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치료법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3초

골수단핵세포 이식에 의한 심장근육 조직 재생

  • 류주희;김일권;조승우;임상현;유경종;홍유선;최차용;김병수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
    • /
    • pp.95-97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손상된 심근의 재생을 위하여 골수단핵세포를 SD 래트에 이식하였고 5주 후에 심근의 재생, 신생혈관의 형성과 더불어 심장의 기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골수단핵세포를 손상된 심근경색 부위에 넣어주는 것은 추가 보완 실험을 통하여 심근경색의 치료법으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흉막폐아세포종(Pleuropulmonary Blastoma) -치험 2예 보고- (Multimodal Treatment of Pleuropulmonary Blastoma -Two case report-)

  • 박준석;한정호;구홍회;김진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8호
    • /
    • pp.614-618
    • /
    • 2003
  • 흉막폐아세포종은 소아에 국한하여 생기는 매우 드문 원발성 악성종양이며 극히 나쁜 예후를 보인다. 주 증상은 흉부불쾌감, 호흡곤란, 반복적인 상기도 감염, 발열, 마른기침, 그리고 흉통 등이다. 흉막폐아세포종은 매우 빠른 진행양상을 보이며, 폐문 및 종격 림프절에 전이될 수 있다. 원격전이는 뇌, 골조직, 그리고 복강 내 장기들에서 보인다 흉막폐아세포종의 치료는 다각적 접근을 요한다 수술에 의한 종괴의 일차적 제거가 우선적인 치료법이나, 종양의 크기나 침범 범위로 인해 일차적으로 수술적 제거가 힘든 경우 수술 전 신보조항암요법으로 종양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이후 수술적인 완전절제를 고려할 수 있다. 본원에서는 소아에서 발생한 흉막폐아세포종에 대해 신보조항암요법, 수술적 절제 및 보조항암요법을 통해 성공적으로 치료한 2예를 경험하고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플루다라빈을 이용한 STAT1 신호전달 조절을 통해 R848로 유도된 루푸스 동물모델 치료 효과 검증 연구 (Fludarabine Ameliorates Lupus Nephritis by Inhibiting T Cell Infiltration through STAT1 in R848-induced Mice Models)

  • 장세광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07-216
    • /
    • 2024
  • Fludarabine은 STAT1의 선택적 억제제이다. 다양한 연구에서 SLE의 발병기전과 인터페론(IFN)과 같은 STAT1을 매개한 사이토카인 사이의 관계로 인해 STAT1 억제제는 SLE의 잠재적 치료법으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R848로 유도된 동물 모델에 대한 Fludarabine의 치료 효과를 확인하고 T세포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4주 동안 R848로 자극한 C57BL/6 마우스는 단백뇨, 자가항체, 신장 사구체 염증 세포침윤, C3 침착과 같은 루푸스 질병 표현형을 나타냈지만, 약물투여에 의해 질병 활성은 크게 개선되었다. 또한, Fludarabine은 동물 모델의 비장에서 CD4+ T 세포와 T helper 1 (Th1) 세포의 증가를 억제하고 in vitro 실험에서 Th1 세포의 분화와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했다. 이러한 결과는 Th1 세포가 루푸스 신염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Fludarabine은 STAT1 억제를 통해 T 세포를 억제함으로써 루푸스 모델에 치료 효과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Fludarabine을 사용하여 STAT1 신호 전달을 억제하는 것이 루푸스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

Alteplase와 pamiteplase에 의한 MMPs 조절 효과 비교 (Comparison of Effects between Alteplase and Pamiteplase on MMPs Regulation)

