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장 발육

검색결과 388건 처리시간 0.024초

신장발육 및 재생에 따른 insulin-like growth factor(IGF)-I 및 IGF-binding protein의 변화 (Alterat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IGF)-I and IGF-Binding Proteins in Renal Development and Regeneration)

  • 박성광;고규영;이대열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3권2호
    • /
    • pp.109-116
    • /
    • 1999
  • 목적 : Insuln-like growth factor(IGF)-I및 -II는 성장인자로 일군의 IGF-binding protein(IGFBP)에 의하여 그 작용이 조절된다. IGF-I은 백서 신장에서 발견되고 대사효과와 성장효과를 갖고 있다. 이번 연구는 백서에서 신장발육과 허혈성 신손상 후 재생과정 동안에 IGFBP의 발현이 변화하는지를 보고자 한다. 방법 : 태생 15주부터 성숙 할때까지 백서 신장에서 IGFBP 발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Northern blotting을 시행하였고, 급성신부전 백서의 신장에서 IGF-IGBP axis의 변화를 보기 위해 Northern blotting과 Immunohisto-chemistry를 이용하였다. 결과 : IGFBP-1과 -3는 태생기에는 거의 발현되지 않다가 출생 후 7일째부터 성숙이 끝날 때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에 IGFBP-2와 -5는 태생기에 많이 발현되고, IGFBP-2는 출생 후 7일째까지 IGFBP-5는 30일째까지 높은 농도를 유지하다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한편 IGFBP-4는 태생기에 중등도로 발현되는데 출생 후 증가하기 시작하여 7일째 가장 많이 발현되다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신손상 후 IGFBP의 변화를 보면 IGFBP-1과 -4는 재생기간 동안 3-5배 증가되다가 정상으로 회복된 반면 IGFBP-3와 IGFBP Related Protein-1(IGFBPrP-1) 은 신손상 1일째에는 약간 감소하다가 그후 증가하여 정상보다 약간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결론 : 백서 신장에서 신장구조나 기능의 발달, 분화 및 재생에 대한 IGF의 작용을 조절할 수 있는 IGFBP 발현에 현저한 변화가 있었다.

  • PDF

한우 송아지의 분만계절이 성장, 사료섭취량 및 질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lving Season on Growth Performance, Feed Intake and Disease Occurrence of Hanwoo Calves)

  • 권응기;조영무;박병기;최창원;김영근;백봉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59-66
    • /
    • 2007
  • 본 연구는 분만계절이 포유기 및 이유후 한우 송아지의 음수량, 영양소 섭취능력, 발육 및 질병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험축은 송아지 67두를 공시하여 분만계절에 따라 봄 분만 송아지 27두와 가을 분만 송아지 40두를 배치하였다. 포유기 건물섭취량은 가을분만 송아지의 경우 생후 3~4개월령에는 동절기 저온 환경의 영향으로 봄 분만 송아지에 비해 감소하였다. 가을 분만 송아지의 생시~2개월령에서, 봄 분만 송아지의 경우 생후 2~4개월령에서 음수량이 증가하였다. 봄 분만 송아지와 가을 분만 송아지의 체중 차이는 없었으나, 생후 2개월령 이후 봄 분만 송아지의 일당증체량이 가을 분만 송아지에 비해 많았다. 생후 60일 이전에 설사 발생이 많았는데, 분만계절별로는 생후 30일 이전에 가을 분만 송아지에서 설사 발생이 많았다. 따라서 한우 포유우사의 분만계절별 사육환경 온도는 송아지의 음수량, 보조사료 섭취량 및 성장발육에 영향을 미치므로 육성률 향상을 위해 포유기 송아지 관리의 차별화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13번 환염색체의 모자이크 증후군 (A case of mosaic ring chromosome 13 syndrome)

  • 김수영;오수민;김미정;송은송;김영옥;최영륜;우영종;황태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2호
    • /
    • pp.242-246
    • /
    • 2009
  • 13번 환염색체 증후군은 정신발달의 지체, 성장 장애, 안면부 기형, 중추신경계 기형, 심장기형, 손발의 기형, 골격계 기형 및 항문기형의 특징을 가진다. 많은 수의 13번 환염색체 증후군에 대한 보고가 있었지만 국내에서는 오직 6예의 임상증례 고가 있다. 이들 보고는 모두 순수한 13번 환염색체 증후군을 보고한 것으로 본 저자들은 13번 환염색체 모자이크 현상의 증례를 경험하였다. 산전진찰 상 자궁내 발육지연이 의심되었던 남아에서 안면부기형이 관찰되었으나 이 외에 이학적 검사상 심장 기형, 골격계 및 외부 생식기 기형은 특별히 관찰되지 않았다. 시행한 세포 유전학 검사상 13번 염색체의 ring/monosomy/dicentric 모자이크 현상이 나타났다. 이후에도 근력저하, 성장과 발달지연을 보이고 있다. 저자들은 안면부 기형, 소두증과 대칭성 자궁내 발육지연을 보인 남아에서 13번 환염색체의 모자이크 증후군을 경험하여 기존에 보고된 다른 증례들과 임상 양상을 비교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국내 영양조사(1960-1990년)에서 적용된 영양평가 방법의 내용 및 추이분석 (Evaluation of Methods Used in Nutrition Surveys in Korea(1960-1990))

