있으며, PP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에 의하여 FeSO4에 의한 세포독성을 효과적으로 방어하였다. 결론적으로, 물매화 추출물과 같은 천연물은 FeSO4와 같이 산화적 손상과 관련된 질환을 유발시키는 중금속화합물에 의한 독성을 개선 내지는 치료하는데 유용한 소재라고 생각된다.

사지와 체부에 발생한 편평상피 세포암의 치료 (Treatment of Squamous Cell Carcinoma in Extremity & Trunk)

  • 신덕섭;김범중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13
    • /
    • 2012
  • 목적: 편평상피 세포암 환자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여, 전반적인 생존율과 예상 가능한 예후인자들에 따른 생존율을 비교하고 분석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3월부터 2011년 2월까지 본원에서 병리학적으로 진단된 사지와 체부에 발생한 편평상피 세포암은 151예였고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는 51예였다. 연구는 이 중 12개월 이상 외래추적이 가능하였던 4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4.4세였고, 남자와 여자는 각각 31명, 10명이었다. 수술은 광범위 절제 및 재건술(29예)과 절제연을 얻기 힘든 사지 말단부나 신경, 혈관계를 침범한 경우에 절단술(12예)을 시행하였다. 수술적 치료만 시행한 환자는 33예이고, 절제 후 항암화학치료 또는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환자는 8예가 있었다. 병기는 AJCC 분류에 따라 나누었으며 생존율은 Kaplan-Meier 법으로 계산하였고 군간의 생존율 비교는 Log-rank test를 이용하였다. 생존율과 관련된 예후 인자들로 원발 병소의 위치, 병인, 조직학적 분류, 병기, 수술방법, 추가 항암요법 여부를 조사하여 각각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 외래 추적은 평균 65.2개월(12-132개월)이었고 최종 추시 상 생존은 30예(73.1%)이었고 Kaplan-Meier에 의한 5년 생존율은 77%이었다. 전체 환자에서 총 3예(7.3%)의 국소 재발과 7예(17.0%)의 전이가 있었다. 국소재발 3예에서 재발시기는 평균 27개월(18-43개월)이었다. 원발 병소의 위치, 병인, 조직학적 분류, AJCC 분류에 따른 병기, 추가 항암요법에서 생존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절단술을 시행한 환자는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보다 생존율이 낮았다. 결론: 41예의 편평상피 세포암의 치료결과를 분석한 결과 5년 생존율이 77%이었고 예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인자 중에 수술 방법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구강상피세포의 배양환경의 차이에 의한 마이크로어레이 기반 유전자 발현의 융복합 분석 (The Convergence Analysis of Microarray-Based Gene Expression by Difference of Culture Environment in Human Oral Epithelial Cells)

  • 손화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81-89
    • /
    • 2019
  • 이 연구는 HPV 16 E6/E7 도입 불멸화 구강상피세포의 배양 미세환경과 세포 분화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배양환경을 변화시켜서 IHOK-EF 세포와 IHOK-EFKGM 세포를 얻었고, 이들 세포의 특성변화를 세포증식분석, 면역형광분석 및 마이크로어레이와 실시간 정량 PCR분석으로 알아보았다. IHOK-EF 세포는 상피세포의 특성을 상실하고 간엽세포의 특성을 획득하였고, 마이크로어레이 분석결과, 분화억제 유전자인 ID2, IL6, TWIST1이 과발현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초기의 배양환경으로 회복되었을 때, 특별히, ID2와 IL6에서 유전자발현의 복귀를 나타내면서 세포의 특성이 부분적으로 회복되었다. 이 연구는 세포의 특성을 결정하는 연구에서 배양 미세환경의 변화에 따른 세포의 생존을 위한 적응양상을 이해하는데 공헌할 것이며, 향후, 암세포의 미세환경변화에 따른 생존연구에 적용하여 질병에 대한 치료적 접근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