  • 정재창;이선령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7호통권87호
    • /
    • pp.1019-1022
    • /
    • 2007
  • 뇌졸중 환자에 사용되는 tPA치료법은 혈전을 용해시키고 혈액의 흐름을 용이하게 해 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다. 동물 실험모델을 이용한 이전의 실험결과에 따르면 tPA뿐 아니라 tPA의 일종인 pamite-plase 역시 30분 이내 탁월한 혈전 용해의 효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fPA치료법은 단시간 처리와 출혈, 부종과 같은 여러 가지 부작용이 수반될 수 있으며 이들은 MMP-9의 활성 조절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에 사용되는 tPA의 한 종류인 alteplase와 이러한 부정적인 효과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pamiteplase의 MMP-9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랫트의 뇌로부터 추출한 신경세포에서 alteplase의 처리는 농도의존적으로 MMP-9의 발현을 촉진시켰고 활성화된 형태의 MMP-2역시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반면, pamiteplase의 경우 MMP-2와 MMP-9의 발현양상에 영항을 미치지 않았다. 유사한 효과는 뇌신경계를 구성하는 다른 세포인 성상세포에서도 관찰되었다. 즉 대뇌의 성상세포를 분리, 배양하여 이들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 신경세포에서와 마찬가지로 alteplase의 경우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pamiteplasse의 경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Pamiteplase는 뇌신경구성세포에서 출혈과 부종을 유도하는 데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MMP-9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아 alteplase에 비해 보다 효과적인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기관에 발생한 편평상피암 1례 (A CASE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TRACHEA)

  • 박윤석;엄재욱;박춘근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7년도 제21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8.3-18
    • /
    • 1987
  • 기관의 원발성 종양은 매우 드물며 그 수술적 치료법 또한 확고히 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저자들은 기관지 천식으로 오진한 제1, 제2 기관륜 부위에 발생하여 윤상 연골까지 침범한 편평 세포암을 제1, 제2 기관륜을 포함하여 윤상 연골의 부분 절제후 6500 rad. 조사 후 좋은 경과를 보이고 있는 44세 여자 환자에 대해 문헌 고찰과 아울러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인간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췌장세포의 유도 분화 및 당뇨병의 세포치료 (Directed Differentiation of Pancreatic Islets from Human Embryonic Stem Cells and Cell Therapy of Diabetes Mellitus)

  • 김슬기;심중현;우동훈;김종훈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2호
    • /
    • pp.67-77
    • /
    • 2007
  • 최근 제 1형 당뇨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인슐린-분비성 세포를 이식하는 세포대체요법이 새로운 치료법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췌장세포 이식술은 이식원의 절대적인 부족으로 인해 광범위한 시행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무한증식과 전분화능을 보유하는 배아줄기세포는 이식할 $\beta$-세포의 부족을 해결할 수 있는 잠재적 세포공급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종설에서는 인간배아줄기세포로부터 췌장 $\beta$-세포로의 유도분화방법에 관한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 당뇨병 치료에 세포 이식술을 적용함에 있어 고려해야할 문제점 및 극복방안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골수기질세포에서 방사선 반응 유전자로서의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as a Radiation-Responsive Gene in Bone Marrow Stromal Cells)

  • 송지연;권형주;박찬규;조덕연;이영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9권1호
    • /
    • pp.43-48
    • /
    • 2005
  • 조혈세포의 주요 서식지가 되는 골수기질세포는 줄기세포의 운영을 결정하는 다양한 인자들을 제공한다. 방사선 요법은 항암치료법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으나, 조혈세포의 파괴로 인한 부작용이 심각한 문제로서 조혈세포에 의한 혈액 세포가 빠른 시간 내에 회복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을 조사했을 때의 줄기세포 서식지를 구성하는 세포인 골수기질세포에서 발현되는 유전자를 탐색하여 그 기능과 조절 및 혈액 형성을 이해하는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방법론적으로는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및 agarose 전기영동 방법을 활용한 differential display를 활용하였으며, 결과로서 여러 후보 유전자가 선별되었으나,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PAI-1) 유전자만이 감마선에 의해 유도됨이 반복 확인되었다. PAI-1 유전자 유도의 의미는 향후에 더 연구해야 할 것이다.

