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 배양

검색결과 4,038건 처리시간 0.029초

Perfusion배양시 세포성장 및 항체생산 향상을 위한 아미노산의 보강 (Fortification of Amino Acids to Improve Hybridoma Cell Growth and Monoclonal Antibody Production in Perfusion Culture)

  • 이수영;최병욱;오한규;윤정원;전복환;변태호;박송용
    • KSBB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188-191
    • /
    • 1999
  • 본 실험에서는 하이브리도마세포 배양 중 아미노산 량의 변화를 조사하여 세포성장, 세포대사 및 항체생산성에 미치는 아미노산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vR8 하이브리도 마세포 배양 중 세포성장이 급속히 이루어지는 시점과 최대 세포농도에 도달한 시점에서의 glutamine, arginine, leucine 등 다수 아미노산의 고갈이 관찰되었고, 이후 세포활성이 급속히 저하되었다. 이때 glucose 농도, lactate, armmonia 등의 대사산물 농도 및 pH, DO, 교반속도 등은 적절하게 유지되었기 때문에 이들 요소에 의한 세포성장의 저해는 없었다. 따라서 이들 아미노산의 고갈이 세포활성의 저하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된다. 한편, 고갈된 아미노산을 첨가한 배지(GC-HY-S2)로 배양을 해본 결과 세포농도를 $2.91\times10^7$cell/mL까지 증가시킬 수 있었다. 즉, 변형배지에서는 세포활성의 저하를 가져오는 세포성장구간을 지나 계속적인 세포성장을 보여 27배 정도 더 높은 최대 세포농도를 보였다. 세포농도의 증가로 specific productivity, volumetric productivity도 각각 1.75배, 56배 증가하였다. 최대 세포농도에서의 아미노산 량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충분한 양의 아미노산이 공급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고농도 하이브리도마세포 배양에서의 일부 아미노산의 고갈은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현상이다. 그러므로 세포를 고농도로 배양하기 위해서는 아미노산 분석을 통해 고갈된 아미노산을 첨가해 주어야 하는데, 아미노산의 요구는 세포주마다 다르므로 배지 최적화과정에서 아미노산 분석에 의한 배지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복합재료 전극을 가진 전기활성고분자 구동기의 설계 (Design of an Actuator Using Electro-active Polymer (EAP) Actuator with Composite Electrodes)

  • 김동욱;장승환
    • Composites Research
    • /
    • 제32권5호
    • /
    • pp.211-215
    • /
    • 2019
  • 정적인 상태인 체외 환경(in vitro)에서의 세포배양 과정은 실제 생체 내 환경에서의 세포발달과정과는 많은 차이가 존재한다. 따라서, 체내 환경의 정밀한 모사를 위해서는, 기계적인 자극을 세포에 전달하여 줄 수 있는 동적 세포배양장치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기존의 동적 세포배양장치에는 튜브, 펌프, 모터 등의 비교적 복잡한 장치들을 필요로 하였으며, 전달되는 기계적 자극도 단순한 형태였다. 본 연구에서는 단순한 장치로 구동되는 동적 세포배양장치를 위하여 전기활성고분자(EAP) 구동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소형 동적 세포배양장치를 설계하였다. 이 장치는 다양한 기계적 자극을 세포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알긴산 배양과 펠렛 배양에서 소연골세포와 탈회골기질의 공배양 (Coculture of Bovine Chondrocytes with Demineralized Bone Matrix in Alginate Bead and Pellet Cultures)

  • ;홍경미;박진욱;최석화;김근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7-153
    • /
    • 2010
  • 연골밑뼈와 연골이식편 사이의 생유합성은 임상적으로 중요한 과제이다. 현재까지 탈회골기질의 이용은 생체내 뼈세포 증식에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골세포와 탈회골기질의 공배양을 통해 뼈와 연골의 유도 목적에 부합되는 모든 필수적인 요소를 갖는 재료로 이용가능 여부를 확인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두 종류의 배양법 즉, 펠렛 배양과 알긴산 배양에서 탈회골기질과 공배양된 소 연골세포의 증식과 표현형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알긴산 배양에서는 세포 군집의 형성 및 연골세포의 수적 증가가 관찰되었다. 전형적인 연골세포의 표현형이 시험기간인 8주에 걸쳐 유지되었으며, 조직학적인 검사에서 연골세포는 일반적인 원형의 형태를 유지하였고, 연골세포방과 연골세포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대조군(연골세포 단독배양)에 비해 탈회골기질과 공배양한 두군 모두에서 많은 세포증식이 관찰되었으며,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생성 또한 증가되었다.

