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외 다당류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2초

Streptococcus mutans의 Glucosyl Transferase와 Fructosyl Transferase 유전자 발현에 대한 Erythritol의 효과 (Effect of Erythritol on Glucosyl Transferase and Fructosyl Transferase Gene Expression in Streptococcus mutans)

  • 박영남;류재기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151-158
    • /
    • 2023
  • 에리스리톨은 4탄당의 당알코올에 해당되며 포도당을 원료로 효모에 의해 생산되는 발효 감미료제로 버섯, 포도주, 과실류, 청주, 간장 등의 발효식품에 함유되어 있는 천연당이다. 에리스리톨과 다른 감미제에서 Streptococcus mutans (S. mutans)의 glucosyl transferase (GTF)와 fructosyl transferase (FTF)의 유전자 발현 양상을 확인하여 치아우식 예방을 위한 제품을 생산하거나 활용 시 올바른 정보와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에리스리톨은 치아우식에 관여하는 S. mutans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당(설탕) 대체 감미제로서 우식예방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특히 세포외다당류 합성에 관련된 gtf B, gtf C, gtf D, ftf 의 발현이 낮게 나타나 세포외부에 다당류의 합성을 억제하여 치면세균막 형성과 치면에 세균의 부착률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Streptococci에 의한 우식기전에 에리스리톨이 효과적으로 항우식 감미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Enhancement of Murine NK cell Activity in vitro by Red Ginseng Acidic Polysaccharide

  • Choi, Hye-Sook;Sohn, Eun-Wha;Rhee, Dong-Kwon;Pyo, Suh-Kneu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3권4호
    • /
    • pp.278-282
    • /
    • 2009
  • 본 논문은 홍삼 산성 다당류 (RGAP)의 생체외 쥣과 NK 세포 활성 향상에 대한 내용으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RGAP는 Yac-1 종양 세포에서 NK 세포 활성을 향상시켰다. 비장 세포에 16시간 동안 RGAP 10 및 $100{\mu}g$/ml을 처리한 결과, NK 활성이 239와 250% 증가 하였다. 인터페론 (IFN)-$\gamma$ 생성은 17-125% 증가하였고, 종양 괴사 인자 (TNF)-${\alpha}$ 생성도 15-100% 증가 하였다. NK 세포의 세포 독성 증가는 NK 세포가 생성하는 이 두 시토카인 증가가 원인이다. 따라서 RGAP는 NK 세포에 미치는 면역증진 효과가 있다는 내용이다.

Pseudomonas sp. GP32에 의해 생산된 세포 외 다당류의 생산 및 특성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Produced by Pseudomonas sp. GP32)

  • 이명은;이현돈;서현효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027-1035
    • /
    • 2015
  • 미생물유래 다당류 생산균주를 분리하기 위해 전국 각지의 토양시료로부터 가장 높은 점성과 다당류 생산성을 나타내는 균주 GP32를 분리하였으며, 분리균주 GP32의 동정을 분리균주의 형태학적, 생리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Pseudomonas 속 세균으로 확인되었으며 최종적으로 Pseudomonas sp. GP32로 명명하였다. 플라스크 수준에서 Pseudomonas sp. GP32의 다당류 생산을 위한 가장 적합한 탄소원과 질소원은galactose와 (NH4)2SO4를 이용하였을 때 가장 많은 다당류를 생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다당류 생산을 위한 최적의 C/N ratio는 50이었다. 다당류 생산을 위한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7.5와 32℃였다. 최적화된 배지를 이용한 fermentor 배양에서 다당류 생산은 배양 70시간에 최고치를 나타내었으며, 이때 다당류 생산량은 15.7 g/l이었다. Pseudomonas sp. GP32로부터 생산된 다당류는 ethanol 침전, cetylpyridimium 침전과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정제하였으며, 정제된 다당류는 Biopol32로 명명하였다. Biopol 32의 분자량은 3×107 datons이었으며, Biopol32가 함유하고 있는 구성당은 galactose : glucose : gulcouronic acid : galactouronic acid 등이 1.85 : 3.24 : 1.00 : 1.42의 몰비로 함유되어있다. Biopol32 용액은 의가소성 성질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로서 Zoogloea ramigera가 생산하는 생물고분자인 zooglan보다 모든 농도에서 높은 점성을 나타내었다. Biopol32의 실제 폐수처리현장에서 응집제로의 사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식품폐수, 섬유폐수와 제지폐수를 대상으로 응집효율을 조사한 결과, 높은 COD 감소율 (58.4~67.3%)과 SS제거율(82.6~91.3%)를 나타내어 실제 산업폐수에서 뛰어난 응집효율을 나타내었다.

