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대 간 지원

Search Result 29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Provisioning of the End-to-End Quality of Services in the Next Generation Wireless IP Networks (차세대 무선 IP 네트워크에서의 종단간 서비스 품질(QoS) 제공)

  • Ryu, S.W.;Bae, J.S.;Coh, C.H.;Kim, S.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9 no.1 s.85
    • /
    • pp.9-21
    • /
    • 2004
  • 차세대 통신 시스템은 다양한 IP 멀티미디어 응용을 지원하고,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유무선 통신 시스템들이 IP 기반의 멀티네트워크로 통합될 것이다. 이러한 차세대 통신 시스템에서 IP 기반 멀티미디어 응용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종단간 QoS 제공이 중요한 문제가 된다. 본 고에서는 3세대 이동통신과 차세대 백본 네트워크(NGN)에서 연구되고 있는 QoS 제공 방안을 살펴본다. 그리고, 3세대 이후의 통신 시스템을 위하여 IP 네트워크에 기반을 두고 이질적인 무선 시스템들의 통합에 대해 연구하고 있는 프로젝트에서 All-IP화에 따른 종단간 QoS 제공 방안을 살펴본다. 그리고,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이 IP 기반의 백본 네트워크로 통합되어 All-IP화된 차세대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 구조를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종단간 QoS 제공을 위하여 연구되어야 할 주요 사항들을 살펴본다.

A Study on Intergenerational Affective Solidarity in Korean Families (세대간 애정적 결속에 있어서 부계와 모계의 비교 연구)

  • Choi, Seul-Ki;Choi, Sae-Eun
    • Survey Research
    • /
    • v.13 no.1
    • /
    • pp.89-112
    • /
    • 2012
  • This study aims to explore emotional closeness between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in Korean families with a focus on the lineage. The effects of the geographical proximity and the normative aspect as well as intergenerational financial, instrumental, and emotional support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accounting for the grandparent-grandchildren affective solidarity. Research questions are addressed using the data of "Survey on Generational Solidarity and Differences in Cultural Experience and Perception in Korea", and a series of multinomial regression model were conducted. Findings indicate that the salient factor to boost grandchildren's affective solidarity with paternal grandparents is financial transfers between grandparents and parents. By contrast, all types of intergenerational supports affected grandchildren's emotional closeness toward maternal grandparents. Geographical proximity was associated with the affective solidarity between grandchildren and maternal grandparents. The effects of normative solidarity were not shown at both lineages.

  • PDF

Need Assessment for the Operation of Outplacement Support Service for Echo Generation (에코세대의 전직지원서비스 운영을 위한 요구분석)

  • Yun, Ji-Yeun;Yoon, Gwan-Sik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7 no.1
    • /
    • pp.47-55
    • /
    • 2015
  • This study has the objective of proposing the basic data for the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needs so that the Echo generation can be prepared with the supper-aged society, by verifying the perception level and degree of necessity about the outplacement support service, whether they want to be serviced or not, and necessary contents in the service with the employed people and non-employed people as objects among the Echo generation in the Southeast region. The study result derived from these effort is illustrated as follows. The perception level of the Echo generation about outplacement support service showe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gender, age, industry type, and career. The degree of need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age. For the provision period of the outplacement support service, the opinions were that 3 months before the retirement was most appropriate. The intention of participation when the outplacement support service is provided showe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age.

The Reciprocity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Exchange and its Characteristics - Analyzing Data on Elders in Seoul Area (세대간 지원교환의 호혜성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노인자료의 분석)

  • Cheong, Byeong-Eun
    • 한국노년학
    • /
    • v.27 no.2
    • /
    • pp.503-518
    • /
    • 2007
  • The intergenerational support exchange depends on elder's objective conditions and social context, and its effects are diverse. I argue that not only capacity such as health condition and economic status but also relational properties among parent(s) and adult children are important to determine their reciprocal support exchange. Seoul area is selected, and 730 elders are interviewed to be analyzed quantitatively. The survey data are collected based on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Findings are partly supportive to the arguments presented above. The relational properties, especially coresidence, the number of adult children, and contact frequency independently influence reciprocal support. The better health conditions of parent(s) are, the more support to adult children is given. The economic status is related to financial support exchange only. The types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exchange include dependant, balanced, and generalized reciprocity.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of the reciprocity is the elders' health condition.