  • 최영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5권2호
    • /
    • pp.187-199
    • /
    • 1992
  • 1960년에서 1990년까지 발표된 영양조사 관련논문 336편을 9(영유아, 학동기아동, 청소년, 대학생, 임신수유부, 주부, 노인, 근로자, 환자)개 대상 집단별로 나누어 각 대상집단의 영양조사에 적용된 조사방법을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영양조사의 대상별 분포를 보면 영유아, 학동기아동, 대학생, 청소년, 주부, 노인, 근로자, 수유부, 환자의 순이었다. 조사건수의 85%가 식이조사를 포함였으며, 식이섭취조사법의 이용이 증가되었다. 설문지의 조사표를 이용하여 식습관, 영양지식등 식생활 상황을 파악한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그 내용도 대상집단에 따라 다양하였다. 논문의 53%가 신체계측조사를 적용하였으며 영유아, 학동기 아동의 경우는 신장과 체중을 계측하여 발육표준치와 비교하여 성장발육을 측정하였고, 성인의 경우는 신장과 체중을 이용하여 body mass index를 구하거나 피부투겹두께를 측정하여 체조성을 관찰하였으며, 최근에는 영양부족으로 인한성장 지연이나 열세한 체위보다는 영양과잉섭취로 인한 비만 쪽으로의 연구가 증가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정확한 체지방측정 방법을 모색하는 연구논문이 다수 있었다. 생화학적 조사를 수행한 연구논문은 32%로서 숫자에 있어서는 거의 빈혈에 관한 생화학적 조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단백질 영양상태 판정을 위한 조사가 다수 있었으며, 무기질에 있어서는 Na과K이 주를 이루었고 비타민에 관한 생화학적 조사는 매우 부진하였다. 임상조사는 26%로서 그 적용빈도가 가장 낮았으며 특히 영양결핍성 신체징후를 관찰한 경우는 5%정도에 그쳤다. 반면에 대상자의 자각증상에 관한 설문 또는 조사표를 이용한 건강상태자각정도와 피로도 등을 측정하는 사례가 많았다.

  • PDF

정상교합을 가진 유치열기 아동의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CEPHALOMETRIC ANALYSIS FOR CHILDREN WITH NORMAL OCCLUSION IN THE PRIMARY DENTITION)

  • 서문선;손흥규;백형선;최형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9-118
    • /
    • 2005
  • 소아치과 영역에서 아동의 두부방사선 계측치의 비교분석은 성장과 발육의 평가에 중요하며 부정교합의 조기진단과 치료를 위한 두개 안면부의 형태, 성장 양상을 아는 것에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표준치가 중요한데 유치열기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으므로 유치열기 정상교합 아동의 표준치를 얻고 과거 연구에서의 계측치와 비교하고자 서울시내 소재의 유아원 아동 중 유치열기의 정상교합을 가진 4세에서 5세 아동으로 본원에 내원한 안모 및 전신 발육 상태가 양호한 아동 46명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 사진을 촬영,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골격성 계측항목에서 각도 계측치는 남녀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고 길이 계측치는 남자가 여자보다 전반적으로 큰 수치를 보였다. 2. SNA는 $81.3^{\circ}$, SNB는 $76.6^{\circ}$, ANB difference는 $4.7^{\circ}$를 나타냈다. 3. Anterior cranial base length에 대한 Mandibular body length의 비율은 남녀모두 0.9:1이었고 Anterior facial height에 대한 Posterior facial height의 백분율은 남자 61.4%, 여자 62.0%를 나타냈다. 4. 치성 계측항목에서는 IMPA는 $84.2^{\circ}$, UA to SN은 $90.8^{\circ}$를 나타냈다. 5. Ricketts의 심미선에 대하여 상순은 2.6mm, 하순은 2.5mm 전방으로 위치하고 있었다.