제 2형 당뇨쥐에서 동충하초로부터 생산된 세포외 다당류의 항당뇨 효과 (Anti-diabetic Effect of the Exopolysaccharides (EPS) Produced from Cordyceps sinensis on ob/ob Mice)

  • 최장원
    • KSBB Journal
    • /
    • 제26권1호
    • /
    • pp.33-40
    • /
    • 2011
  • Anti-diabetic effect of the exopolysaccharides (EPS) produced from submerged mycelial culture of Cordyceps sinensis (Cs) was studiedin a type II diabetic animal model (C57BL/6J ob/ob).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Cs-EPS improves clinical symptoms of type II diabetes in ob/ob mice. After Cs-EPS treatment at doses of 200 mg/kg body weight, the fasting blood glucose levels decreased by 47% after 7 weeks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mice. According to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the glucose levels recovered its baseline after 120 min in Cs-EPS-treated mice, although the blood glucose level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30 min.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 (not-treated) did not recovered its initial level of glucose after 120 min. Furthermore, food intake, body weight, total plasma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in ob/ob mice treated with Cs-E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in control ob/ob mice. Cs-EPS treatment increased significantly the plasma insulin level and the expression of leptin mRNA in adipose tissue of Cs-EPS-treated ob/ob mice. From these results, it is demonstrated that Cs-EPS could be effective for regulating normal blood glucose levels by increasing the amounts of plasma insulin and leptin expression in ob/ob mice, indicating that this compound could be a candidate material as a dietary supplement to control hyperglycemia in patients suffering from type II diabetes.

영지(Ganoderma lucidum) 균사체의 액체배양에 의한 세포외 수용성 다당류의 분획 및 항암활성

  • 이신영;강태수;문순옥;류인덕;이명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59-464
    • /
    • 1996
  • Exo-polysaccharide (BWS) obtained from submerged cultivation of Ganoderma lucidum mycelium was fractionated. Antitumor activity of their fractions was investigated in comparison with the mycelial polysaccharide fractions. Eight kinds (BWS-DN, BWS-DA, BWS-DN-GI, BWS- DA-GI, MWS-DN, MWS-DA, MWS-DN-GI and MWS-DA-GI) of polysaccharide fractions were obtained by DEAE-cellulose ion exchange chromatography and Sepharose CL-4B gel chromatography from BWS and MWS, which were isolated from culture fiuid and mycelial cell, respectively. The anticomplementary activities (ITCH$_{50}$%) of the exo-polysaccharide fractions showing 15% to 30% were lower than those of mycelial polysaccharide fractions showing 15% to 70%. The acidic fractions of BWS-DA and BWS-DA-GI fractionated from BWS, showed the highest activity of 30%. In the MTT assay, BWS-DN and MWS against mouse leukemia L1210 exhibited high inhibition ratio of 86 and 89%, respectively at the concentration of 600 $\mu$g/ml. High inhibition ratio of 50% (IC$_{50}$) was achieved for BWS, BWS-DA and MWS-DA fractions against human colon adenocarcinoma COLO-205 and for BWS-DA, BWS-DN and MWS-DN fractions against human leukemia HL-60 at the concentra- tion of 300 $\mu$g/ml among the six polysaccharide fractions, respectively.

