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계빈곤문제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빈곤대책(貧困對策)의 재조명(再照明) : 협동조합(協同組合)을 통한 탈빈곤운동(脫貧困運動)의 활성화(活性化)를 중심으로

  • Gwon, Sun-Wo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5 no.2
    • /
    • pp.65-87
    • /
    • 1993
  • 본고(本稿)는 빈곤문제(貧困問題)를 둘러싼 새로운 시각(視角)을 설명하고 빈곤대책(貧困對策)의 방향전환을 촉구하기 위해서 집필되었다. 복지차원(福祉次元)의 부조(扶助)에 의존하기보다는 스스로의 노동(勞動)에 의해 자립(自立)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최선(最善)의 빈곤대책(貧困對策)이라고 보는 시각(視角)인 것이다. 세계은행(世界銀行) 둥이 빈곤대책(貧困對策)을 보더라도 가능한 한 자신의 노력(努力)과 노동(勞動)에 의해 자립(自立)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그러한 기회가 최대한 보장되어야 한다는 점이 부각되고 있다. 사회부조(社會扶助)의 대상자들인 빈민(貧民)들이 개인적(個人的)으로나 자발적(自發的)인 조직화에 의해 시장경제(市場經濟)에 참여하여 적극적인 삶의 추구를 도모할 때 이는 취업증가를 통한 소득증가(所得增加), 나아가서 지역개발(地域開發) 및 국가경제성장(國家經濟成長)에도 기여하게 될 것이다. 더불어 사회적(社會的) 안정(安定) 및 정치적(政治的) 기반형성(基盤形成) 등 바람직한 외부효과(外部效果)를 창출할 가능성이 높게 된다. 본고(本稿)는 태동되기 시작한 빈민들의 생산협동조합운동(生産協同組合運動)에 초점을 맞추어 지역사회에 근거를 둔 경제공동체사업(經濟共同體事業)의 활성화를 강조하고 있다. 이로써 취업기회(就業機會)가 확충되고 지역개발(地域開發)이 촉진되며 그들의 소득증가(所得增加)를 통하여 탈빈곤(脫貧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므로 빈곤대책(貧困對策)의 우선순위(優先順位)가 여기에 두어져야 할 것이라고 제안하고 있다. 조금이라도 일할 수 있는 능력(能力)이 있다면 빈민(貧民)들은 협동조합(協同組合)을 결성하여 자립(自立)할 수 있도록 스스로 노력해 나가야 할 것인바, 이에 대하여 정부는 새마을금고(金庫) 등을 통한 금융지원(金融支援)과 조세감면(租稅減免)을 통하여 조직화를 지원하는 방향으로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Bottom of Pyramid(BOP) Business Approach to Reduce Water Poverty (물(水) 빈곤해소를 위한 BOP 비즈니스 가능성에 관한 연구)

  • Kang, Woo-Kyu;Kim, Eun-Ju;Han, In-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3
    • /
    • pp.336-351
    • /
    • 2015
  •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feasibility of social enterprise approach to water poverty, especially access to safe drinking water issue. Now. over 780 millions of people have no improved access to safe drinking water, which result in various diseases and high mortality in people of developing countries. Recently there is more growing interest on BOP business, a market approach which utilize vitality, innovativeness and profit motives of private business to tackle social problem like poverty. Many BOP business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form of social enterprise. In the paper, firstly the severe problems of no improved access to clean and safe drinking water were explained. Secondly, the potential of BOP business to address these problems was explored. Thirdly, some actual cases of social enterprises which successfully run their business were introduced. Fourthly, some business models for social enterprise to want to come into water market were discussed. Finally based on these discussions, some recommendation for Korean companies and government were also suggested.

사면을 따른 토양분포가 토양침식에 미치는 영향

  • ;Almut Brunner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11a
    • /
    • pp.13-18
    • /
    • 2003
  • 토양침식과 그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토양질의 저하는 인류의 생존근거를 위협한다는 측면에서 심각한 환경문제로 간주되고 있다. 특히 생활의 근거가 토양의 생산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많은 개발도상국에서는 토양침식이 빈곤문제와 직결되고 있다 (Stoorvogel and Smalling, 1998). 따라서 최근 토양의 공간적인 분포특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토지생산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부정적인 환경영향 (침식, 농업화학물의 오염 등)을 최소화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Coporete Social Responsibility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연구)

  • Kwon, Sang-r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15-116
    • /
    • 2016
  • 개방화 및 국제화의 물결과 함께 세계 경제계에서 지배적 지위를 차지하는 거대한 초국적 기업들의 수가 증가하게 되면서, 이들 기업이 환경 파괴, 노사문제, 개발도상국의 빈곤문제에 책임이 있다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론(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이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CSR활동은 일부 기업에 의해서만 이루지고 있고 분식회계, 환경오염 및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차별대우 등과 같은 법률이나 윤리에 저촉되는 행위들이 거듭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기업들의 CSR에 대한 인식과 활동은 미흡한 면이 있고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본다.