Gen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Middle Aged to the Elderly Parents and Their Attitudes on Old-Age Security (중년층과 노부모의 세대관계와 중년층의 노후부양관)

  • 김두섭;박경숙;이세용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3 no.1
    • /
    • pp.55-89
    • /
    • 2000
  • 이 논문의 목적은 현재 40-50대의 중년층과 노부모 사이에 이루어지는 세대관계의 심층적 구조를 밝히고, 이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요인들을 설명하는데 있다. 그리고 세대관계의 유형에 따라 중년층 자신의 노후부양태도와 노후생활에 대한 대책행위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는 전국전인 면접조사가 이루어졌다. 이 논문은 중년층과 노부모의 세대관계를 세대간 근접성, 지원가능, 그리고 노부모 부양관 에 따라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중년층의 지배적인 세대관계는 노부모와 별거하면서 지원기능을 유지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별거사항에서 이루어지는 지원관계에는 중년층의 사회 계층적 지위나 노부모와의 정서적 연대와 관련된 요인들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년층 자신의 노후생활에 대한 부양관과 노후대책 행위는 세대관계의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한다. 근접성, 지원관계, 노부모 부양관 모두에서 전통적인 세대관계를 유지하는 중년층은 자신의 노후생활에 대해서도 가족의 부양을 강조하며, 독립적인 노후대책을 마련하는데 소극적이다. 반면, 노부모와 동거하고 지원기능을 유지하더라도 노부모부양관이 약한 증년층은, 자신의 노후 생활에 대하여 독립성을 강조하고, 스스로 노후대책을 마련하는데 적극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mSCTP extension approach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실시간 응용 서비스 지원을 위한 mSCTP 확장 방안)

  • Chang, Moon-Jeong;Lee, Mee-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340-342
    • /
    • 2005
  • 차세대 통신망이 AII-IP 기반으로 진화함에 따라 IP 기반의 이동성 프로토콜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차세대 통신망의 주요 서비스로 등장한 VoIP와 같은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심리스(Seamless)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는 중요하다. 최근, 네트워크 계층에서의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과는 전철 다른 접근 방식인 트랜스포트 계층에서의 이동성 지원 방안으로 mSCTP가 제안되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이동 네트워크 환경에서 실시간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mSCTP를 확장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하는 방안의 성능을 네트워크 계층에서의 이동성 지원 방안들과 비교한 결과, 핸드오버에 의해 발생되는 패킷 손실률 측면에서는 제안하는 방안이 대부분의 IPv6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들보다 향상된 성능을 보이나 처리율 면에서는 IPv6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보다 조금 낮은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Intergenerational proximity and financial support to older parents (세대 간 거주근접성과 중고령 부모에게 제공하는 경제적 지원)

  • Choi, Heejeong;Nam, Boram;You, Soo-Bin
    • 한국노년학
    • /
    • v.41 no.2
    • /
    • pp.253-270
    • /
    • 2021
  • We examined if intergenerational proximity might be associated with upstream financial transfer from adult children to older parents, and whether adult child gender might moderate the association. We considered siblings' proximity to parents, as well as that of the adult child. Prior work conducted in the US and other countries has suggested that children living further from parents might provide financial support to compensate for instrumental support provided more by siblings living closer to parents. Data were drawn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2014). Our analytic sample consisted of older adults 60+ and their children aged 35 and 55. None of the children co-resided with parents. Parental households consisted of either widowed individuals or married couples. For within-family analyses, fixed effects and random effects regression models were estimated. Results suggest first, sons living within a 30-minute distance, or within an hour to two-hour distance provided more monetary support to married parents compared to daughters. Second, contrary to existing findings, greater financial assistance was provided by sons and daughters when no children lived within an hour distance from their parents. For widowed parents living alone, intergenerational proximity was not associated with the amount of financial transfer from adult children.

Standardizations on IP Mobility Management for Future FMC Network (차세대 유무선통합망에서의 IP 이동성 기술 표준화 동향)

  • Jung, H.Y.;Park, W.G.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4 no.3
    • /
    • pp.13-23
    • /
    • 2009
  • 유선통신망과 이동통신망은 그 동안 개별적으로 발전되어 왔으나 망 운영자의 강한 요구에 따라 차세대 유무선통합망으로 발전하고 있다. 차세대 유무선통합망은 IP 기반의 All-IP 망으로서 사용자는 다양한 액세스 망을 통하여 자유롭게 접속하며, 무선 액세스의 활성화로 고정 사용자보다는 이동 사용자가 주가 되는 망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망 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요구사항 중의 하나가 다양한 액세스망 간을 이동하는 사용자에 대한 심리스한 서비스 제공이다. 이러한 다양한 이기종 액세스망 간의 이동은 기본적으로 IP 이동성 지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최근 IP 이동성 지원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IP 기술의 대표적인 기관인 IETF 뿐만 아니라 유선통신망과 이동통신망의 대표적인 표준화 기관인 ITU-T, 3GPP에서도 관련 표준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IP 이동성 지원 기술에 대하여 주요 표준화 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표준화 동향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대응방안에 대하여 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