  • PDF

Dental Plaque Streptococci가 생산하는 세포외 다당류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PRODUCED BY ISOLATED DENTAL PLAQUE STREPTOCOCCI)

  • 정태영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9권12호
    • /
    • pp.819-822
    • /
    • 1971
  • For this investigation, author isolated Streptococcus mitis strain SD-9 from the bacterial flora in the human dental plaque, which was incubated in brain-heart infusion media containing 5% sucrose at 37℃ for 24 hours. For the cytochemical demonstration of polysaccharide produced by this strain, a modified thiosemicarbazide osmium method (Critchley et al., 1967) was used. After fixation with this reagent, the harvested cells was suspended in 1% agar for the higher concentration of cells(Kellenberger et al., 1964). And they were dehydrated in the various concentration of ethanol, and embedded in Epon 812(Luft, 1961). Sectioning was done with the Sorvall MT-2 Porter Blum ultramicrotome by means of a glass knife, and the sections were stained with saturated uranyl acetate and lead citrate (Raynolds, 1963). All preparations were examined in a electron microscope, Hitachi HU-ll E-1 type.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produced by Streptococcus mitis strain SD-9 were appeared in 3 structurally different forms, those are, electron dense fibrillar material linearly arranged adjacent to the outer surface of cell wall, highly electron dense globular material adjacent to the outer surface of cell wall, and strutureless fluffy meshwork of possible very fine filament.

  • PDF

감의 연화와 관련된 세포벽다당류의 변화 (Softening Related Changes in Cell Wall Polysaccharides of Persimmon)

  • 김순동;박남숙;강명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8-162
    • /
    • 1986
  • 감의 연화에 따른 세포벽다당류의 조성과 함량 및 gel여과를 통한 개략적인 분자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조세포벽의 함량은 연화된 감에서 현저히 감소되었는데 구체적으로 ionically associated pectin (IAP )은 59%, covalently bounded pectin (CBP)은 60%, $0{\sim}3N$ KOH soluble hemicellulosic fraction($HF_2$)은 74%가 감소된 반면 4N KOH soluble hemicellulosic fraction($HF_2$)과 cellulosic fraction(CF)은 큰 변화가 없었다. 신선한 감과 연화된 감의 IAP와 CBP 구성다당류의 조성은 uronic acid외에 hemicellulose에 유래한 Pentose와 hexose가 함유되어 있었고 연화에 따라 IAP에서는 pentose가 CBP에서는 hexose가 감소되었다. 개략적인 분자량은 IAP의 400만과 25만의 Peak이 130만과 6만으로, CBP의 경우는 400만이상의 Peak이 60만과 20만으로 CBP에서의 저분자화 정도가 현저하였다. $HF_1$$HF_2$ 역시 polyuronide의 함유율이 높았는데, $HF_2$가 현저하였다. 또 연화에 따라 $HF_1$은 pentose가 $HF_2는$ uronic acid와 hexose의 손실율이 높았다. $HF_1$의 연화에 따른 재략적인 분자량은 200만의 peak이 2개로 분리 되었고 $HF_2$는 수백만 단위의 거대분자가 만단위까지 저분자화 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감의 연화는 CBP에 인결된 hemiceldlose중 특히 $HF_2$의 저분자화와 CBP자체의 분해 내지가용화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한반도 주변 해역으로부터 혐기성 미생물의 분리 및 분리 미생물의 특성 분석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aerobic microbes from marine environments in Korea)

