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취동기

검색결과 520건 처리시간 0.021초

디지틀 망동기

  • 김옥희;박권철
    • ETRI Journal
    • /
    • 제8권2호
    • /
    • pp.45-52
    • /
    • 1986
  • 교환망이 점차로 디지틀화 되면서 네트워크내의 클럭 주파수의 불일치에 의해 야기되는 slip 발생에 따른 정보손실은 중요한 문제점으로 대두되었으며 모든 디지틀 교환기는 네트워크내의 기준 주파수에 자체 클럭을 동기시키기 위한 망동기 기능을 수용하며 silp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TDX-1에서는 국내 교환망 동기 체계에 적합한 동기회로계를 개발하여 망동기를 성취하고 있으며 본고는 이 회로계의 특성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PDF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외적동기, 흥미, 과학 과목 성취도의 구조적 관계와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 분석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Latent Means Analysis of Gender among Academic Self-Efficacy, Interest, External Motivation and Science Achievement for High School Students)

  • 주영주;정영란;이유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76-886
    • /
    • 2011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과학 과목에서의 학업적 자기 효능감, 외적동기, 흥미 및 성취도의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 분석 및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ISA 2006의 한국 학생 데이터를 사용하여 잠재평균 비교 및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다집단 분석의 잠재평균 비교 결과, 남학생을 참조집단으로 삼았을 때 여학생들의 잠재평균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외적동기, 흥미에서 모두 낮게 나타났다. 또, 학업적 자기효능감, 외적 동기는 흥미에 영향을 미쳤고, 학업성취도에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흥미, 외적 동기의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과학과목에서 흥미 증진 및 성취도 향상을 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동기 진작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플립러닝 학습이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 이희숙;강신천;김창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47-57
    • /
    • 2015
  • 본 연구는 플립러닝 학습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5학년 학생에게 사회과 수업에서 적용했을 때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 24명, 통제집단 25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다. 연구도구는 플립러닝 학습 프로그램, 학습동기 검사지, 학업성취도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연구절차는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자료처리는 독립표본 t-검증과 대응표본 t-검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플립러닝 학습이 사회과 학습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데 학습동기 요소 중 특히 주의집중, 자신감 향상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플립러닝 학습은 학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업성취도 상위수준 학생보다는 하위수준 학생에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이 중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 학습 동기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ience Writ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 related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 신정인;신예진;윤회정;우애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511-52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의 정리 단계에서 글쓰기를 강조한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 학습 동기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경기도 소재 중학교 1개교의 2학년 학생 127명을 연구 대상으로 총 30차시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정리 단계에서 실험반은 학습 목표와 연관된 과학 개념을 글쓰기로 정리하였고, 비교반은 문제 풀이로 정리하였다. 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는 TOSRA를 수정 보완한 과학 관련 태도 검사지, 과학 학습 동기는 PALS와 MSLQ를 수정 보완한 과학 학습 동기 검사지, 학업 성취도는 학교의 지필 평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관련 태도 검사 결과, 과학 글쓰기 수업은 학생들의 전체적인 과학적 태도 함양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p<.05). 특히, 하위 영역에서는 학생들의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와 '과학 수업의 즐거움', ' 과학에 대한 적극성'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p<.05). 둘째, 과학 학습 동기 검사 결과, 과학 글쓰기 수업은 학생들의 전체적인 학습 동기를 유의미하게 향상시켰으며(p<.05), 하위 영역에서는 '과제에 대한 가치'와 '자기 효능감'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과학 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특히 상위 수준의 학업 성취도 집단에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학습장애 아동을 위한 학습동기유발 웹 코스웨어 (A Web Courseware Inducing Learning Motivation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y)

  • 전문경;강미애;윤선미;김종훈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 (B)
    • /
    • pp.675-677
    • /
    • 2000
  • 지적 능력은 정상인데 해당 연령층에서 기대하는 학습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여 교육성취도가 정규학년 수준에 크게 미달되거나 학습 속도가 부진한 특수학습장애 아동들은 일반 아동들과 같은 수업을 받는다. 이런 현실은 학부모나 교사들의 특별한 배려가 없다면 당연히 장애 아동들의 학습에 대한 흥미를 떨어뜨릴 수 있다. 우리 나라에서 특수교육을 받는 장애 아동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특수학습장애 아동들을 위한 특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하다. 이에 본 논문은 동기 이론들 기반으로 특수학습장애 아동들의 흥미를 길러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의 개발로 특수학습장애 아동들의 주의 집중 능력과 성취동기를 길러주고, 흥미를 키워주므로 학습에 대한 의욕을 가질 수 있다.