  • PDF

Understandin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Water Security (지속가능개발과 물 안보)

  • Park, Jihyeon;Hong, Ilp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76-76
    • /
    • 2016
  • 2015년은 국제사회 거버넌스 및 정책 패러다임에 있어 전환점(tipping point)을 맞는다. 2000년 국제사회가 인류의 빈곤 퇴치라는 삶에 가장 절대적인 개발목표로 2015년까지 달성해야 할 빈곤, 의료, 교육 등 사회 환경 현안에서 해결해야 할 단순명료한 목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2015년 9월 UN 지속가능 세계정상 회의(World Summit on Sustainable Development, WSSD)에서는 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를 채택하여 2030년까지 전 세계가 경제성장, 기후 변화 등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측면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속가능한 인간정주환경을 조성하자는데 합의를 마쳤다. 17개의 지속가능개발목표와 부속적으로 169개의 타겟이 설정되었으며, SDGs 안에서는 MDGs의 기조를 유지하면서, 인간의 권리 구현과 성평등, 여성과 어린이의 권리 신장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기후변화와 예측이 불확실한 다양한 자연재난, 특히 물과 물 관련 재해가 빈곤 경감, 기후변화 대응, 인간정주의 모든 삶의 영역에 연계요소로 녹아 있다. 기후변화 적응과 물 안보, 특히 위기관리의 맥락이 내재되어 있는 2030년을 목표로 하는 국제사회의 Post-2015 개발의제에서 물 분야는 무엇보다 중요한 관심 분야로 부각이 되어 있다. 17개의 지속가능개발목표에서 SDG6을 "모두를 위한 물과 위생의 지속가능한 관리와 이용(Ensure availability and sustainable management of water and sanitation for all)"으로 하고 수자원관리 및 물과 위생 분야의 중요성을 전세계가 공감하고 함께 해결해 나가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물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6번째 목표뿐만 아니라, 빈곤의 근절(SDG1), 기아근절과 지속가능한 농업의 증진(SDG2)을 비롯한 다양한 목표들에서 물 분야가 직접?간접적으로 연계 되어 있으며, 특히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더욱 심각해진 물관련 재해로부터 리질리언스 확보 등, 지속가능개발목표의 전반적인 기조에서 물안보 확보를 읽을 수 있다. 물 분야에서 지속가능개발목표의 이행을 위한 노력은 국제사회의 물 문제 해결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한 글로벌 동반 성장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 PDF

Educational Effects of an Appropriate Technology Engineering Design Workshop with the People in Need (제3세계 현지인과 함께하는 적정기술 공학설계 워크숍의 교육적 효과)

  • Yi, Kang;Han, Youn-Shik;Kim, Kyung-Mi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6 no.2
    • /
    • pp.3-10
    • /
    • 2013
  • This paper aims to present the model of engineering design education workshop for appropriate technologies. Since 2008 Handong Innovation Center for Engineering Education and a Non-Profit Organization, Sharing and Technology, held engineering design workshop during every summer break. We present the contents of the workshop and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program. The workshop is entitled "Engineering Design Academy for the other 90%" because we take it serious that most of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efforts of the science and technologies in the world is just focused on the rich people while the other 90% people in the world are unreachable from the benefits of the modern technologies. By the workshop we tries to provide the college students the perspectives on the worldwide poverty problems and to encourage them to serve the 3rd world people in need through their specialties in the field of engineering profession. The evaluation results by participants are very positive. Especially, we began invite the 3rd world people to the workshop as design problem clients from 2010 summer workshop. The evaluation from them are also very positive. The analysis results on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workshop show that the workshop improves the students skills required by the ABEEK (Acreditation Board of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 including not only design capability but also team work, communication skill, understanding the social impacts of engineering design, engineering ethics, and globalization.

Creative Destruction in the Culture of Charity is Needed in Asia (아시아 기부 문화에 필요한 창조적 파괴)

  • Sim, Hyena;Areshidze, Giorgi
    • Journal of Venture Innovation
    • /
    • v.3 no.2
    • /
    • pp.177-195
    • /
    • 2020
  • This paper discusses the reasons why a disparity in commitment to charitable giving exists between two regions : the East and the West. In explaining the regional difference, this paper particularly focuses on the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factors forming the trend?for instance, Asians' deep-rooted distrust in charity foundations and the lack of government policies incentivizing philanthropic giving in Asia. After analyzing why and how significantly Asia lags behind in charity compared to other parts of the globe, the paper proves that "creative destruction" is needed in the Asian philanthropy market. Additionally, this paper shows that it is an opportune time for an innovative start-up to introduce a new form of technology, an easy-to-access application with registered partnership foundations, thereby introducing creative destruction in the culture of charity in Asia. This paper finally examines the obstacles this start-up may face as it tries to grow into a monopoly and the socio-political implications it may bring to the world.