Ginkgo biloba 세포배양에서 배지 및 배양조건이 세포성장 및 Flavonol Glycosides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trients and Culture Conditions on the Cell Growth and the Flavonol Glycosides Production in Cell Cultures of Ginkgo biloba)

  • 이원규;유연우변상요정헌관
    • KSBB Journal
    • /
    • 제8권1호
    • /
    • pp.55-61
    • /
    • 1993
  • Ginkgo biloba의 세포배양을 통하여 세포성장과 flavonol glycosides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조건들을 연구하였다. 다양한 지역으로부터 유도된 세포주들의 세포성장과 flavonol glycosides의 생합성 능력은 서로 차이가 있었다. 이들의 캘러스 및 현탁 세포는 배지조건과 배양조건에 따라 성장 및 f1avonol glycosides 생합성에 많은 영향을 받았었다. 특히 배양조건 중 빛의 영향은 현저하여 명조건에서의 f1avonol glycosides의 생성은 암조건보다 10배 이상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온도응답성 고분자의 패턴상 그래프트를 이용한 공배양법 (Cell Co-culture Method by Patterned Gratt of Thermo-Responsive Polymer)

  • 배진숙;안창현;윤관한;권오형;강인규
    • 폴리머
    • /
    • 제29권3호
    • /
    • pp.294-299
    • /
    • 2005
  • 온도응답성 고분자인 PIPAAm을 포토마스크를 사용하여 전자빔조사에 의해 패턴상으로 세포배양용 폴리스티렌 접시표면에 그래프트하였다. 폴리스티렌 표면에의 PIPAAm의 그래프트는 AIR-FTIR과 ESCA에 의한 표면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표면에 간실질세포를 $37^{circ}C$에서 배양하였고, 균일하게 간세포가 배양된 배양접시를 PIPAAm의 LCST 이하인 $20^{circ}C$로 배양온도를 낮추어 PIPAAm이 그래프트된 도메인에 접착된 간실질세포를 탈착시키고 배양접시를 다시 $37^{circ}C$로 올린 후 두 번째 세포인 혈관내피세포를 파종하여 PIPAAm이 그래프트된 도메인에만 선택적으로 접착시킴으로써 같은 평면상에서 간실질세포와 혈관내피세포를 공배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방법으로 생체외에서 간실질세포와 혈관내피세포를 장기간에 걸쳐 공배양할 수 있었다.

전리 방사선 조사에 의한 마우스 배양 악하선 세포의 변화 (Effect of ionizing radiation on cultured submandibular gland (SG) cells of mouse)

  • 이송재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1-77
    • /
    • 1990
  • 본 연구는 악하선 세포를 배양하고 전리 방사선을 조사하여 배양 세포의 DNA 합성능의 변화와 염색체의 구조적 이상을 연구하였다. SG세포는 DME배지에 $10\%$ FBS와 항생제, fungizone등이 첨가된 배양액에 배양하였다. 배양 악하선 세포에 대한 전리 방사선의 조사는 선량별로 $^{60}Co$ gamma선원을 이용하여 (dose rate 58.4 rad/min)실시하였다. 배양세포의 DNA 합성에 관한 방사선의 효과는 $^{3}H-TdR$의 동조율(incorporation)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전리 방사선에 의하여 유발된 배양 악하선 세포의 염색체 이상을 관찰하기 위한 염색체 표본제작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에 따랐으며, 제작된 슬라이드는 Giemsa염색액으로 단염색 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배양 악하선 세포의 DNA 합성능은 전리 방사선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그 합성능이 감소하였다. 2. 방사선 조사후 배양2일째에 그 DNA 합성능이 회복되었다. 3. 본 연구에 나타난 염색체 이상은 염색체 절단(single break과 double break), 결손, triradius등이었으며 polyploid도 관찰되었다. 4. 전리 방사선에 의해 유발된 염색체 이상은 선량의 증가에 따라 그 발생빈도 역시 증가되었다.

