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독성시험

검색결과 295건 처리시간 0.025초

곤달비 잎과 뿌리의 생물 활성 (Biological Effects of the Leaves and Roots of Ligularia stenocephala)

  • 남영주;이동웅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1호
    • /
    • pp.1381-1387
    • /
    • 2013
  • 국내에서 식품으로 사용되고 있는 국화과 식물인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 잎과 뿌리의 생물활성을 과학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각 추출물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 및 세포독성을 in vitro에서, 간보호 효과, 알코올 해독작용 및 기억증진 효능 등을 in vivo에서 평가하였으며 잎의 독특한 향기성분을 GC-MS로 분석하였다.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는 잎(20.4% 억제율)이 뿌리 보다 좋았으며, 유해 라디칼의 일종인 superoxide anion은 뿌리에서 생성 억제효과가 더 좋았고, DPPH 소거활성은 잎과 뿌리 모두 77~79%로 매우 뛰어났다. 사염화탄소로 유발된 급성 간독성 개선효과를 AST와 ALT 효소활성도를 지표로 확인한 결과, 잎의 ALT 억제활성이 대조군에 비해 약 78% 정도 감소하였으며 알코올을 투여한 mouse의 혈중 알코올 농도는 잎추출물 투여시 약 60% 가량 유의성 있게 감소되어 효과를 인정할 수 있었다. 세포독성은 뿌리에서 비교적 강하게 나타났는데, 흑색종의 경우, $IC_{50}=40.14mg/ml$이었으며, 잎의 세포독성은 비교적 약하였다. 기억증진 효과를 동물모델을 이용한 수동회피시험법으로 평가한 결과, 잎과 뿌리 모두 scopolamine에 의해 유도된 기억력 감소를 80% 이상 향상시킨 것으로 조사되었다. 곤달비 잎의 n-헥산 추출물을 GC-MS로 분석한 결과, 독특한 향기는 주로 terpene 화합물에서 유래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국내 자생 민들레의 종류별 항산화성 및 세포독성 연구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Different Taraxacum Species in Korea)

  • 천상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51-59
    • /
    • 2012
  • 민들레의 종류별 성분 및 생리활성 차이를 검토하고자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성 및 항암성을 분석하였다. 민들레 종류별 $1000mg\;kg^{-1}$의 메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지상부 추출물이 $50.2{\sim}76.8mg\;kg^{-1}$범위로 지하부 추출물 $24.9{\sim}40.0mg\;kg^{-1}$범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종별로는 민들레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흰민들레와 서양민들레 순으로 나타났다. 민들레의 지상부 및 지하부 추출물에서 각각 76.8과 $40.0mg\;kg^{-1}$를 보여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p$ < 0.05). 한편,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총 페놀 함량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총 페놀 함량보다 낮은 함량 범위($6.5{\sim}36.4mg\;kg^{-1}$)를 보였다. DPPH 라디컬 소거능은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민들레의 지상부와 뿌리 추출물 $1,000mg\;kg^{-1}$에서 DPPH 라디컬 소거능은 각각 89.6와 83.4%의 소거능을 보여 다른 두 종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MTT법에 의한 세포독성 시험에서 민들레 종류별 지상부와 지하부 추출물의 폐암세포주(Calu-6)에 대한 세포 생존율은 민들레 추출물에서 가장 낮았고($IC_{50}$값 = 83.4과 $66.4mg\;kg^{-1}$), 그 다음으로 흰민들레와 서양민들레 순으로 높은 생존율을 보여 민들레가 다른 두 종에 비해 높은 세포독성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한편, 위암세포주(SNU-601)에 대한 세포 생존율은 폐암세포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으로 이는 추출물이 더 낮은 항암활성을 갖고 있음을 나타냈다. 각 성분과 생리활성 항목간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총 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 또는 세포독성 항목간의 상관관계($r^2$=0.0097~0.6213)는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 또는 세포독성 항목간 상관관계($r^2$=0.0027~0.4627) 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총 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항산화성 및 세포독성 과 높은 연관성을 보이며, 그 함량과 활성은 민들레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A 13 Week Subacute Toxicity Study of EGF$\alpha$(DWP-401) in Mice

