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층구조

Search Result 19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Indoor Thermal Environment of the Large Gymnasium Space in Winter - Without Heat Loads from Occupancy - (대규모 실내경기장의 동계 온열환경 특성 실측조사 - 인체부하 미고려 조건 -)

  • Choi, Dong-Ho;Jeong, Seong-Jin;Seok, Ho-Tae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7 no.3 s.25
    • /
    • pp.67-7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heating design data for the large public enclosures as gymnasium. This study executed indoor thermal environment verification of the existing gymnasium by measuring temperature distribution with and without heating the space in winter. Heating loads from human body was not considered. We examined various indoor thermal environment factors of the large enclosed space in this study which include vertical and horizontal temperature distribution, supply and return air flow feature, thermal comfort environment feature, amount of ventilation and etc.

  • PDF

Assessment of exchange bias by Ar ion beam FeMn inter-layer surface etching in Py/FeMn/Py multilayer (NiFe/FeMn/NiFe 다층박막에서 사이층 FeMn의 Ar 이온빔 surface etching에 의한 교환바이어스 평가)

  • 윤상민;임재준;이영우;김철기;김종오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3a
    • /
    • pp.233-233
    • /
    • 2003
  • 교환바이어스(exchange bias)현상은 강자성과 반강자성의 접합계면에서 강한 상호 교환결합력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현상은 1956년 Meiklejohn과 Bean에 의해 CoO 층으로 둘러싸인 Co 입자에서 발견된 이후, 강자성과 반강자성의 접합계면을 가지는 다층 박막에서의 교환바이어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이는 강자성/반강자성 박막의 교환바이어스 특성을 이용하여, 강자성 박막의 스핀방향을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교환바이어스 특성은 하드드라이브의 고밀도 자기헤드소자 및 비휘발성 자기메모리소자에 응용되어지는 등 경제적 가치를 갖는 기술적인 면과 교환바이어스라는 자기특성의 학문적인 가치로 인해 이 분야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교환바이 어스 현상의 원인과 형성기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강자성과 반강자성 박막의 단거리 상호 교환결합력에 의한 교환바이어스 현상은, 계면의 원자구조, 자기구조 및 각자성층의 여러 가지 인자들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elmhertz 코일의 진동샘플형 자력계(VSM)을 이용하여 Si 기판위에 증착된 NiFe(10nm)/FeMn(t)/NiFe(10nm) 다층박막에서 FeMn층의 두께에 대한 각각의 교환바이어스 현상을 조사하고 사잇층 FeMn층의 surface를 Ar ion beam etching하여 etching 조건에 따른 교환바이어스를 비교분석 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Indoor Thermal Environment of the Large Enclosure Without Cooling Loads from Occupancy in Summer (대공간내 인체발열 미고려시의 하계 온열환경 조사)

  • Jeong, Seong-Jin;Choi, Dong-Ho;Yang, Jeong-Hoon;Seok, Ho-Tae
    • Proceeding of KASS Symposium
    • /
    • 2008.05a
    • /
    • pp.3-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cooling design data for the large public enclosures as gymnasium. This study executed indoor thermal environment verification of the existing gymnasium by measuring temperature distribution with cooling the space in summer. Cooling loads from human body was not considered. We examined various indoor thermal environment factors of the large enclosed space in this study which include vertical and horizontal temperature distribution, supply and return air flow feature, thermal comfort environment feature, amount of ventilation and etc.

  • PDF

A Study on the Indoor Thermal Environment of the Large Gymnasium Space in Summer - Without Cooling Loads from Occupancy - (대규모 실내경기장의 하계 온열환경 특성 실측조사 - 인체부하 미고려 조건 -)

  • Jeong, Seong-Jin;Choi, Dong-Ho;Yang, Jeong-Hoon;Seok, Ho-Tae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7 no.6
    • /
    • pp.91-10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cooling design data for the large public enclosures as gymnasium. This study executed indoor thermal environment verification of the existing gymnasium by measuring temperature distribution with and without cooling the space in summer. Colling loads from human body was not considered. We examined various indoor thermal environment factors of the large enclosed space in this study which include vertical and horizontal temperature distribution, supply and return air flow feature, thermal comfort environment feature, amount of ventilation and etc.

  • PDF

A Study on Characteristic of Three-Dimensional Flow around the Artificial Upwelling Structures (인공용승구조물 주변 흐름의 3차원 특성에 관한 연구)

  • Jeon, Yong-Ho;Ryu, Cheong-R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mmittee for Ocean Resources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6.11a
    • /
    • pp.290-293
    • /
    • 2006
  • From the hydraulic experiment, it was concluded that upwelling could be enhanced when the relative structure height (the ratio of structure height to water depth) was 0.3 and stratification parameter was 3.0. In addition, the optimum size of rubbers was determined that the effect of the mean horizontal length of block was affected incident velocity than size of block. In the numerical experiment, the relation between the shape of rubber and stratification parameter was verified, ana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3-D flow field around the artificial structures were investigated. Phenomena of flow field around the artificial upwelling structures corresponded with the results of hydraulic experiment. The position with maximum velocity in artificial upwelling structure was the center of top of its front side and the slip stream occurred at the inside and behind-bottom of artificial upwelling structures. The velocity of slip stream and early amplitude of velocity were higher in the inside than the behind-bottom.