  • PDF

소 난자의 체외수정에 있어서 난구세포의 부착이 수정 후의 배발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Association of Cumulus Cells on Bovine Oocytes on In Vitro Maturation and Subsequent Development after IVF)

  • 김광식;서경덕;송해범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9-36
    • /
    • 1998
  • 실험1. 난구-난자 복합체(CIO)와 나화난자(DO)의 성숙배양 개시후 3~24시간 동안 각각의 난자에 행성숙 진행상태를 Hㅐㄷ촌ㅅ 33342로 염색하여 관찰하였다. GV기는 성북배양 개시후 3시간에 GVBD기는 6시간에, MI기는 13시간에, AnaI-Tel I 기는 16시간만에, M II기는 24시간에 각각 관찰되었으며, CIO와 DO에 있어 각각의 핵성숙 진행 비율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실험2. 실험 1에서 결정된 각각의 핵성숙 시간에 CIO로부터 난자세포를 제거하는 것이 난자의 24시간 성숙배양을 제거하여도 M II의 비율과 수정율에는 미치지 않았다. 성숙배양 개시후 0,3,6시간에 난구세포를 제거한 난자의 분할율은 성숙배양 개시후 13,16,24시간에 제거한 난자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p<0.02). 또한 성숙배양 개시후 0,3,6,13시간에 난구세포를 제거한 난자의 배발포배 발생율은 16,24시간에 난구세포를 제거한 난자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p<0.01). 이상의 결과는, 체외 소난자의 핵성숙 진행시기는 부착된 난구세포에 의존하지 않으며, 난자와 난구세포의 결합상태를 성숙배양 개시후 13~16(MI)까지 즉 MI기에 도달 할 때까지 유지시키는 것은 난자의 수정후 배발생에 있어 필수적인 것임을 시사하였다.

  • PDF

당근 세포배양으로부터 체세포배 발생에 미치는 아스콜빈산의 효과 (Effects of Ascorbate on Somatic Embryogenesis in Carrot Cell Cultures)

  • 소웅영;김이엽;조덕이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43-148
    • /
    • 1999
  • 당근의 배양세포로부터 체세포배의 발생과정에 미치는 아스콜빈산 및 dehydroascorbic acid의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시도하였다. 비배발생세포의 배양에 처리된 아스콜빈산은 세포증식을 촉진시켰을 뿐인데 dehydroascorbic acid는 세포증식을 억제시키면서 배발생세포로 전환시킨 효과가 있었다. 배발생세포의 배양에 처리된 아스콜빈산은 체세포배 발생을 억제시켰지만 dehydroascorbic acid는 체세포배발생을 촉진시켰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발생촉진은 구상배에서 중단되므로 성숙에는 오히려 저해적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당근의 캘러스배양에 dehydroascorbic acid를 처리하여 빠른 시일내에 배발생캘러스를 확보한 다음 dehydroascorbic acid 첨가 배발생 배지에서 초기배발생기간 배양 후 MS 기본배지로 옮겨 배양하면 고빈도의 체세포배생산 실험계가 확립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수정란의 밀도가 소 체외수정란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mbryo Density on Development of In Vitro Produced Bovine Embryos)

