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독성평가

검색결과 663건 처리시간 0.028초

전남지역 생활하수처리장과 농공단지폐수처리장 방류수에 대한 세포독성 평가 - XTT, SRB in vitro bio-assay를 이용한 -

  • 이문희;한상국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185-188
    • /
    • 2005
  • XTT assay와 SRB assay를 이용하여 Hep3B와 L929 세포에서 생활하수처리장과 농공단지폐수처리장 방류수의 세포독성을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XTT, SRB 실험법에 적용하여 대표적인 발암성 물질인 Benzo(a)Pyrene의 세포독성을 평가 할 수 있었다. Benzo(a)Pyrene 30uM농도는 Hep 3B와 L929 세포에서 약 50%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2) 단백질합성과 세포호흡의 활성도로 세포독성을 평가할 수 있는 실험법인 XTT와 SRB 실험법에 적용하여 방류수를 추출 농축한 실제 시료에 대한 세포독성을 평가할 수 있었다. 3) 생활하수처리장의 방류수에 비해 다종 고농도의 화학물질로 오염되어있는 농공단지폐수처리장 방류수에서의 독성발현이 더 높았다. 4) 생활하수처리장 방류수와 농공단지폐수처리장 방류수 중 오염도가 가장 심각한 4지점의 화학물질 분석 결과와 in vitro bio-assay에 의한 세포독성 결과가 일치하였다.

  • PDF

담배적용 생체외(in vitro) 평가 (In vitro toxicology test for cigarette mainstream smoke)

  • 신한재;박철훈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6-65
    • /
    • 2008
  • 세포독성과 유전독성 측정법은 독성 평가에 있어서 통합요소이며, 잠재적인 생물학적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규제 당국에 의해 인정되는 방법이다. 이들은 빠르고 경제적인 방법이고, 오랜 사용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양적인 독성을 평가 할 수 있는 방법이다. 담배의 안전성을 평가하기위해 널리 이용되는 3-battery 시험법은 다음과 같다. 1. 미생물을 이용한 복귀돌연변이 시험 2. 포유류 유래 세포주를 이용한 Neutral red 세포독성 3. 포유류 유래 세포주를 이용한 소핵시험

인산 칼슘 근관 봉함재의 세포독성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the Cytotoxicity of Calcium Phosphate Root Canal Sealers)

  • 이지현;백승호;배광식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8권4호
    • /
    • pp.295-30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인산 칼슘 근관 봉함재 [Apatite Root Sealer (ARS) Type I, II, III]의 세포독성을 혼합후의 시간 경과에 따라서 다른 4계열의 근관 봉함재 (Pulp Canal Sealer EWT, AH Plus, Sealapex, Ketac Endo)와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근관 봉함재를 혼합한 후 1시간, 8시간, 24시간, 48시간, 1주, 2주,4주의 기간동안 배양액을 이용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L929 쥐섬유아세포를 24시간동안 각 시간군에서 얻은 추출액과 함께 배양한 후 dimethylthiazol diphenyltetrazolium (MTT) assay와 neutral red (NR) assay를 이용하여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ARS Type I, II, III는 전 시간군에 걸쳐 낮은 세포독성을 보였고 (23.65-0.55%) 특히 경화 초기에 다른 계열의 근관 봉함재보다 유의성 있게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ARS Type I, II, III간의 세포독성은 각 시간군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H Plus와 Ketac Endo는 초기에 높은 세포독성을 보였으나 AH Plus는 8시간 이후에, Ketac Endo는 24시간 이후에 독성이 급격히 감소하여 ARS와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ulp Canal Sealer EWT와 Sealapex는 4주까지 지속적인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MTT assay와 NR assay를 이용하여 얻은 각 근관봉함재의 세포독성은 시간 경과에 따라서 비슷한 변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인산 칼슘 근관 봉함재는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재료로써 앞으로 지속적인 개발과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성인용 치약의 세포독성 평가의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cytotoxicity evaluation of adult dentifrices)

  • 최유리;심연수;장선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305-312
    • /
    • 2019
  • 본 논문은 치약의 성분이 구강 내 세포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활성도, 세포독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일반치약 6종, 미백치약 3종, 천연치약 2종, 양성대조군으로 SLS(sodium lauryl sulfate)를 사용하였다. Immortalized human gingiva fibroblast cell 을 사용하여, 세포활성도 평가를 위하여 WST test, 세포 독성평가를 위해 Agar diffusion test를 시행하였다. 일반치약그룹, 미백치약그룹, 천연치약그룹 순으로 세포 생존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Agar diffusion test는 일반치약그룹과 미백치약그룹은 높은 세포독성을 나타낸 반면 천연치약그룹은 낮은 독성을 나타냈다. 세포핵염색 결과 세포모양과 핵활성도 또한 천연치약이 가장 높은 활성도를 나타냈고, 미백치약, 일반치약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치약의 사용목적에 따라 나누어지는 종류와 성분별 세포독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비자의 올바른 선택을 위해 치약의 자세한 성분표기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유전독성물질의 평가방법과 그 기작에 관한 연구

