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생존

검색결과 1,972건 처리시간 0.027초

Response Regulator RssB의 활성 조절 (Regulation of Activity of the Response Regulator RssB)

  • 박희정;방일수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15-220
    • /
    • 2013
  • 많은 세균들은 환경적 스트레스에 대항하기 위해 세균 생존에 유용한 특정 유전자들의 전사를 유도하는 대체시그마 인자 RpoS를 활용한다. 세포 내 RpoS 단백질의 농도는 주로 ClpXP 단백질 분해효소의 조절을 통해 결정된다. RpoS를 ClpXP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adaptor 단백질 RssB가 반드시 필요하다. Two-component-type response regulator RssB는 RpoS와 지속적으로 상호작용을 하지만, 다양한 환경변화에 의해 RssB-RpoS 상호작용이 억제되어 세균에서 RpoS 양을 증가시킨다. 본 총설에서는 최근까지 연구 된 RssB-RpoS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RssB의 anti-adaptor 단백질 IraD, IraM, IraP 등의 조절인자들과 RssB의 N-terminal 수용체 도메인의 인산화에 대해 설명하고 요약하였다. 이러한 RssB의 정교한 활성을 통한 RpoS 분해조절 과정은 외부환경 스트레스로부터 보다 효율적으로 세균을 보호할 수 있다.

이중특이성 인산화 효소의 결손이 Candida albicans 병원성에 미치는 효과 (Disruption of the Dual Specificity Kinase Gene Causes the Reduction of Virulence in Candida albicans)

  • 박윤희;박희문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85-87
    • /
    • 2011
  • C. albicans는 사람에게 병증을 유발하는 기회감염성 진균으로 효모형에서 균사형 및 위균사형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이형성의 감소나 상실은 병원성의 결여와 연관되어 있기에 C. albicans의 병원성에 가장 결정적인 요인으로 여겨진다. 선행 실험을 통하여 이중특이성 인산화 효소의 결손 균주에서 이형성의 감소를 관찰하였기에, 마우스 모델에서 병원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중특이성 인산화 효소의 결손 균주를 감염시킨 경우, 마우스의 생존기간이 약 15일로 야생형의 3.9일보다 증가하였다. 또한 신장조직에 침투한 C. albicans의 세포수는 야생형에 비해 10배 가량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C. albicans에서 이형성과 병원성에 연관된 이중특이성 인산화효소에 의한 새로운 신호전달기작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원형질체 융합 방법을 이용한 전분 발효성 효모의 개발 (Construction of Starch-Fermenting Yeast Using Protoplast Fusion Technique)

  • 전순배;배석;이기영;김수현;이진종;김상문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0-127
    • /
    • 1990
  • 전분 분해능이 있는 담자균성 효모, Filohasidium capsuligenum의 종내 및 Saccharomyces cerevisiae와의 속간 원형질체융합을 시도하였다. F capsuligenum CBS 6122-2의 종내 융합율은 각각 $2.9\times10^{-3}$ (ade+mel trp), $8.5\times10^{-3}$(ade+met)이고, F. capsuligemum CBS 4381 (cys his)과 S.cerevisiae 262-12-1 (hom3 thr1), X2180-1A (ade thr)와의 속간 융합율은 각각 $8.8\times10^{-6}$, $9.5\times10^{-4}$이었다. DNA 정량, 핵 염색, 자외선 조사에 따른 생존력 비교 그리고 형질 분리 분석 결과 등을 통해 종내와 속간에서 핵 융합이 일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종내 융합체의 경우 세포당 $\alpha$-amylase와 glucoamylase 생성능이 양천형에 비해 1.6-2.1배의 증진 효과가 있었다.

  • PDF

새로운 nucleoside계 항암제, ara-CDP-DL-PCA.Na(BR-28702-2)의 약효연구 및 급성독성 시험.

