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적 평가

Search Result 68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입학성적과 대학학업성취도의 관련성 분석

  • Choi, Guk-Ryeol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4a
    • /
    • pp.191-194
    • /
    • 2006
  • 대학에서 학생 개인의 학업성취도를 나타내는 평점평균(GPA)은 많은 요인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입시제도하에서 획득 가능한 자료를 이용하여 학생부 성적과 수학능력시험성적이 대학의 학업성취도를 나타내는 평점평균과 어떠한 관계를 갖고 있는지 일반화선형모형(GLM)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 평가하고자 한다. 여기서 얻어진 결과는 2008학년도부터 적용되는 제7차 교육과정의 수학능력시험성적과 학생부 성적 반영 비율 산정에 필요한 기초적 정보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믿어진다. 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2003, 2004학년도 인제대학교에 입학한 학생들의 입학성적과 2003, 04, 05학년도의 평점평균을 대상으로 삼았다.

  • PDF

A Study on Developing the Report Format of Students' Achievement for Activating Performance Assessment into the Highschool (고등학교 성적통지표와 학교생활기록부 양식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Jung, Hong Myung;Choi-Koh, Sang Sook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8 no.4
    • /
    • pp.387-409
    • /
    • 2015
  • This study was to propose new formats for the records of achievement and the student's school life. For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to select excellent students with great potential and for the public education to be normalized through performance assessment, the implications of the reformats of the student achievement are significant. To carry out the study, 658 of students, 230 of teachers from 4 middle schools and 10 high schools, and 24 of college admission officers from 8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e questionaries that asked the problems of the current assessment system and the future directions based on the desirable reformats of the school records. The collected opinions and advices from the participants were consider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possible directions, and ways to apply the performance assessment to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The Efficiency of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 as a Method of Clinical Clerkship in the Korean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Department (한방안이비인후과에서 임상실습 한 방법으로서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의 효용성)

  • Jang, Yu-Jin;Hong, Seug-Uk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and Otolaryngology and Dermatology
    • /
    • v.27 no.4
    • /
    • pp.121-130
    • /
    • 2014
  • Objectives : 본 연구를 통하여 한방안이비인후과 임상실습에서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 수업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Methods : 2014학년도 한의과대학 본과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안이비인후과 임상실습의 한 방법으로 OSCE를 시행한 후, 학생들은 OSCE 수업 만족도에 관한 설문지를 작성하고 레지던트는 학생들을 평가하였다. OSCE 평가 성적과 기타 임상실습 및 필기시험 성적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OSCE 성적의 학점 부여 타당도를 살펴보았다. Results : 만족도 관련 설문 결과 총 평균점수가 4.34점이 나왔다. OSCE성적과 기타 임상실습 및 필기시험 성적과의 상관성을 pearson correlation을 통하여 살펴본 결과, OSCE성적은 임상실습 성적 및 (r=0.210, p=0.056), 필기시험 성적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r=0.064, p=0.567). Conclusions : 위의 결과로부터 임상실습에서 OSCE 시행은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를 높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임상실습에서 효율적으로 OSCE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n Correlation Analysis of Evaluation factors and Learning Achievement on e-learning (e-learning에서 평가요소와 학업 성취도간의 상관관계 분석)

  • Lho, Young-Uhg;Jung, Duk-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8a
    • /
    • pp.109-112
    • /
    • 2008
  • 최근에 대학교에서는 e-learning 수업이 활성화되고 있다. e-learning에서는 각 단원의 마지막에 단원평가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성취도를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e-learning 수업에서는 단원평가 점수를 최종 성적에 반영하고 있지 않고 있다. 이유는 단원평가 성적과 시험 성적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도 없고, 시스템성의 원인 때문으로 이해된다. 본 연구에서는 2학기에 걸쳐 e-learning으로 수업이 진행된 과목을 대상으로 단원평가 점수와 학업 성취도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상관관계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랫트를 이용한 최기형시험에 있어서 효율적인 독성평가를 위한 기초연구

  • 정문구;한상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3.04a
    • /
    • pp.168-168
    • /
    • 1993
  • 신의약품의 생식독성 평가를 위해서는 타독성시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NOEL (no observed effect level) 의 범위를 확립하는 일이 매우 중요한데, 이것은 정상치(control values), 자연발생소견 (spontaneous findings)등과 비교함으로서 가능하다. SPF 동물을 이용한 독성실험은 선진국에 비해 역사가 짧을 뿐만 아니라 아직 풍부한 기초자료가 확립되지 않아 외국의 자료들을 인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랫트를 이용한 최기형 시험결과의 효율적인 평가를 위해 생식독성 검사항목의 기초 데이타를 확립하였다. 이를 위해 화학연구소 실험동물육종실에서 입수한 SPF: Sprague- Dawley 랫트를 이용해 1989년부터 1991년까지 실시한 생식독성 시험의 대조준 데이타 (체중, 사료소비량, 장기중량, 제왕절개성적, 외표, 내부장기 및 골격검사성적, 자연분만군 시험성적 등)를 분석하였다. 요늑의 발현율, 견인력 시험결과 및 피모발생 일평이 외국의 타 연구기판 데이타와 다소 차이를 나타냈을 뿐 기타 항목들은 거의 일치하는 정상치를 보였다. 아울러 기형, 변이, 골화지연 등으로 구분되는 골격소견의 합리적인 평가를 위해 랫트 골격소견 평가기준을 정했고 최기형 시험에서 얻어지는 데이터의 통계처리 방법을 보완, 체계화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Sprague-Dawley 계통 랫트외 생물학적 정외는 물론 효율적인 생식독성 평가를 위한 소중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weighted method for evaluating software quality (가중치를 적용한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 방법)