  • PDF

A Numerical Analysis of Buyoyant Surface Jet with Turbulence Models (난류모형을 이용한 表層密度噴流의 수치해석)

  • 최한기;중십계
    • Water for future
    • /
    • v.29 no.2
    • /
    • pp.221-233
    • /
    • 1996
  • To investigate the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a two-dimensional buoyant surface jet,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the numerical analysis are the evaluation of the free surface and the turbulence transportation under the stratification. In present study, a numeriacal simulation model used with the semi-implicit method for pressure-linked equations (SIMPLE), the non-hydrostatic approximation and the algebraic stress model (ASM) is applied to investigate the vertical structure of internal flow hydrodynamically. The ASM enables to take account of anisotropy of turbulence, the damping effects of the density interface, and the free surface on the turbulence structure accurately. The ASM tested produces better agreement than the $\kappa-\varepsilon$ model with measurements by Nakatsuji (1984) on the flow development and turbulence structure. Applicability of the ASM to a two-dimensional buoyant surface jet is examined through comparison with experimental data.

  • PDF

바닥 급기 공조의 전망

  • 김영일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0 no.8
    • /
    • pp.54-59
    • /
    • 2001
  • 바낙 공기 급기(UFAD, underfloor air distribution)는 사무실과 상업 건물의 공조를 위하여 바닥 하부 공간을 사용하는 혁신적인 기술이다. 북미에서는 UFAD가 기존 천장 공기 급기 방식에 비하여 많은 장점을 지니므로 그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잘 설계된 UFAD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지닌다. - 건물의 용도 변경에 따픈 유연성이 우수하므로 건물의 생애 주기 비용을 감소시킨다. - 개별 쾌적성 제어가 가능하므로 온열 쾌적성, 거주자의 만족도 그리고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 거주자주변에 직접 선선한 공기를 공급하므로 환기 효율, 실내 공기질 그리고 건강 상태를 향상시킨다. - 이코노마이저 운전, 온도 성층화 그리고 낮은 정합 운전에 의하여 에너지 비용을 감소시킨다. - 설비 공간이 축소되고 표준 철골 구조에서는 콘크리트 구조체 변경이 가능하므로 새 건축 공법에서는 충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1995년까지만 해도 UFAD는 파격적인 설계 기법이라고 여겨졌지만, 이제 설계자와 건축업자들은 2004년까지 신축되는 사무용 건축품의 35%는 바닥을 높인 기법이 적용되며 이 중 반 정도가 UFAD를 채택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2000년 2억불이라고 추정되던 바닥을 높이는 건축의 시장 규모가 2004년에는 최소 10억불이 되리라고 예측된다. UFAD는 기본 연구에 의한 정립된 표준화된 설계 기법과 지침이 아직 마련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설계, 시공되고 있다. 이라한 경향은 펄수적인 연구가 수행되어 관련 업계가 지식과 경험을 충분히 쌓기 전까지는 계속될 전망이다. 본고는 시스템 설계와 운영의 주요한 특징, 기존 방식과 비교하여 지니고 있는 잠재적인 장점, 한계와 기술 개발의 필요성, UFAD 기술 개발을 위하여 계속적으로 요구되는 연구 분야 등을 서술함으로써 현재 UFAD 기술에 대한 평가를 한다.

  • PDF

Polarization of Stimulated Emission from Optically Pumped AIGaN/GaInN DH (AIGaN/GaInN DH의 광여기 유도방출광의 편광)