  • 이정섭;박종근;박종광;박상대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170-170
    • /
    • 1993
  • 유전독성물절외 검출과 평가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모델 시스템의 개발 및 DNA 회복기작을 규명할 목적으로 수종의 돌연변이, 발암원을 이용하여 배양 포유동물세포 및 어류세포에서 세포생존률, DNA 합성 및 복제억제의 양상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MMS및 MNNG 와 같은 알칼라제는 CHO 세포에서 유의한 DNA 합성저해, DNA 복재억제, DNA 단사절단 및 비주기성 DNA 합성률의 증가를 유발하였다. Benzo(a)pyrene과 3-methylcholanthrene좌 같은 DNA 상해 전구물질의 경우 유전독성 여부의 판정에는 반드시 S-9/15과 같은 대사활성계 또는 mouse embryonic fibroblast와 같은 대사 활성능이 있는 세포와의 co-culture system들이 필요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에 의한 DNA 상해와 복재억제 유도의 작용양상은 자외선의 작용양상과 유사하였다. 배양 어류세포에서 자외선에 의한 세포생존율의 측정, 광재활성능의 분석 및 자외선에 의해 유발된 피리미딘 이량체 절제능 검토 및 DNA 합성 저해능의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유전독성 평가를 위한 모델 시스템 구축의 기초결과를 얻었다.

  • PDF

HepG2 인간 세포주, Lumbricus rubellus 및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한 내분비교란물질의 독성평가 (Toxicity Evaluation of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Using Human HepG2 Cell Line, Lumbricus rubellu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 손호용;김홍주;금은주;조민섭;이중복;김종식;권기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19-924
    • /
    • 2006
  • 다양한 독성물질 및 이들의 대사산물의 효율적인 생물독성 평가시스템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분비계 교란물질인 endosulfan, bisphenol A, vinclozolin 및 3,5-dichloroaniline을 대상으로 인간 간암세포주, 지렁이, 효모를 이용한 세포독성 및 성장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인간 간암세포주 독성평가에서는 endosulfan, 3,5-dichloroaniline, bisphenol A의 순으로 독성이 나타났으며, 지렁이 독성평가에서는 endosulfan, bisphenol A, 3,5-dichloroaniline의 순으로 독성이 나타났다. 효모를 이용한 독성평가에서는 3,5-dichloroaniline, endosulfan, bisphenol A의 순으로 독성이 나타나 다른 시스템과는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vinclozolin의 경우 3가지 독성평가 시스템에서 모두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동일한 물질을 서로 다른 생물 독성평가 시스템을 사용하여 평가하는 경우, 부분적인 오류가 나타날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으며, 독성 유무 판단은 가능하더라도, 독성 정량평가 및 독성 정도를 비교하는 것은 어렵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본 결과는, 다양한 물질 및 이들의 대사산물의 일차적 독성평가에는 지렁이 및 효모시스템이 빠르고 경제적임을 암시하고 있으며, 독성이 인정될 경우 인간세포주 및 동물시험에 의한 검증이 효율적이라고 판단된다.

새로운 레진 계통의 근관봉함재의 독성과 항균 작용에 대한 연구 (Cytotoxicity and Antibacterial property of New Resin-based Sealer)

  • Park, So-Young;Lee, Woo-Cheol;Lim, Sung-Sam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8권2호
    • /
    • pp.162-168
    • /
    • 2003
  • 이 연구는 기존의 레진 근관봉함재를 보완하여 개발한 근관봉함재(Adseal; 새로운 레진 계통의 근관봉함재)를 이미 상품화된 레진 계통의 근관봉함재(AH 26, AH Plus), 산화 아연 유지놀 계통의 근관봉함재(TubliSeal EWT, Pulpcanal sealer EWT), 수산화 칼슘 계통의 근관봉함재(Sealapex)와 비교하여 세포독성과 항균작용을 평가하고자 한다. 세포독성 실험은 L929 쥐의 섬유아세포를 사용하여 세포의 viable ratio를 계산한 후, Giemsa stain으로 염색하여 세포의 양상을 관찰하였고, 항균작용 실험은 Enterococcus faecalis Porphyromonas endodontalis, Porphyomonas gingivalis, Prevotella intermedia, Fusobacterium nucleatum 와 Fusobacterium necrophorum를 사용하여 agar diffusion test로 평가한다. Adseal은 다른 근관봉함재에 비해 훨씬 낮은 세포독성을 보였고, AH Plus, AH 26, TubliSeal EWT, Sealapex, Pulpcanal sealer EWT의 순으로 세포독성의 정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Adseal은 Enterococcus faecalis 에서는 낮은 항균작용을 보이지만, Black-pigmented bacteria 에서는 높은 항균작용을 보이는데, 모든 근관봉함재는 서로 다른 종에 따라 어느 정도의 항균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Rediata pine의 fast pyrolysis 공정에서 얻어진 bio-oil의 세포독성, 유전독성 및 생태독성 평가 (Evaluation of Cyto-, Geno- and Ecotoxicity of Bio-oil from the Fast Pyrolysis of Rediata Pine)