  • Song, Si-Whan;Kang, Boo-Hyon;Shin, Chun-Chul;Kim, Hee-Yeun;Han, Sang-Seop;Park, Jeong-Koo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22-122
    • /
    • 1995
  • 본 연구는 유전공학적인 방법으로 합성된 상피세포성장호르몬인 DWP-401에 대한 마우스의 반복투여에 의한 아급성독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군은 ICR 마우스 압수 각각 10 마리씩으로 하여 3 개의 처치군 및 대조군(0, 1, 0.2, 0.04 mg/kg)과 회복시험군(0, 1 mg/kg)을 두었다. 시험물질은 13 주간 경배 부 피하에 1 주에 6 회의 빈도로 투여하였고 대조군과 최고용량 군에서 5 주간의 회복기간을 두었다. 시험기간 중 체중, 사료섭취량 및 음수섭취량을 측정하였고, 뇨검사, 안검사, 혈액학적검사, 혈액생화학적 검사, 부검소견관찰, 장기중량측정 및 병리조직학적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 DWP-401의 마우스에 대한 표적장기는 상피세포, 간장, 비장, 부신, 방광 신장, 각 장기의 복막과 흉막, 림프계, 난소 및 투여부위였고 회복성이 인정되었다. 무해용량은 0.04 mg/kg/day였으며 확실 중독량은 0.2 mg/kg/day 이상으로 사료되었다.

  • PDF

자연삼 발효 추출물의 미백 활성에 대한 연구 (Skin lightening effect of fermented Panax ginseng extract)

  • 이효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85-292
    • /
    • 2019
  • 인삼은 다양한 약리학적 활성을 나타내며 이러한 활성은 사포닌에 기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포닌 중 주사포닌이 분해된 부사포닌이 주사포닌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며 부사포닌의 함량은 발효를 통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삼의 발효 추출물의 미백 활성을 측정하여 화장품 원료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하였다. 자연삼을 발효하고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멜라닌 합성효소에 대한 저해 활성과 세포 내 멜라닌 합성 억제능을 평가하였다. 아울러 세포독성을 측정하여 안전성을 평가하였고 임상시험을 통하여 자외선에 의한 색소침착 억제능을 평가하였다. 기존 미백 원료인 Kojic acid나 Arbutin과 비교하여 자연삼 발효 추출물은 멜라닌 합성 억제능이 더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고 세포 독성도 낮게 나타났으며 임상평가를 통하여 자외선에 의한 색소침착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천연물의 세포생물학과 임상학적 융합연구이며 이를 통하여 개발된 자연삼 발효 추출물은 안전하며 우수한 미백효과를 가지는 미백 화장품 원료로 평가된다.

녹용 발효 케라틴 펩타이드에 의한 인체 모발 연구 (Study on Effect of Human Hair by Deer Antler Fermented Keratin Peptide)