  • PDF

원형탈모증(alopecia areata)의 최신 이해와 치료 (Advance Understanding and New Treatment of Alopecia Areata)

  • 강경화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345-1354
    • /
    • 2016
  • 원형탈모증은 흔하게 발병하고 두피와 전신에 모발의 탈락을 일으키는 모낭조직 특이 자가면역질환이다. 모낭은 자체적으로 면역체계와 내분비 환경을 가지고 각 모발주기 단계에 따라 다른 면역 상태를 나타내는 특이한 기관이다. 성장기 모낭의 면역특권의 파괴는 모낭상피 MHC class I 발현과 자가반응성 CD8+T세포에 대한 자가항원 발현을 유도하는 자가면역의 공격을 일으키고 원형탈모증을 유발한다. 임상적 실험적 연구에 의하면, 심리적 스트레스도 모낭 면역/호르몬 체계에 영향을 미쳐 원형탈모증의 유도에 관여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원형탈모증의 핵심적인 병리기전은 면역특권 수호자(ACTH, ${\alpha}-MSH$$TGF-{\beta}$ 등), 자연살해세포그룹 2D-양성(NKG2D+) 세포(NK 세포와 CD8+T 세포 등)와 스트레스 호르몬(CRH와 substance P)과 관련되어 있다. 효과적인 치료법은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앞으로 치료목표 중의 하나는 스트레스를 포함한 모낭 면역특권을 개선하는 것일 것이다. 최근 연구는 건선, 아토피피부염, 류마티스 관절염 같은 다른 자가면역질환에서 사용되는 JAK억제제와 면역조절제, Tregs, 혈소판풍부혈장요법, 스타틴과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제가 원형탈모증에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다. 본 논문은 모낭주위 내분비/면역과 관련된 발병기전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원형탈모증의 새로운 치료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한 HeLa 세포의 자살 과정 중 p53 유전자의 돌연변이 빈발 부위에서의 핵산 변화의 부재 (Lack of p53 Gene Nucleotide Change in Mutation Hot Spots During HeLa Cell Apoptosis by Adriamycin)

  • 류승욱;김정우;김은희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31-37
    • /
    • 1997
  • 세포의 자살 현상은 항암제를 이용한 치료법에 있어 중요하다. p53 은 세포 자살을 유발하여 암세포를 죽이는 핵심적 요소임이 밝혀졌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는 p53 과 무관한 세포 자살 경로가 있음을 보였다 (Gaftenhaus 외, 1996). 본 저자들은 유전독성적 항암제인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하여 유도된 세포 자살 과정에서 p53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일어나는지를 관찰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하여 유도된 세포 자살 과정에서 HeLa 세포 집단에서의 p53 유전자의 돌연변이 상태를 조사하였다. DNA 분절 현상으로 관찰한 바, 본 실험 조건하에서는 아드리아마이신을 1 uM 농도로 12 시간 처리하였을 때 세포 자살 현상이 일어났다. p53 유전자의 돌연 변이 상태를 관찰하고자 돌연변이 빈발 부위가 존재한다고 알려진 exon 5, 7 및 8 부위를 종합 효소연쇄반응으로 증폭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p53 유전자 손상없이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하여 세포 자살이 유도됨을 밝혔다.

  • PDF

I)Interleukin-1 수용체 길항제에 의한 만성골수성백혈병 집락형성 및 K562 증식억제 II)각종 암세포주에 대한 P항암제의 항암효과

  • 김삼용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07-207
    • /
    • 1994
  • I) 지금까지 만성골수성백혈병의 치료법으로서 골수이식이나 인터페론의 투여등이 시행되어왔으며 백혈병세포에서 Interleukin-1$\beta$(이하 IL-1$\beta$)이 자율적으로 생성됨이 보고 되어 이러한 질병의 진행에 IL-1$\beta$의 활성증가가 관련될것이라는 견해가 대두되어 왔다. 최근 단핵구성백혈병 환자의 소변에서 분리된 IL-1수용체 길항제(1L-1 receptor antagonist: IL-lRA)가 clonig되었고 인터페론치료에 저항하는 환자들의 치료에 IL-1RA 가 이용될수 있을것이라는 견해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전공학연구소가 분리 정제한 IL-1RA가 만성골수백혈병 환자로부터 유래한 K562세포주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알파인터페론과의 병용투여시의 상호작용에 관해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