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정제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6초

의치 세정제가 의치상 레진과 이장용 레진의 결합강도와 표면경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NTURE CLEANSERS ON THE BOND STRENGTH AND THE SURFACE HARDNESS OF RELINE RESIN TO DENTURE BASE RESIN)

  • 김계순;정회열;김유리;조혜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93-502
    • /
    • 2003
  • Statement of problem : Removable partial denture and complete denture often require denture base relines to improve the fittness against tissue-bearing mucosa because of the gradual change in edentulous ridge contour and resorption of underlyng bony structure. Self-curing hard reline resins offers the immediate and relatively inexpensive means to be recondition the surface of denture base directly However weak bond between denture base resin and reline material can harbor bacteria, promote staining, or result in complete separation of the two materials.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denture cleansers on bond strength and surface hardness of reline resin to denture base resin Denture base resin beams($60.0{\times}15.0{\times}3.0mm$) were made with Lucitone 199. Material and methods : 10mm section was removed from the center of each specimen. The samples were replaced in the molds and the space of l0mm sections were packed with Tokuso Rebase reline material. The specimens were immersed in denture cleansers (Polident, Cleadent) and were evaluated after 1 week, 2 weeks, and 4 weeks. The bond strength and surface hardness of self-curing hard reline materials to heat-curing denture base resin were measured using an UTM (universal testing machine). Results and conclusion :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usage, kind, and denture cleaner by application time on the bonding strength of self-curing hard reline resin to denture base resin.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usage, kind, and denture cleaner by application time on the surface hardness, but the surface hardness showed decreasing tendency, as the time of immersion was extended. 3) The failure modes of the specimens was initially adhesive failure and finally cohesive failure of self-curing hard reline resin.

방사선비상시 비강스메어 시료의 전알파 분석 및 내부피폭선량평가 절차 (Gross Alpha Analysis of Nasal Smear Samples and Internal Dose Assessment Procedure in Radiation Emergency)

  • 윤석원;하위호;김미령;이승숙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7권4호
    • /
    • pp.226-230
    • /
    • 2012
  • 방사선 사고시 피폭환자로부터 채취된 스메어 시료의 전알파 방사능 측정법을 수립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피폭환자의 후속조치 절차를 확립하였다. 국내방사선사고 대응기관에서 사용중인 스메어용 면봉을 이용하여 계측 절차를 검증하였다. 액체섬광계수기를 이용하여 표준선원을 점적한 시료의 계측 결과 20% 이내에서 인증값과 잘 일치하였으며, 채취 조건은 세정제 등을 이용하는 것이 더 높은 스메어 효율을 보였다. 액체섬광계수법 특성상 소광현상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건조 등의 최소한의 전처리가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계측결과를 바탕으로 방사선비상시 피폭환자에 대한 의료적 처치 기준 및 선량평가 절차를 수립하였다.

알지네이트계 고분자 계면활성제의 합성 (Synthesis of Alginate-derived Polymeric Surfactants)

  • 강현아
    • KSBB Journal
    • /
    • 제15권4호
    • /
    • pp.375-379
    • /
    • 2000
  • 자연물 유래의 생고분자 (biopolymer) 인 알지네이트를 이용하여 천연물 소재의 고분자 계면활성제를 합성하고자 하였 으며, 이를 위해 얄지네이트를 화학반응을 통해 변형시켰다. 합성된 알지네이트계 고분자 계면활성제 (APSs)의 특성을 파 악하기 위해 표면장력, 유기불 용해 실험 (azobenzene) , 및 회 분식 방법에 의한 중급속(Pb, Co) 제거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APSs는 순수한 알지네이트에는 없었던 표면활성능 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또한 Pb, Co 제거율이 순수한 알지네 이트와 상응하는 높은 값을 나타냈다. 유기물 제거 실험 결 과는 일반적인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는데 이는 고분자 골격 이 존재함으로 인해 미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40%산화된 얄지네이트에 C8 (octyl amine)을 도입한 계 면활성제의 경우, 상용되고 있는 당류계 고분자 계면활성제 인 APG 와 유사한 제거능을 보였다 결과 APSs 에 의해 유 기불과 중금속이 제거되었으며 이것으로 볼 때 순수한 알지 네이트에 소수성기를 도입해 줌으로서 새로운 기능이 부여된 세정제로서의 APSs가 합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GC/ECD 및 GC/MS를 이용한 트리클로산 정량분석에 관한 기초 연구 (Funda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testing method of Triclosan with GC/ECD and GC/MS)