  • 남개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85-39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녹용에 함유한 단백질인 케라틴을 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로 고온 혐기 발효를 통하여 케라틴 펩타이드를 생산하고, 인체 모발 관련한 인자를 확인하여, 화장품 원료로서 케라틴 펩타이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모유두 세포주에서 녹용 발효 케라틴 펩타이드를 농도에 따라 세포 독성 및 증식을 확인한 결과, 세포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고, 세포 증식 효과를 보였다. 인체 모유두 세포에 대하여 녹용 발효 케라틴 펩타이드에 따른 성장인자의 증가를 확인하여 모발에 영향을 준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녹용 발효 케라틴 펩타이드를 함유한 화장품을 제조하여 피부 안전성 및 탈모 증상 완화 인체 효력 시험을 수행한 결과, 사용 12 주 후에 제품 사용 전 대비 전체 모발 수의 증가 및 대조군과 비교시 전체 모발 개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녹용 발효 케라틴 펩타이드는 기능성 화장품 원료뿐만 아니라 건강 기능 식품 소재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해양생물 추출물의 대장암세포주에 대한 항암 작용 검색 (Anti-cancer Effect of Marine Resources Against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 정주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0-74
    • /
    • 2017
  • 해양생물자원은 차세대 바이오산업의 중요한 자원으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다양한 해양생물자원이 생물학적 활성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기대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시료 채취의 어려움 등으로 개발에 제한이 있었다. 해면동물, 해조류, 산호 등의 대부분의 해양생물자원들이 험난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특수한 대사산물을 만들어 낼 것으로 여겨지고 있어 이를 활용하기 위한 노력들이 기울여지고 있다. 많은 종류의 해양생물자원 중에서 바이오산업에 활용할 수 있는 항암, 항균, 항바이러스 및 항암 작용 등과 같은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물질을 선별하는 것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항암 작용을 갖는 해양생물자원을 도출하기 위하여 사람유래 대장암 세포주에서 세포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해양생물자원은 2013년 3월 마크로네시아에서 채취한 샘플들로 메탄올로 추출한 물질을 사용하였다. 해양생물자원의 세포독성시험을 실시하여 20개의 시료 중에서 3개의 시료에서 농도의존적인 세포 생존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검색된 시료들 중 2종만이 동정되어, 해면동물 Hyrtios sp.임이 밝혀졌다. 한종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상태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동정이 필요하였다. Hyrtios sp. 추출물(1304KO-327과 1304KO-329)의 HCT116세포 증식억제작용은 이전 연구에서 보고된 RKO에서의 작용과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대장암세포주의 생존 억제 활성을 밝혀낸 3종의 도출 물질은 앞으로의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추출물 중의 항암 활성 물질을 규명함으로써 바이오산업의 새로운 개발 자원으로 활용될 것이 기대된다.

금잔화 추출물의 미백활성 및 항균 효과 (Effect of Calendula arvensis extract on anti-melanogenesis and antimicrobial activity)

  • 김현수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2호
    • /
    • pp.137-141
    • /
    • 2019
  • 본 연구에서 금잔화(Calendula arvensis)에 대한 다양한 생리, 화학적 활성을 시험하여 기능성소재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금잔화 추출물은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세포독성이 거의 없는 농도에서 금잔화 추출물 처리 시, 산화방지 활성, tyrosinase 활성저해 및 멜라닌 함량 저하를 보여주었다. 금잔화 추출물 농도에 따라 tyrosinase 단백질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이는 금잔화 추출물이 tyrosinase의 활성 및 단백질 발현을 억제시키거나 혹은 멜라노좀 수송 저해 등 다른 요인에 의해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금잔화 추출물 처리 시, 항균활성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금잔화 추출물은 향후 기능성 소재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물질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랫드 고환세포의 배양조건 설정에 관한 연구 (Establishment of Incubational Conditions for Rat Testicular Cells)

  • 김판기;박귀례;한순영;신재호;이유미;김준규;권석철;이용욱;장성재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8-73
    • /
    • 1995
  • 화합물질의 개발사용 및 환경오염 물질의 증가로 인하여 남성수태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이 증가하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남성 수태능력 영향물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랫드의 고환세포를 이용한 남성 수태능력시험법을 개발하고자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랫드의 고환 세포로부터 주요한 기능을 가진 Sertoli cell과 Leyding cell을 효소처리, 필터 그리고 percoll gradient과정을 거쳐 각각 분리하였다. 분리된 두 종류의 세포는 32$\circ$C에서 초기 배양한 후 37$\circ$C에서 계속 배양하였다. 본 배양조건에서 두 종류 세포는 양호한 발육을 보였으며 약 2주간의 배양이 가능하였다. Sertoli cell은 3주령의 랫드에서 분리가 잘되었고 Leydig cell은 85.7%의 생존율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랫드의 고환세포중 Sertoli cell과 Leyding cell을 분리 배양하였으며, 앞으로 독성물질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생화학적 및 구조적인 index 설정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스테비올 및 그 유도체의 세포연접 관련 클라우딘 8 발현 조절을 통한 세포이동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 of Steviol and Its Derivatives on Cell Migration via Regulation of Tight Junction-related Protein Claudin 8)