  • PDF

성취영재와 미성취영재는 어떻게 다른가?: 학습전략, 동기, 능력신념, 그리고 문제해결성향의 차이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Learning Strategies, Motivation, Beliefs in Ability, and Problem Solving Patterns of the Gifted Achievers and the Gifted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School)

  • 한기순;신정아
    • 영재교육연구
    • /
    • 제17권1호
    • /
    • pp.27-50
    • /
    • 2007
  • 이 연구는 현재의 영재교육이 성취영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에서 줄곧 제외되어 온 미성취영재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성취영재들과 유사한 지적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나, 교사추천과 검사결과에 의해 현재의 학업성취가 지적 잠재능력과 비교하여 현저한 편차를 보인다고 판단 된 미성취영재들의 학습전략 및 관련변인들을 살펴보았다. 즉, 미성취영재의 학습전략과 관련변인들이 성취영재와 어떻게 차별화되는가를 살펴보고, 이중 어느 변인이 두 집단을 가장 변별력 있게 구분하는가를 탐색하는 것이 이 연구의 초점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초등학교 $5{\sim}6$학년 68명의 성취영재들과 34명의 미성취 영재들의 학습전략, 동기, 능력신념, 문제해결성향 등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성취영재와 미성취영재들은 제시된 모든 변인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판별분석 결과 학습전략, 동기, 능력신념, 문제해결성향 등은 판별적중률 77.5%로 성취영재집단과 미성취영재집단을 유의하게 구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외재적 동기, 과제해결성향 등이 두 집단을 가장 잘 구분하는 변인임이 밝혀졌다. 이 연구가 미성취영재의 판별, 교육, 연구에 주는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전공선택동기와 학업성취도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jor Choice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n Career Maturity)

  • 문은조;오지원;김용석;박정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161-168
    • /
    • 2023
  • 이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개인적 동기, 사회적 동기), 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진로성숙도의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C도 소재 대학생 19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전공선택 개인적동기 사회적동기, 학업성취도와 진로성숙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진로성숙도는 전공선택 개인적동기(r=.417, p=.00)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전공선택 사회적동기, 학업성취도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진로성숙도의 영향요인은 전공선택 개인적 동기, 경제활동, 전공계열 순이었으며 설명력은 24%이었다. 따라서 전공과 관련있는 분야에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대학차원의 지원이 필요 할 것으로 보여지며 전공선택시 개인적동기가 중요한 만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체험이나 미래 직장체험등의 기회를 폭넓게 제공하여 전공선택시 개인적 동기를 높이는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대학선수들의 자율성과 성취동기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University Players)

  • 황성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465-471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 운동선수들의 인지된 자율성 인식과 성취동기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서울 및 수도권에 재학 중인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25개 종목의 396명의 유효표본을 얻었으며, SPSS 18 프로그램과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통하여 데이터를 정화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하여 자율성과 성취동기와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한 결과는 자율성 인지에 있어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회귀분석결과 자율성 인지는 숙달접근과 수행접근의 접근 성향의 성취목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의 과학 학습 동기 유발에 영향을 주는 평가 요소 (The Effect of Factors in Assessment on the Science Learning Motivation of High Achieving Students)

  • 박민정;김윤복;전동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623-630
    • /
    • 2007
  • 평가는 학습에 동기를 부여하기도 하므로, 평가의 어떤 요소들이 학습 동기를 부여하는지 알면 평가를 통해 효과적으로 학습 동기를 자극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두 가지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서울 지역에 위치한 대학의 물리 교육과 재학생 54명은 자신의 초중등학생 시절의 과학 학습과 관련된 회고록을 작성하였고, 같은 과 63명은 과학 학습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의 요소를 묻는 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의 과학 학습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의 요소로 성취도, 문항의 난이도와 타당도, 과학 경연의 준비과정, 이 세 가지가 중요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과학 평가 문항의 난이도와 타당도가 학습 동기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는 것과 과학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에게 과학 경연 대회가 학교의 정기 시험보다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과학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효과적으로 진작시키기 위해서는 선행학습이나 암기력이 필요 없으면서 과학적 사고력과 탐구력을 평가할 수 있는 시험 문제와, 교실 외 과학 활동이 활성화되어 학생들의 참여기회를 증가시키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