  • 백우현;신원섭;채희상;노정구;강부연;차신우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169-169
    • /
    • 1994
  • 항암 및 면역조절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그 자체가 서방성 prodrug으로서 약효를 나타낼것으로 기대되는 ara-C와 etherphospholipid의 conjugate인 ara-CDP-DL-PCA.2Na, ara-CDP-DL-PBA.2Na, 및 ara-CDP-DL-PMA.2Na 3종의 BR-8702-2의 micellar soultion을 투여시료로 하여 제암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DBA/2J 마우스(평균 체중 25g, 수컷)에 L$_{1210}$임파성 백혈병 세포를 이식한 후, 24시간 후 약물을 복강내에 투여하는 실험계 에서 400mg/kg/day, 단회투여 및 80 혹은 100mg/kg/day, 1~5일간 투여로 ILS%값이 229~543으로 우수한 제암력을 보였다. 또한 BDF$_1$ mice(15~20g)의 axillary region에 3㎣의 Lewis Lung Tumor를 피하로 이식한후 약물투여를 통한 제암효과를 관찰하였다. 100, 200, 300mg/kg/day의 단회 투여계 에서는 수명연장 효과가 없었다. 한편, 20, 40, 60mg/kg/day, 1~5일간의 투여계 에서는 ara-CDP-DL-PCA.2Na만이 효과가 있었는데 농도에 역순하여 저농도인 20mg/kg/day, 1~5일간의 투여계에서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그때의 ILS%는 32.3%였고 투여기간중의 체중변화는 거의 보이지 않았다. 한편 NICOM 370 Dynamic Light Scattering을 이용하여 투여시료로한 micellar solution의 입자도를 분석한 결과 ara-CDP-DL-PCA.2Na는 4.2nm size의 것이 99.48%를 차지하고 있었다. ara-CDP-DL-PCA.2Na의 ICR 마우스를 이용한 급성독성 시험에 있어서 경구투여에서의 LD$_{50}$값은 암,수컷 모두 5000mg/kg이상 이었고, 정맥내 투여 에서는 432mg/kg이었다. 실험과정중 생존동물의 일반적 이상소견등은 없었으나 정맥내 투여의 경우에서 체중증가 억제현상이 있었다.

  • PDF

알러젠 제거 옻나무 추출물 투여로 생존기간이 연장된 4기 비소세포성폐암 환자 1례 (A Case Report of a Patient with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Treated with Allergen Removed Rhus Verniciflua Stokes (aRVS))

  • 최성헌;송안나;안지혜;김은희;박소정;이수경;김경석
    • 대한암한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5-53
    • /
    • 2012
  • Objective : We introduce a case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 treated with allergen removed Rhus verniciflua Stokes. Methods : This patient started Allergen-removed Rhus Verniciflua Stokes from Feb 2010 right after his firstline chemotherapy, and maintained his Oriental medicine regimen until now. Results : It shows 12.0 months of progression-free-survival since starting point of maintenance chemotherapy, and 9.3 months of overall-survival since progression disease after 2nd chemotherapy, compared with 6.3 months of its known overall survival. Conclusion : Allergen removed Rhus verniciflua Stokes prolonged overall survival and slowed disease progression of a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

알러젠 제거 옻나무 추출물 단독치료로 생존기간 연장 및 삶의 질 개선을 보인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 1례 (Long Term Survival of a Patient with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Treated with Allergen Removed Rhus verniciflua Stokes Extract; a Case Report)

  • 송안나;안지혜;김경석;정현식;이수경;최원철
    • 대한암한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9-43
    • /
    • 2012
  • Objective : This study reports one case of a patient diagnosed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ung cancer with bone metastasis. Methods : A 56-year old male patient was diagnosed as squamous cell lung cancer in 1997 and received chemotherapy. The chemotherapy stopped after one cycle because of toxicity and the lung abscess. After four months from the diagnosis, rib metastasis was found and received the radiation therapy for two weeks. After the treatment, adverse effects such as nausea and anorexia appeared. The patient visited K. Korean Medicine Hospital and started the treatment with the allergen removed Rhus verniciflua stokes (aRVS) since December, 1997. Results and Conclusion : During treatment, the patient's quality of life had improved, and he had survived for 14 year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aRVS. This case suggests that aRVS can be an alternative treatment for the advanced NSCLC patients with bone metastasis.

흉선종의 수술적 치료 및 예후인자의 평가 (Surgical Treatment and Assessment of Prognostic Factors of Thymoma)

  • 정경영;김길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7호
    • /
    • pp.734-740
    • /
    • 1996
  • 1981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흉선종으로 세브란스병원에서 수술한 6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중 28명(43.1%)이 중증근무력증을 동반하고 있었으며 마사오카 병기에 의하면 1기 28명(43. 11%), 2기 13명 (20.0%), 3기 22명 (33.8%), 4기a와 4기b가 각각 1명 (1.5%) 이었다. 수술사망은 없었고 완전절제가 48명 (73.8%)에서 가능했으며 수술 후 보조치료는 10명에서 시 행하여졌다. 병리학적분류로 24.6%가 상피세포형, 27.7%가 림파구형, )3.9%가 혼합형이 었다. 5년과 10년 생존율은 각각 87%, 82% 이었으며 흉선종의 수술 후 예후인자는 종양의 국소침윤여부, 종양의 완전절제여부, 흉선암, 병기, 중증 근무력증의 동반 여부였다. 1기 흉선종 환자에서는 재발이 없었다.