  • 최선경;조남준;조욱민;심중현;김기광;황형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03-412
    • /
    • 2016
  • 밀착연접(tight junction, TJ)은 인접하는 표피 세포 사이를 서로 연결 및 접합하여 전해질과 수분의 이동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세포 내 신호를 전달하고 세포분열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TJ 관련 단백질들의 비정상적 발현은 암 발생 및 진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TJ 구성 단백질의 발현 조절은 피부 장벽 강화 및 보습 조절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졌다. 본 연구에서는 세포 장벽 조절을 통해 피부 보습 조절에 관여하는 새로운 화장품 소재를 발굴하기 위해 여러가지 소재들에 대한 스크리닝을 수행하였다. 이 중 인공 감미료 소재로 널리 사용되는 스테비올 및 당 유도체(스테비오사이드)의 미백 및 주름 개선 등의 효능에 대한 기존 보고에 따라, 이들에 의한 TJ 조절 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세포 활성 기능 시험을 수행하였다. MTS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 inner salt)를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스테비올은 human keratinocyte cell line인 HaCaT 세포에 $250{\mu}M$ 까지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Quantitative real-time PCR을 이용한 TJ 관련 단백질들의 mRNA 발현 변화를 통하여 스테비올에 의한 TJ 조절 기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스테비올은 TJ 관련 단백질 중 특이적으로 claudin 8을 대조군 대비 30% 수준까지 감소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세포이동에 의한 영향을 관찰한 결과 스테비올 처리에 의해 세포이동이 현저히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세포 장벽의 투과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표피세포 피부저항(transepithelial electric resistance, TEER) 분석 결과 스테비올에 의한 세포투과성(cell permeability) 또한 증가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에 반해, 스테비올 유도체(스테비오사이드, 리바우디오사이드)에서는 $1000{\mu}M$까지 세포 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claudin 8 발현 억제 및 세포이동 저해현상도 관찰되지 않았다. 스테비올은 HaCaT 세포의 세포 독성, claudin 8 발현 억제, 그리고 세포 이동의 저해효과를 보이는 반면 스테비올 당 유도체인 스테비오사이드, 리바우디오사이드는 세포 독성 및 세포이동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 결과들은 스테비올 당 유도체가 향후 화장품 원료로써 스테비올보다 적합한 소재임을 시사한다.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의 안전성 평가 (Safety Evaluation of Korean Mistletoe Extract)

  • 김인보;정주성;윤택준;김종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83-39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겨우살이 열수 추출물인 미슬로 C의 안전성을 검토하고자 유전 독성 및 실험동물을 이용한 안전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미슬로 C의 미생물 돌연변이 실험을 S. typhimurium의 히스티딘 요구성 균주와 E. coli의 트립토판 요구성 균주를 이용하여 대사 활성계 적용 및 비적용 하에서 복귀돌연변이 시험을 실시한 바, $5,000{\mu}g/plate$의 처리 농도까지 복귀돌연변이 집락은 나타나지 않았다. ICR 마우스에게 500, 1,000 및 2,000 mg/kg를 경구 투여하고, 골수세포를 수집하여 소핵을 측정한 결과, 정상마우스의 경우와 비교하여 유의한 소핵은 관찰되지 않았기에 미슬로 C는 유전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품의약안전청의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기준에 따라 암 수 SD 계열의 랫드에 시험물질을 0, 500, 1,000 및 2,000 mg/kg/day의 용량으로 1회 경구 투여한 후, 14일간의 체중 변화 및 사망률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체중 변화는 없었으며, $LD_{50}$은 2,000 mg/kg 이상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0, 250, 500 및 1,000 mg/kg/day의 용량으로 13주간 반복 투여하면서 실험동물의 일반증상, 체중변화, 혈액 및 혈액생화학적 변화, 부검소견, 조직학적인 변화를 관찰하였다. 시험기간 중 암 수 모든 군에서 시험물질 투여에 기인한 일반적인 증상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고, 시험물질의 반복 투여로 인한 사망 마우스 역시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미슬로 C를 13주간의 랫드에 대한 13주 반복 경구 투여 결과, 무독성량은 최소한 1,000 mg/kg 이하인 결과를 나타냈으며, 이 농도에서 독성을 유발하는 표적장기는 관찰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