Regional Cooperation by the 1st Asia-Pacific Water Summit and Water Network (아시아.태평양 물정상회의를 통한 지역 협력과 수자원 네트워크)

  • Park, Ji-Seon;Hong, Il-P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565-1569
    • /
    • 2008
  • 지난 수십 년 동안, 아시아 태평양 지역 각국은 수자원 접근성 및 인프라의 확충을 포함한 물관리의 다양한 측면에서 현저히 발전하였다고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급속한 인구 증가 및 경제 성장, 도시화, 기존 수자원의 고갈 등은 아태 지역의 물 수요가 여전히 충족시키지 못하는 원인이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적 변화를 고려하여 모든 수자원정책의 입안 및 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경제적 성장률은 전반적으로 높았지만 빈곤 문제는 역시 도시나 농촌을 구분할 것 없이 만성적인 문제로 남아 있으며, 아태 지역 개도국 인구의 16%가 영양실조 상태이며, 2015년까지 그 수를 반감하자는 밀레니엄 개발목표(Millenium Development Goals, MDGs) 달성은 아직 갈 길이 멀다. 또한 아태 지역은 물 관련 재해에 대해 전 세계에서 가장 취약한 지역이며 그로 인한 지속가능한 발전이 지체되고 있다. 1960년부터 2006년까지 물 관련 재해로 인한 전 세계 사상자의 80%에 달하는 60만 명의 사상이 아태 지역에서 발생하였으며, 80억 달러의 경제적 손실이 있었다. 홍수, 가뭄, 쓰나미, 폭풍, 해일 등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피해는 최근 들어 더욱 확산되고 있다. 지난 10년간의 급속한 인구 증가로 많은 인구가 범람지대 및 기타 재해 취약 지역에 거주하게 되었으며, 이는 물 인프라 확충을 위한 많은 투자를 요하고 있다. 2006년 3월 멕시코에서 개최된 제4차 세계물포럼의 지역별 추진과정에서 아태 지역은 생태계, 인구, 정치적 제도 및 사회경제적 환경 등 각국의 다양성이 이와 같은 공통된 물문제 해결에 기반이 될 수 있는 요소임에 공감하고 지속적인 수자원 확보와 올바른 수자원관리에 공동의 노력을 기울여 효율적인 메커니즘을 구성을 통해 아태 지역의 사회경제적 발전을 촉구하기로 하였다. 이에 아시아 태평양 물포럼(Asia-Pacific Water Forum)이라는 새로운 이니셔티브가 구성되었고 물 관련 재원 조달 및 인프라 확보를 통해 국경을 초월하는 협력을 증진하고 재해 관리와 조화로운 수자원 개발과 생태 보호등을 위한 일관된 수자원정책 수립과 프로그램 개발 등을 목표로 설정하여 활동을 시작하였다. 아시아 태평양 물정상회의(이하 아태 물정상회의, Asia-Pacific Water Summit(APWS))는 이러한 목표 달성을 구체화하기 위해 각국의 지도자 및 정책입안자에 밀레니엄 개발목표(MDGs) 달성을 위해 물 문제가 얼마나 중요한지 부각시키고 실질적인 정책 결정에 기여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제1차 아태 물정상회의가 2007년 12월 3-4일 양일에 걸쳐 일본 벳부에서 개최되었고, 2008년 G8 정상회담이나 2009년 제5차 세계물포럼에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지역 협력을 주도한 가운데 아태 지역 뿐 아니라 전 지구적으로 인류 및 사회 발전을 위한 이정표로 새로운 수자원 네트워크 발돋움의 계기가 되었다.

  • PDF

A Exploratory Study on the Digital Aging Policies as Solutions for a Aging Society (고령화 문제의 해결법으로서 디지털 에이징 정책에 대한 탐색적 연구)

  • Koh, Young-Sam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11
    • /
    • pp.115-123
    • /
    • 2016
  • Aging is one of the major tasks that our country should resolve. To deal with aging problems, many countries have introduced various new concepts such as active aging, productive aging, and successful aging, well aging and anti-aging. This study suggests a new concept, digital aging, to tackle aging problems, and we use this concept to explore the new policy and policy areas for aged people. Since this concept is not well defined yet, this article focuses reviewing existing research literature. Instead of focusing the negative aspect of aging,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o use the digital technology to build such images that the old man can be continuously learning, active and productive.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ustainable Management Activities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Corporate Trust in the Logistic warehousing Industry (물류창고업의 지속가능경영 활동이 고객만족과 기업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Cho, Jae-Sung;Shin, Han-Won;Shin, Young-R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252-253
    • /
    • 2012
  • This paper reviews achievements of logistics warehousing industry in terms of sustainable management. The introduction part of the study discusses the theoretical definitions of sustainable manage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later part is a case study on sustainable management of in the industry. Also, this paper includes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sustainable management activities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corporate trust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