  • PDF

정자와 수정란의 동결이 ICSI 시술에서 수정, 발생 및 임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ryopreservation of Sperm and Embryos on fertilization, Development and Pregnancy in Int Application)

  • 민성훈;박용수;박영식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29권3호
    • /
    • pp.193-199
    • /
    • 2005
  • 인간의 불임을 극복하기 위한 번식공학 기술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성세포의 동결이 널리 수행되고 있으나 동결 기술의 효율성에 있어서 논란의 여지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체외수정란을 생산하기 위한 난자세포질내 정자미세주입(ICSI) 시술에 사용되는 정자와 이들 기술을 이용 생산한 체외수정란의 동결이 배 발생 및 임신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ICSI방법으로 체외수정란을 생산하는 경우 정자의 동결이 체외수정, 발생 및 임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특히 동결융해한 사출 및 정소정자에 의한 체외수정율과 발생율 및 임신율도 차이가 없었다. 한편 체외수정란을 동결하는 경우 완만동결과 초자화동결에 의한 체외수정란의 생존율과 임신율은 차이가 없었으나, 동결수정란은 신선수정란에 비하여 임신율이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론적으로 ICSI에 사용되는 정자와 달리 ICSI에 의해 생산된 수정란을 동결하는 경우 임신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한우체세포 복제란이식우 및 정상우의 분만전후 태반특성 및 단백질분리양상

  • 성환후;우제현;임석기;정학재;김봉기;최재혁;장유민;박수봉;윤종택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37-37
    • /
    • 2003
  • 본 연구실에서는 체세포복제 수정란 이식우의 분만전후 태아와 모체 및 태반과의 내분비적인 관계를 검토하기 위해 복제수정란 이식우의 분만 전후에 있어서, 혈중progesterone 과 TGF-$\beta$$_1$ 수준을 분석한 결과 정상우의 분만직전과 달리 혈중progesterone 및 TGF-$\beta$$_1$ 농도는 감소되지 않고 높은 수준을 그대로 유지되어 복제수정란이식우의 경우 정상적인 분만 signal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체세포 복제소 수정란 이식우에 있어서 태반조직의 특성을 정상우의 동일한 시기의 태반과 비교 검토하였으며 분만시기에 있어서 태반의 역할을 검토하였다. 태반은 복제란 이식우 및 정상우 임신우를 술을 실시하여 태반을 채취하여 실험에 공시하였다. 정상우의 임신기간중 혈중 progesterone 농도는 임신초기와 중기에 다소 증가되어 유지되다가 임신말기에는 급격한 progesterone의 감소현상과 더불어 분만이 유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복제우의 경우 분만예정일 직전까지 progesterone의 급격한 감소는 일어나지 않고 높은 농도로 유지되는 현상을 보였다. 이때 제왕절제 수술중 제대근방에 있는 태반궁부를 적출하여 중량을 측정한 결과 정상우의 궁부에 비해 유의적으로 무거웠으며, 이것은 태아의 중량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태아 및 궁부의 중량이 무거울수록 분만 전후의 태아사망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의 궁부를 조직학적으로 검토한 결과, 복제우의 태반궁부는 정상우의 궁부에 비해 cytotrophoblast 및 syncytiotrophoblast가 적었으며 치밀하지 못한 형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의 태반조직를 이용하여 세포질을 추출하여 단백질양상을 검토한 결과, 정상태반에 비해 복제태반은분자량 90kd, 65kd 및 18kd의 특이단백질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들 단백질을 HPLC system에 의해 분리한 결과 fraction 2와 3에서 특이한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이와 같이, 복제우의 태반에는 정상적인 임신과 분만을 비롯하여 복제송아지의 생존에 중요한 인자가 관여하고 있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미각자극에 따른 감각 및 감성적 미각정보 처리과정의 기능적 매핑 비교 (Comparisons of functional brain mappings in sensory and affective aspects following taste stimulation)

  • 이경희
    • 감성과학
    • /
    • 제15권4호
    • /
    • pp.585-592
    • /
    • 2012
  • 음식물 섭취는 영양상태의 유지와 생존을 위해 필요하며, 미각은 가장 기본적인 감각 중의 하나이다. 맛을 느끼는 미각세포는 다섯 가지 기본 맛(단맛, 쓴맛, 짠맛, 신맛, 감칠맛)에 대해 반응한다. 그러나 뇌에서 맛감각의 처리과정과 미각피질의 조직화된 원리에 대한 이해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뇌자도(MEG), 광영상(optical imaging)을 이용하여 미각 자극에 대한 뇌의 반응들을 영상화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뇌 활성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이들 뇌 영상 기법들은 서로 직접적인 비교 데이터를 제공하지는 못하지만, 이러한 기법들은 상호 보완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기법들을 이용한 데이터들의 상호비교는 미각 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뇌의 시간-공간적인 활성 패턴 변화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본 연구는 감각 및 감성적 측면에서의 미각 자극에 따른 뇌의 정보처리에 있어서 미각영역의 활성화에 관한 영상매핑에 대해 최근까지 밝혀진 결과들과 연구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미각 자극에 따른 뇌의 영상 변화를 관찰하여 구조해부학적 지도를 만드는 것은 매우 복잡한 미각의 신경회로망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