  • 정희재;이재인;권덕준;엄희정;최철호;최기인
    • 분석과학
    • /
    • 제25권6호
    • /
    • pp.410-41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항균제, 세정제 및 살균제의 형태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물질 중 하나인 트리클로산에 대한 전처리 방법 및 정량분석 방법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노말헥산을 추출용매로 하여 속실렛 추출기에서 8 시간 추출할 경우, 가장 높은 추출효율을 보였으며, 분석장비는 GC-ECD와 GC-MS 모두 양호한 분석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조제한 종이 여과지 시료 및 솜 시료를 각각 30 개씩 분석한 결과, 높은 트리클로산 추출효율, 낮은 분석 편차, 일원배치법에 따른 분산분석 결과를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조제한 시료 및 본 연구에서 제시한 추출 및 분석방법은 종이 및 섬유시료 내 트리클로산 분석에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SD흰쥐를 이용한 n-decane의 28일 반복흡입독성연구 (A Twenty-Eight Days Inhalation Toxicity Study of N-decane in Sprague Dawley Rats)

  • 임경택;김현영;송경석;정용현;장희경;한정희;이성배;전윤석;이용묵;유일재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9권4호
    • /
    • pp.345-352
    • /
    • 2004
  • N-decane은 지방족탄화수소로 다른 탄환수소들과 같이 혼합된 형태로 존재하며 페인트 제거제나 드라이 크리닝 제품에 사용된다. 최근의 본 연구팀이 실시한 전자산업계의 MSDS 신뢰성조사 결과에 따르면 세정제의 사용 경향은 과거의 방향족 탄화수소나 CFC. HCFC에서 $C_{10}$이상의 지방족탄화수소 물질로 변화되고 있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Stoddard solvent나 나프타 같은 탄화수소 혼합물에 대한 작업 환경노출기준은 설정되어있지만 n-decane에 대해서는 제한적인 독성자료 밖에 없으며 작업환경노출기준은 설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작업환경에 대한 적절한 관리기준제시와 독성학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n-decane을 28일 반복 흡입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6주령 흰쥐로 체중이 229$\pm$10g되는 숫컷과 165$\pm$7g되는 암컷 흰쥐를 4개 용량군 즉 대조군, 저농도군(50ppm), 중농도군(200ppm), 고농도군(800ppm) (각군당 10마리)으로 설정하여 하루 6시간, 주5일로 4주간 흡입쳄버에서 노출시켰다. 28일간 노출 후 n-decane의 노출용량에 따른 암수의 체중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유의한 혈액학적 생화학적 변화도 발견되지 않았다. 고농도로 노출된 수컷 몇 마리에서 고환 세정관에서의 공포화(vacuolization)가 발견되었으나, 간신장, 비장, 폐, 부신, 심장, 뇌 등 다른 장기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는 뚜렷한 조직병리학적인 변화를 발견할 수 없었다.

토양 간극수의 효율적 포집을 위한 오염물질 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ntaminant Removal for Pore-Water Collection)

  • 이성백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9-73
    • /
    • 1999
  • PCAPS는 토양 간극수를 효율적으로 포집하기 위해서 fiberglass wick의 모세관 잠재력을 이용하여 토양오염을 조사하는 장치이다. Fiberglass에 붙어 있는 불순물은 wick의 모세관 성질과 포집된 시료의 화학적 성질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4가지 처리방법들 (소각처리, 아세톤처리, 세정제처리, 비세척)을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Wick은 미국의 PPG Industries와 Manville Company에서 생산되는 제품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로, PPG fiber는 소각처리에 의해 원래 부피의 3.4%정도 손실되었으며, Manville fiber 는 0.6%미만이 손실되었다. 이들 손실은 제작과정에 사용된 유기합성물이 소각되면서 발생하였다. 모든 세척방법들은 비세척 방법보다 모세관의 상승높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소각이 가장 좋은 세척방법으로 나타났으며 40$0^{\circ}C$의 온도에서 4시간 처리시 불순물의 98~100%를 제거할 수 있었다.

  • PDF

사람주나무 종실유의 화학적 조성 (Chemical Components of Seed Oil of Sapium japonicum Pax. et Hoffm.)