  • PDF

일부 도시지역 청소년들의 성장 발육과 최대 성장 발육 연령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hysique and Maximum Growth Age of Korean Youth in an Urban Area)

  • 정길상;박순영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61-172
    • /
    • 1997
  • In order to assess the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 and nutritional status of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ity of Seoul, physiques of 4, 041 persons(Male : 2, 096, Female: 1, 945) were measured from March 1 to July 31 in 1995 and variouis physical and nutritional indices, maximum growth age related to them were calcul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 The growth of body height showed straight linear development among male in the ages 7~16 and among female 7~14, and after that showed slower development. The age of cross over between two sexes was between 11.5 to 12.5 years of age. The maximum growth age was between 11 and 12 years of age(7.28cm) in male and between 11 aqnd 12 years of age(9.77cm) in female. In terms of body weight, it also showed straight linear development among male in the ages 7~16 and among female 7~14, and after that showed slower development. The maximum growth age was between 11 and 12 years of age(7.64kg) in male and between 11 and 12 years of age(8.l9kg) in female. In terms of chest girth, it showed two step development among male in the age of 7~13 and 13~17, and among female in the age of 7~14 and 14~17. The age of cross over between two sexes was 11 and 12 years of age. In terms of sitting height, it showed two step development in the age of 7~14 and 14~17 of both sexes and the age of cross over between two sexes was between 10.5 to 14.5 years of age. The maximum growth age was between 11 and 12 years of age(3.64cm) in male and between 11 and 12 years of age(5.98cm) in female. 2. Maximum Growth Age of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 In body height, MGA was 10.59 for male and 10.34 for female which showed that MGA for both sexes appeared in similar periods. In body weight, MGA was 10.30 for male and 10.30 for female which showed that MGA for both sexes appeared in similar periods. In chest-girth, MGA was 14.74 for male and 11.60 for female which showed that MGA for female appeared about 3 years earlier than for male. In sitting height, MGA was 11.69 for male and 11.38 for female which showed that MGA for both sexes appeared in similar periods. Maximum growth ages of physiques appeared in order of body height 〉 body weight 〉 sitting height 〉 chest-girth.

  • PDF

대한소아치과학회 홈페이지의 진료 상담 코너 분석 및 개선 방향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PARENTAL CONSULTATION ON THE WEBSITE OF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 우주형;정태련;김정욱;김종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99-703
    • /
    • 2006
  • 본 조사는 대한소아치과학회 홈페이지의 진료상담 코너의 내용 및 환자의 연령, 상담자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여 그 동향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홈페이지가 개정된 2002년 3월 23일부터 2005년 3월 8일까지의 광고성, 비방성, 비관련성을 이유로 삭제된 질문은 제외하고, 2485건의 질문이었다. 조사 내용은 환자의 연령, 상담 내용, 상담자 등이었다. 1. 환자의 연령 분포는 학령전 아동이 대부분(64.29%)을 차지하였다(P<0.05). 2. 상담 내용은 대항목 분류에서 성장과 발육, 수복 및 치수 치료에 관한 질문이 상당수였다. 3. 상담 내용은 소항목별 분류에서 치아맹출, 수복 신경 치료, 외상에 관한 질문이 많았다. 4. 상담자의 93.72%가 어머니였다. 5. 상담 내용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성장과 발육, 수복 및 치수 치료, 외상 등에 대한 질문을 FAQ를 통하여 보강하고, 육아 관련 contents를 개발하는 등 정보의 질을 개선하고, 형식을 보다 구체화하며 분야별 상담 패널을 도입하는 등 전문화하여 홈페이지를 개선해야 할 것이다.

  • PDF

만성 소화기 질환 환아에서 미량원소 결핍과 모발 검사의 유용성 (Trace Elements Deficiency and the Diagnostic Usefulness of Hair Mineral Analysis in Children with Chronic Gastrointestinal Disease)