  • 송상현;박충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9-76
    • /
    • 2000
  • 수정란이식에 필요한 다량의 수정란을 생산하는 수단인 배양액과 적정 수정란의 수는 수정란의 체외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이들 관계를 조사하여 수정란의 체외배양체계를 확립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도축장에서 채취한 난소에서 미성숙 난자를 채란하여 10% FBS가 첨가된 TCM -199 에 LH(10 $\mu\textrm{g}$/$m\ell$), FSH(35 $\mu\textrm{g}$/$m\ell$), estradiol-17 $\beta$(1 $\mu\textrm{g}$/$m\ell$)가 첨가된 체외성숙배양액에서 24시간 동안 배양 후, 동결정액은 Percoll-density gradients(45 vs. 90%)을 이용하여 700 g 에서 30분 동안 처리한 다음, 체외수정배양액 (IVF-Fert)에서 체외수정을 유도하였다. 수정이 확인된 수정란은 50 ${\mu}\ell$ 배양액에 1, 25 또는 50개의 수정란을 난구세포와 공배양을 하여 9일 동안 배양하였다. 일정한 배양액에서 수정란의 수가 체외수정란의 발달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개별배양 또는 그룹배양 시 난구세포와의 공동배양 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50 ${\mu}\ell$ 배양액에 1개, 25 또는 50개의 수정란을 수정 후 9일 동안 배양한 결과, 25와 50개의 수정을 배양했을 경우에는 발달율이 36.5 와 26.5%를 보여 1개의 수정란을 배양했을 경우에서의 발달율 6.2%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발달율을 얻었다(P<0.05). 2. 1, 25, 50개의 수정란을 배양시 수정 후 6일째 발달율은 1.0~3.5%였으나, 수정 후 7, 8, 9 일째의 발달율은 1개의 수정란을 배양하는 것보다 25, 50개의 수정란을 배양한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발달율을 얻었다 (P<0.05). 3. 일정한 배양액에서 1, 25 및 50개의 수정란을 배양 시 수정 후 8일째의 배반포 수정란의 세포수를 조사한 결과, 1개의 수정란을 배양시 배반포 수정란의 수는 93.0개였으나, 25, 50개의 수정란을 배양시는 각각 112개의 세포수를 얻어 유의적으로 높은 세포수를 나타내었다 (p<0.01). 4. 일정한 배양액에 1개 또는 25개의 수정란을 난구세포와 공배양을 하거나, 하지 않았을 때의 발달율은 각각 15.0와 3.7% 또는 34.5와 9.0%로서 난구세포와 공배양을 하는 것이 유의적으로 높은 발달율을 나타내었다 (p<0.01 수정 후 8 일째의 배반포 수정란의 세포수도 각각 96.1와 82.0개 또는 116.4 와 96.5개로서 난구세포와 공배양을 한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세포수를 나타내었다 (p<0.01).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수정란의 수가 체외수정란의 체외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다량의 체외수정란을 생산하여 수정란 이식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체외성숙 / 수정된 체외수정란을 일정한 배양액 (50${\mu}\ell$) 에 25, 50개의 수정란을 난구세포와 공배양하는 것이 높은 배 발달율과 세포 수를 얻 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토마토(Lycopersicon esculentum Mill) 현탁배양세포에서 Superoxide Dismutase 활성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in Suspension Cultured Cells of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 유순희;허경혜;권석윤;이행순;방재욱;곽상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7-61
    • /
    • 1997
  • Superoxide dismutase (SOD) 고생산세포주로 선발된 토마토(Lycopersicun esculentum) 배양세포를 사용하여 현탁배양에 따른 SOD 활성과 isoenzyme변화를 조사하고 토마토 식물체의 것과 비교하였다. 현탁배양은 세포생중량 2 g을 1 mg/L 2,4-D, 30 g/L sucrose를 함유한 MS 배지 50 mL과 함께 mL flask에서 $25^{\circ}C$암상태로 배양(100 rpm)하였다. 세포생장은 계대배양후 20일에 최고점에 도달한 후, 급격히 감소하며 배양 후 23일부터 세포가 검게 변하였다. 세포 단위무게당 SOD활성(unit/g dry cell wt)은 배양 후 23일부터 증가하여 28일째에 최고활성(52,400 unit)을 나타낸 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세포 밖으로 분비되는 extracellular SOD활성은 배양 후 25일에 최고치(27,800 unit/so mL medium)를 나타낸 후 감소하였다. Flask 전체의 SOD활성은 배양 후 25일에 최대치(35,700 unit)를 나타내었으며 extracellular SOD 활성이 약 75%을 차지하였다. 토마토 배양세포에는 4개의 SOD isoenzyme이 존재하며, isoenzyme의 패턴변화는 세포생장에 따른 효소활성의 변화와 일치하였다. 토마토 식물체는 배양세포에 없는 CuZnSOD가 존재하며 배양세포와 식물체 조직사이에는 서로 다른 isoenzyme 패턴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