  • 최명석;양재경;강병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74-282
    • /
    • 2000
  • 사람주나무 (Sapium japonicum) 종실유의 물리 화학적 특성과 구성성분을 다양한 분석법으로 구명하였다. 사람주나무의 종실유를 구성하는 지질은 중성지질이 93% 로 가장 높고 , glycolipid 가 4.9%, phospholipid가 1.3%로 나타났다. GC 분석 결과 사람주나무의 종실에는 9종의 지방산이 존재하였다. 종실유에서 지방산의 함량은 저장기간 등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종실유 중 3종의 지질은 silica open column을 통해 분획하고, 이들의 지방산 성분을 조사하였다. 3종의 지질 중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로 나타났다. 채취직후의 종실유에서 지방산의 함량은 저장된 종실유의 지방산에 비해 전반적으로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사람주나무의 종실유는 화장품, 세정제, 의약품 등으로의 이용이 기대된다.

  • PDF

세정제 음독후 발생한 역류성 식도질환 및 연하곤란 환자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and Dysphagia Caused by Ingestion of Detergent)

  • 김영지;박정수;성현경;이주아;김담희;고호연;공경환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855-862
    • /
    • 2016
  • The recent increased interest in hygiene has led to the use of a variety of detergents everyday life. Accordingly, accidents occur frequently, but proper precautions or treatments have not yet been established for these occasions. The patient in this case had accidentally ingested basic detergent, after mistaking it for a drink. This had caused acid reflux swallowing distress. Treatment in a western medical hospital had resulted in improvement in inflammation, as observed with an esophageal endoscopy test, but the patient still found it almost impossible to drink or eat. Following treatment with herbal medicine and acupuncture, the patient’s food intake increased and the pain and dysphagia were diminished. We cannot generalize based only on this one case study, so further studies are needed.

폴리아마이드계 복합막을 이용한 염료 폐수 처리 공정 분리막 세척 조건 연구 (Study on the Membrane Cleaning-in-place (CIP) Conditions for the Dy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Using Polyamide Composite Membranes)

  • 제갈종건;이용환;황정은;정재윤
    • 멤브레인
    • /
    • 제18권1호
    • /
    • pp.94-102
    • /
    • 2008
  • 염색폐수처리를 위하여 피페라진, 메타페닐렌디아미, 트리메소일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계면중합법으로 폴리아마이드계 나노분리막과 폴리아마이드계 역삼투막을 제조하였으며, 이들을 오스모닉스사로부터 구입한 역삼투막의 투과특성과 비교하였다. 이들의 기본 분리투과특성 조사를 위하여 PEG 600, $Na_2SO_4$, NaCl 수용액을 이용하였으며, 제조된 분리막들은 전형적인 나노복합막과 저압용 역삼투막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제조된 이들 분리막들을 이용하여 국내 염료 제조업체인 (주)경인양행으로부터 공급된 실제 염색폐수를 처리하였으며, 이때 이들의 분리투과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분리막을 이용한 폐수처리 시 발생되는 분리막 오염을 제거하기 위하여 일정시간마다 CIP를 실시하였다. 이때 3종류의 서로 다른 화학세정제를 사용하였으며, 이들의 세척성능을 살펴보았다.

개에서 피부세정제 적용빈도가 정상피부에 미치는 영향 (Functional Assessment of Frequency of a Commercial Shampoo for Normal Canine Skin)

  • 유종원;신희주;배슬기;최성원;오태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83-287
    • /
    • 2013
  • Canine skin is a highly dynamic organ that is constantly adapted to changes in its environment. It provides structural, sensory, immunologic, and physiologic functions and contributes an essential barrier function against potential environmental insults. We assessed the changes of canine skin hydration, pH, and protein contents by noninvasive metho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application with canine commercial shampoo. Canine commercial shampoo was applied topically every other day, 5 days, and 8 days on different sites, respectively in 8 dogs. Saline-applied site was as a control. Skin hydration was increased and skin surface pH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canine commercial shampoo-applied site every other day (p < 0.05). Also, skin protein concentration measured by D-squame$^{(R)}$ tape stripping method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canine commercial shampoo-applied site every other day (p < 0.05). There were alterations on every 5 days and 8 days, but not significantly. These results may be recognized that the frequent use of canine commercial shampoo cause abnormalities of the skin barrier function and alteration of stratum corneum integrity/cohesion. Consequently it was suggested that bathing the dog with canine commercial shampoo was appropriate every 5 or 8 d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