  • 박선영;김주식;박영권;최진희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3권3호
    • /
    • pp.187-194
    • /
    • 2008
  • 국내에서 목질계 바이오매스는 유망한 재생가능한 자원이다. Fast pyrolysis을 통한 radiata pine 톱밥의 bio-oil의 전환은 벤치스케일의 유동층 반응기을 이용하였다. 이 실험에서 얻어진 bio-oil은 주로 산, 페놀, 알킬페놀 등을 포함하고 있었고. 세포생존율실험, comet assay, 물벼룩 급성유영저해실험을 이용하여 각각 세포독성, 유전독성 및 생태독성을 평가하였다. Bio-oil의 액상부분은 타르 부분보다 세포독성과 유전독성이 더 높게 나타났고, 반면 타르부분은 액상부분에 비해 생태독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통해 pyrolysis 생성물에 대한 다양한 독성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보다 다양한 독성 지표의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산화철 나노입자의 U373MG 세포 독성평가 및 방사선 세포생존 곡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Research on Superparamagnetic Iron Oxide Nanoparticles' Toxicity to U373MG Cell and its Effect on the Radiation Survival Curve)

  • 강성희;김정환;김도경;강보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507-513
    • /
    • 2012
  • 본 연구는 초상자성 산화철 나노입자 (SPIONs)의 세포독성평가 및 SPIONs를 uptake한 뇌신경교종 (glioblastoma multiforme, GBM) 세포의 방사선 세포생존곡선을 구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양성자선과 SPIONs 이용한 GBM의 양성자선 치료선량 정보 등 양성자선 치료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SPIONs의 세포독성을 평가는 in vitro 실험 후 MTT 분석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독성평가 결과 $1{\sim}100{\mu}g/ml$의 농도에서는 세포생존율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200{\mu}g/ml$의 농도에서는 세포생존율이 74.2%로 감소하며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SPIONs가 uptake 된 U373MG세포와 uptake 되지 않은 U373MG세포에 0~5 Gy의 양성자선을 조사하여 각각에 대한 세포생존곡선을 측정한 결과를 분석하여 SPIONs가 uptake된 U373MG세포의 세포생존율이 더 급격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SPIONs가 uptake 된 세포에서는 보다 적은 선량으로도 세포사멸을 유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GBM에 SPIONs를 타겟팅하면 양성자선을 이용한 뇌신경교종 치료효과를 개선할 수 있음을 보였다.

세륨옥사이드나노입자(Cerium Oxide Nano Particles; CNPs)를 첨가한 치면열구전색재의 물리적 특성 및 세포독성 (Physical Properties and Cytotoxicity of Dental Pit and Fissure Sealants Containing Cerium Oxide Nano Particles(CNPs))

  • 정미애;김동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586-592
    • /
    • 2022
  • 본 연구는 기존의 치면열구전색재 ConciseTM에 세륨옥사이드 나노입자(Cerium oxide nano particles; CNPs)를 0-4.0 wt%를 첨가하여 새로운 치면열구전색재를 제조하여 물리적 성질과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물리적 성질은 중합깊이, 물흡수도와 용해도를 측정하였고 세포독성평가는 불멸화된 구강점막세포(Immortalized human oral keratinocyte (IHOK))를 이용하여 MTT assay법으로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중합 깊이는 CNPs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용해도는 CNPs를 2.0 wt% 첨가된 실험군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물흡수도는 각 실험군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세포독성 실험 결과는 모든 실험군에서 높은 세포 생존율을 보였다. 이는 CNPs가 물리적 성질을 크게 약화 시키지 않으며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생체 적합성을 입증하였다. CNPs의 특성을 고려하여 향후 CNPs의 효율적인 분산 기술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