  • 홍지나;이정화;이란;신지연;고재성;서정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1권2호
    • /
    • pp.122-129
    • /
    • 2008
  • 목 적: 만성 설사, 흡수 장애 등의 소화기 질환에서 경구 영양 공급이 불충분할 경우 미량원소 결핍 발생의 빈도가 높으나, 이러한 환아에서 미량원소 결핍 증상에도 불구하고 혈액 검사 결과 정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따라서 미량원소 결핍 고위험군 환아에서 결핍된 미량원소를 확인하고, 적절한 공급 및 추적 관찰 지표로서 모발 검사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 내원하여 만성 소화기 질환으로 경구 영양 장애 또는 성장 발육 부전을 보였던 13명을 대상으로 모발과 혈액의 미량원소 검사를 시행하여, 결핍 소견을 보인 모발과 혈액의 미량원소에 대해 장기 정맥영양군과 경구영양군, 그리고 증상군과 무증상군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전체 13명 중 11명에서 모발 또는 혈액 검사에서 미량원소 결핍이 있었으며, 결핍된 미량원소는 아연, 셀레늄, 구리였다. 모발 내 아연 결핍은 8명(62%), 모발 내 셀레늄 결핍은 6명(46%)이었고, 혈액 내 아연농도가 정상인 환자의 67% (8/12명), 혈액 내 셀레늄 농도가 정상 환자의 57% (4/7명)에서 각각 모발 내 아연, 모발 내 셀레늄 결핍을 보였다. 모발 내 아연 농도는 장기 정맥영양군에서 경구영양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p=0.015) 결핍 발생 빈도 또한 유의하게 높았다(Fisher's exact test, p=0.032). 모발 내 셀레늄 농도는 증상군에서 무증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34). 결 론: 만성 소화기 질환으로 경구 영양 장애 또는 성장 발육 부전이 있을 경우 증상 여부에 상관없이 혈액검사와 함께 모발 미네랄 검사로 결핍 여부를 평가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이락촌폐흡충 표피 미세구조의 발육단계별 변화 (Tegumental ultrastructures of Paragonimus iloktsuenensi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 이순형;김상준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7권1호
    • /
    • pp.57-66
    • /
    • 1989
  • 이락촌폐흡충(Paragonimus iloktsuenensis)의 성장 발육에 따른 표피 미세구조의 변화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충체는 말똥게(Sesarma dehaani)에서 분리한 피낭유충과 흰쥐 감염 후 5∼4주에 얻은 유약충 및 감염 8주에 얻은 성충을 대상으로 하였다. 탈낭한 피낭유충은 작은 표주박 모양으로 전신이 상모양의 피극(tegumental spine)으로 덮혀 있었다. 대형의 제 II형 감각 유두(large, non-ciliated round swelling)가 구흡반 주위에 11∼12개, 복흡반 주위에 6∼8개 배열되어 있었다. 감염 2주의 유약충은 홀쭉하고 긴 모양이었고 피극이 피낭유충 보다 덜 밀생하고 있었으며 피극 끝이 2개로 갈라진 것도 관찰되었다. 많은 제 I형 감각 유두 (ciliated knob-like papillae)가 구흡반 주위에 분포하며 대형의 제 II형 감각 유두가 복흡반 주위에서 관찰되었다. 감염 4주의 유약충은 몸체가 두꺼워졌고 표피에는 3∼5개씩 군집된 피극들이 관찰되었다. 구흡반 및 복홉반 주위에는 제 I형 감각 유두와 소형의 제 II형 감각 유두가 분포하고 있었다. 감염 8주 된 성충은 매우 두꺼운 몸체를 보였고 곰의 발톱처럼 생긴(bearfoot-like) 피극이 전신의 표피에 밀생하고 있었다. 특히 배측에는 자갈 모양의 세포 돌기(cobblestone-like cytoplasmic process) 들이 잘 발달되어 있었고 많은 피극들이 여기에 매몰되어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락촌폐흡충이 피낭유충에서 유약충 및 성충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표피의 형태 및 구조도 점차적으로 바뀌며 계속 분화되어 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셀룰로오스 분해균을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사육과 부산물 응용 기술 (A Grub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Rearing Technique Using Cellulose-digesting Bacteria and Natural Recycling of Rearing Byproduct to an Organic Fertilizer)

  • 강상진;박천우;한상찬;이영근;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89-197
    • /
    • 2005
  • 장수풍뎅이(Allomyrina dichotoma(Coleoptera: Dynastidae)) 후장에서 셀룰로오스 분해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두 세균은 각각 Yersinia와 Bacillus 속으로 동정되었다. 이 두 세균의 셀룰로오스 분해능력은 참나무 톱밥으로 사육되는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senlensis (Coleoptera: Cetoniidae))의 성장을 촉진시켰다. 이때 먹이 톱밥에 10% 이상의 밀가루를 첨가할 경우, 흰점박이꽃무지의 발육은 더욱 증진되었다. 한편 동정된 셀룰로오스 분해균을 사과원 전정목 톱밥에 첨가할 경우, 흰점박이꽃무지는 이를 먹이원으로 성장하였다. 이들 굼벵이의 대량사육에 따른 배설물은 높은 유기물 함량과 극소량의 독성 중금속을 함유하여 퇴비로서의 기능을 보유하였다. 이 굼벵이 배설물을 상추 재배지에 투입할 경우 상추발육을 촉진시켰다. 본 연구는 장수풍뎅이 유래 셀룰로오스 분해균을 이용하여 굼벵이 사육을 도모하는 데 일차 응용성을 보여주었으며, 이를 통해 부차적으로 사과원 폐목과 굼벵이 배설물의 자연 순환 모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