  • ;;H. Amano;I. Akasaki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4.11a
    • /
    • pp.98-98
    • /
    • 1994
  • 최근 청색반도체레이저의 실현을 위하여 ZnSe가 대표하는 II-Ⅵ족 화합물반도체와 Gan가 대표하는 III족 질화물반도체분야에서 집중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아직까지 실용화 되지 않고 있는 청색반도체레이저의 출현에 대하여 많은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III족 질화물반도체는 InM(Eg:1.9eV)부터 AIN(Eg: 6.2eV)에 이르기까지 전 조성영역에서 완전한 고용체를 이루며, 실온에서 직접천이형 에너지 대구조를 가지므로 청색 혹은 자외영역에서 동작하는 발광소자를 제작하는데 있어 유망시 되고 있는 소재이다. 특히 GaN와 InN의 3원흔정인 GaInN를 활성층으로 이용하면 그 발전파장을 370nm부터 650nm까지 즉 가시 전 영역으로부터 근 자외영역을 포함할 수 있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AIGaN/GaInN 이중이종접합(DH) 구조의 고아여기에 의한 유도방출고아의 편광 특성을 조사하였다. 유기금속기상에피텍셜(MOVPE)법으로 성장한 AIGaN/GaInN DH 구조의 표면에 수직으로 펄스 발진 질소레이저(파장: 337.1cm, 주기 10Hz, 폭: 8nsec) 빔을 조사하고 DH구조의 단면으로부터의 유도방출광을 편광기를 통과 시킨 후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입사고아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약 402nm의 파장에서 유도발출에 의한 가도가 큰 피크가 나타났고, 그 반치폭은 약 18meV이었다. 실온에서 AIGaN/GaInN DH 구조로 부터의 유도방출에 필요한 입사광밀도의 임계치는 약 130㎾/$\textrm{cm}^2$이었다. 한편 편광각이 90$^{\circ}$일때는 발광스펙트럼의 강도가 매우 낮고 단지 자연방출에 의한 스펙트럼만이 나타났다. 편광각이 0$^{\circ}$일 때 최대의 방출광 강도를 나타내었으며, 편광각이 -90$^{\circ}$로 회전함에 따라 발고아강도의 강도가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광여기에 의하여 AIGaN/GaInN DH 로 부터의 유도방출광이 GaInN활성층의 단면에 평행한 전기장의방향으로, 즉 TE모드로 선형적으로 편광됨을 의미한다. AIGaN/GanN DH 로 부터의 유도방출이 선형적으로 TE모드로 편광되는 것은 이 구조를 이용한 청색 및 자외선 반도체 레이저다이오드의 실현에 매우 유익한 것이다.

  • PDF

양자점 태양전지구조내 결함상태와 광전변환 특성인자와의 상관관계 분석

  • Lee, Gyeong-Su;Lee, Dong-Uk;Kim, Eun-Gyu;Choe, Wo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329.2-329.2
    • /
    • 2014
  • 지난 수년간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을 높이기 위해 자가 조립된 InAs 또는 GaSb와 같은 양자점을 GaAs 단일 p-n 접합에 적용하는 연구를 개발해 왔다. 그러나 양자점의 흡수 단면적에 의한 광 흡수도는 양자점층을 수십 층을 쌓으면 증가하지만 활성층에 결함을 생성시킨다. 생성된 결함은 운반자트랩으로 작용하여 태양전지의 광전변환효율을 감소시킨다. 본 실험에서는 양자점이 적용된 태양전지와 적용되지 않은 태양전지의 광전변환 효율을 비교하고, 깊은준위 과도용량 분광법을 이용하여 결함상태를 측정 및 비교함으로써, 활성층 내부에 생성된 결함이 광전변환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소자구조는 분자선 증착 방법을 이용하여, 먼저 n+-형 GaAs기판위에 n+-형 GaAs를 250 nm 증착한 후, 도핑이 되지 않은 GaAs활성층을 $1{\mu}m$ 두께로 증착하였다. 마지막으로 n+ 와 p+-형 GaAs를 각각 50, 750 nm 증착함으로써 p-i-n구조를형성하였다. 여기서, n+-형 GaAs 과 p+-형 GaAs의 도핑농도는 동일하게 $5{\times}1018cm-3$로 하였다. 또한 양자점을 태양전지 활성층에 20층을 형성하였다. 이때 p-i-n 태양전지 와 양자점 태양전지의 광전변환 효율은 각각 5.54, 4.22 % 를 나타내었다. p-i-n 태양전지의 개방 전압과 단락전류는 847 mV, 8,81 mA이며 양자점 태양전지는 847 mV, 6.62mA로 확인되었다. 태양전지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소자구조 위에 Au(300nm)/Pt(30nm)/Ti(30nm)의 전극을 전자빔증착장치로 증착하였으며, 메사에칭으로 직경 $300{\mu}m$의 태양전지 구조를 제작하였다. 정전용량-전압 특성 및 깊은준위 과도용량 분광법을 이용하여 태양전지의 결함분석 및 이에 따른 광전변환 특성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논의할 것이다.

  • PDF

Properties of the carbon electrode perovskite solar cells with various annealing processes (열처리 방법에 따른 카본전극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특성 변화)

  • Song, Ohsung;Kim, Kwangbea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2
    • /
    • pp.26-32
    • /
    • 2021
  • The photovoltaic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changes were observed while perovskite solar cells (PSCs) with a fabricated carbon electrode were formed using the following annealing processes: hot-plate, oven, and rapid thermal annealing (RTA). Perovskite solar cells with a glass/FTO/compact TiO2/meso TiO2/meso ZrO2/carbon structure were prepared. The photovoltaic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changes in the PSCs were analyzed using a solar simulator, optical microscopy, and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 analysis of the photovoltaic properties revealed outstanding properties when RTA was applied to the cells. Microstructure analysis showed that perovskite was formed locally on the carbon electrode surface when hot-plate and oven annealing were applied. On the other hand, PSC with RTA showed a flat surface without extra perovskite agglomeration. Denser perovskite formed on the porous carbon electrode layer with RTA showed superior photovoltaic proper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TA process might be appropriate for the massive production of carbon electrode PSCs considering the processing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