  • Jung, Hye J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8
    • /
    • pp.249-255
    • /
    • 2021
  •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for determining weights for the eight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functionality, reliability, usability, maintainability, portability, efficiency, security, and interoperability, which are suggested by international standards, focusing on software test reports. Currently, the test results for software quality evaluation apply the same weight to 8 quality characteristics to obtain the arithmetic average. Weights for 8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applied using the results from text analysis, and weights were applied using the results of text analysis of test reports for two products. It was confirmed that the average of test reports according to the weighted quality characteristics was more efficient.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Analysis of the Teacher's Distance Learning Management System (교원 원격 연수 시스템 분석을 통한 원격 연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Jeong, Young-Si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8 no.1
    • /
    • pp.15-23
    • /
    • 2004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login frequencies and the learner's results of an examination related in the teacher's information distance learning.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learners connected to the learning system in school at office hours. And the login frequencies on Sunday are high remarkably in test pole. Seconds, the on-line assessment and the ratio of completion is high the learner who participation with a fellow worker than the learner who not so. But because of the low allotment of marks about on-line estimation, it hardly influence in the last results. Third, the ratio allotment of marks about on-line estimation is suitable $20{\sim}30%$. Forth, learners of low grade are higher the login frequencies, the last results is high. Therefore the operator of the learning system estimates ability of learners by pre-test and must have continues and encouragement about leaners of law grade.

  • PDF

CARIES DIAGNOSIS BY DIAGNODENT'S LASER FLUORESCENCE DETECTION IN VITRO (레이저형광측정을 통한 Diagnodent의 우식진단에 관한 생체외 연구)

  • Kim, Seong-Hyeong;Lee, Kwang-Hee;Kim, Dae-Eop;Park, Jong-Seok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27 no.1
    • /
    • pp.24-31
    • /
    • 2000
  • The purpose of study was to compare the laser fluorescence detection by Diagnodent(KaVo, Germany), visual inspection using dental explorers, and conventional dental radiography as diagnostic tests for dental caries. One hundred and three human premolars and molars which had no caries or fissure caries were tested by the three methods. Diagnodent scores increased as the scores of the other two tests increased(P<0.01)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visual inspection scores and Diagnodent scores(Pearson 0.676, Spearman 0.694) and between radiography scores and Diagnodent scores(Pearson 0.623, Spearman 0.658) (P<0.01, all). Diagnodent test proved to have high sensitivity and low specificity and more studies are necessary to present the diagnostic criteria for progressive caries stages.

  • PDF

An Analysis of the Learning Motivation Effect in Learners According to Difficulty Levels of Formative Evaluations (형성 평가의 난이도에 따른 학습자의 학습동기 효과 분석)

  • Ahn, You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347-348
    • /
    • 2019
  •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평소 학습 이해도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형성평가가 보편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교수자에게 형성평가는 학습자들의 이해도를 파악하는 방법이지만, 평가 결과를 성적에 반영할 때 학습자들에게는 학습 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요소임을 선행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년간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에 적용해온 형성평가의 문제 난이도를 조절하여 난이도가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 부여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형성 평가에 출제한 문제의 난이도 정도가 형성평가 다음에 이어지는 중간고사나 기말고사 등의 큰 평가에서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통해 학습 동기 부여 정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The Relationship of Brain Dominance with Mathematics and Science Achievement (뇌 활용 성향과 수학 및 과학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분석)

  • Kim, Mi Young;Cho, Sun Hee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6 no.1
    • /
    • pp.14-21
    • /
    • 2012
  •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brain dominance with mathematics and science achievement. The participants were 131 middle school students (male: 74, female: 57). It was found that the above average group in mathematics and science achievement had the highest frequency with left lower brain (LLB) (mathematics: 33.8%, science: 35.0%), whereas the below average group in mathematics and science achievement had the highest frequency with right lower brain (RLB) (mathematics: 38.7%, science: 36.1%). The LLB scor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bove average group and the below average group in science (p<.05). In the correlational analysis, the LLB scores had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s (mathematics: r=.28, science: r=.26). The LUB scores had the second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s (mathematics: r=.18, science: r=.24). These results suggest that LLB and LUB are related to mathematics and science achievement. Therefore, we insist that the assessment of mathematics and science achievement should consider brain domina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