  • 김원덕;이정현;권개경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83-191
    • /
    • 2016
  • 유기산을 생산하는 발효미생물을 획득하기 위해 갯벌, 심해, 염전 등의 퇴적토와 해초시료 등의 시료에 대해 methanogen 배지, acetogen 배지, Clostridium용 배지 등을 이용하여 농후 배양을 실시하였다. 총 8개 시료로부터 65주의 혐기성 미생물을 분리하였으며 이 중 신규성이 높거나 활용성이 높다고 알려진 11종에 대해 계통분석, 성장 양식(growth pattern), 유기산 생산 평가 등을 시도하였다. 분석이 수행된 균주 중 Bacteroidia 강에 속하는 1주 외에는 모두 Clostridia 강에 속하였으며 성장속도는 $1.2h^{-1}$ 이상이었다. 분석이 수행된 7종 중 6종은 아세트산을 생성하였으며, 부가적으로 2균주는 부틸산을, 4균주는 개미산을 생산하였다. 또한 MCWD5 균주는 제공된 포도당의 약 40%를 세포외 고분자물질로 전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연안해역에서 분리된 신규 혐기성 미생물들은 유기산, 고분자 다당류를 생산하는 등 높은 응용성을 지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Density Gradient를 이용한 식품소재를 커들란의 분리공정개발 (Development of Curdlan Separation Process with Density Gradient Centrfugation)

  • 김봉영;이중헌
    • KSBB Journal
    • /
    • 제16권5호
    • /
    • pp.523-525
    • /
    • 2001
  • 커들란은 용액의 pH 7.0에서 salt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커들란만이 액상에 녹아 있는 경우에는 분리공정은 원심분리를 함으로써 분리가 가능하다. 그러나, 세포외 다당류로 생산된 커들란읜 세포, 염 의 무기물이 섞여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커들란 분리의 중요한 변수가 되었다. 커들란의 생산을 위한 분리에 관한 보고는 원심분리 방법을 이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음 세포 및 불순물 등을 제거하여 순수한 커들란을 분리하기 위해 pH swing separation (pH가 높은 경우 커들란이 용액에 녹는 성질을 이용)을 이용하였으나 원심분리를 수 차례 반복해야 되기 때문에 소요되는 동력이 많이 필요하여 에너지 절감형 및 오염절감형의 새로운 공정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온 연구에서는 pH swing separation 에서 동력비가 많은 드는 단점을 감소시키기위하여 커들란의 물리 화학적인 특성을 고려한 분리공정을 개발하였다. 향후 공정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완성시 경제적이 공정을 개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 PDF

상이한 재료로 제조된 발효식초 유래 다당의 화학적 특성과 면역증진 활성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Immuno-Stimulatory Activity of Polysaccharides from Fermented Vinegars Manufactured with Different Raw Materials)

  • 김동수;허병석;신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91-199
    • /
    • 2015
  • 전통발효식초의 면역증진 활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원재료로부터 제조된 국내외산 6종의 발효식초로부터 다당류를 분리하고 이들의 화학 특성과 면역증진 활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6종의 발효식초 유래 조다당 중에서 국내 현미 식초 유래 조다당(KBV-0)과 일본 현미식초 유래 조다당(JBV-0) 및 국내 감식초 유래 조다당(KPV-0)에서 발효식초 대비 높은 수율이 얻어졌으며, in vitro 상에서 대식세포를 활성화하여 우수한 interleukin(IL)-6의 생산 유도 활성을 보여 고 면역활성 다당으로 선별하고 이후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한편 선별된 발효식초 유래 3종의 다당 획분 KBV-0, KPV-0 및 JBV-0는 비특이적 면역계에 있어 중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보체계에 대하여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항보체 활성을 보였지만 KBV-0와 KPV-0의 경우 $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ITCH_{50}$ 62% 및 65%의 활성을 보여 JBV-0에 비해 높은 항보체 활성을 나타냈다. 한편 KBV-0, JBV-0 및 KPV-0는 mouse 복강 macrophage에 대해 특별한 세포독성은 나타내지 않았으며, 대식세포를 자극하여 IL-6, IL-12 및 TNF-${\alpha}$의 생산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하지만 KPV-0의 활성이 각 처리 농도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국내산 전통발효식초에는 타 영양성분 외에 특이 다당류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들 발효식초 유래 다당이 인체 건강유지에 필수적인 면역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추정하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