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장인자모형

Search Result 2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위험인자(危險因子)와 자본자산(資本資産)의 가격결정(價格決定)

  • Lee, Il-Gy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3 no.2
    • /
    • pp.1-49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자본시장의 변동성을 충분히 해명할 수 있는 가격결정모형이 정립되었다. 자본 자산의 가격은 세개의 위험에 대한 프리미엄의 총화임이 도출되었다. 이 세개 위험은 소비베타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 모수, 시장베타와 유사한 형태의 모수, 그리고 총국민생산의 성장률과 자산과의 공분산에 의하여 정의되는 모수이다. 이 모수를 각각 소비위험모수, 시장위험모수 및 생산위험모수라 할 수 있다. 자산의 가격을 결정하기 위하여 가격화(pricing)되는 체계적 위험이 세개라는 것은 중요한 함의인 것이다. 자산의 가격은 소비와 시장에 의하여 결정된다. 소비와 시장은 자체의 독립적 영역과 서로 상대에 대하여 상호작용하는 영역을 갖는다. 독립적 영역에서 생성되는 위험이 소비모수와 시장모수로 표상되며, 이 양자의 상호작용관계가 생산모수로 귀일한다.

  • PDF

핵융합로용 초전도 전자석 구조재의 파괴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김지현;황일순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05b
    • /
    • pp.52-57
    • /
    • 1997
  • 국제 열 핵융합로 (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 의 중앙 솔레노이드(solenoid) 초전도 전자석의 피복관 (conduit) 으로서 가장 유력한 후보 재료인 니켈-철 기저 초합금에 대한 개선된 파괴역학적 거동 예측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피로균열 성장과 파괴 인성 치의 측정이 사용되었다. 유한 요소법을 사용하는 상용 구조해석 코드인 ANSYS 제 5.2판에 의해 초전도 전자석 피복관 재료에 대한 탄소성 파괴역학적 거동을 살펴보았다. 정확한 파괴 기준을 개발하기 위하여 삼차원 J 적분 인자에 의한 결과를 사용하였다. 얇은 피복관재의 경우에 절대온도 4도에서의 적합한 파괴 인성치는 실제 단면효과를 고려한 표면균열 인장시험 결과를 토대로 J 적분으로 도출한 150 MPaㆍm$^{1}$2/ 로 제시되었다.

  • PDF

The synthesis and crystal structure of $[({\eta}^5-Cp)Co]_2$(1,2-S,S-o-Carborane) $(C_{12}H_{20}B_{10}S_2Co_2)$ ($[({\eta}^5-Cp)Co]_2$ (1,2-S,S-o-Carborane) $(C_{12}H_{20}B_{10}S_2Co_2)$의 합성 및 결정구조)

  • Cho, Sung-Il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
    • v.18 no.2
    • /
    • pp.62-67
    • /
    • 2008
  • An Organometallic compound, $C_{12}H_{20}B_{10}S_2Co_2$, was synthesized from o-carborane, $Cp^*Co(S_2B_2B_{10}H_{10})$ and $BH_3{\cdot}THF$. The molecular structure of this complex has been determined by X-ray diffraction. Crystallographic data: monoclinic, space group Cc, a=15.981(4) ${\AA}$, b=15.478(17) ${\AA}$, c=12.0562(17) ${\AA}$, ${\beta}=115.063(16)^{\circ}$, Z=4, V=9683(4) ${\AA}^3$. The structure was solved by direct methods and refined by full-matrix leat-squares methods to give a model with a reliability factor R = 0.0630 for 9948 reflections.

Evaluating the Trapping Efficiency of Vegetative Buffer Systems on Sediment Reduction Using SWAT model (SWAT 모델을 이용한 수변 완충지역에서 비점오염원 저감효율 평가)

  • Kim, Ik-Jae;Son, Kyong-Ho;Kim, Jeong-K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819-1823
    • /
    • 2007
  • 유역에서 상류 유역 또는 수변을 따라 자연 자원을 이용하여 조성되어야 할 완충지대는 비점오염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중요한 최적 관리공법이다. 교란된 토지 피복과 수변 완충지대를 관리 및 복원할 때 같은 지형조건이라도 식생 종류, 발달정도, 토양조건에 따라 오염물 제거효과가 다를 수 있으며, 최소 완충지대 길이도 제거 오염물질 대상별로 적합하게 설계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용담댐 유역에서 SWAT 모델을 이용하여 식생 완충지대의 비점오염원 저감 모의 재현성을 평가하는 것이였다. 소유역의 관측값과 모델 예측값에 대한 모델의 검 보정이 선행되었으며 그 중에서 가장 높은 모델 효율을 가지는 소유역에서 three zone concept의 90m 수변완충지대를 지방하천을 경계로 하여 토지 피복도를 변화시켜 SWAT 모델에 적용하였다. 이 때 교목으로는 포플러 (Populus, 30m)을 적용하였고, 포플러의 높이 및 Leaf area index를 조정하여 관목 지대(30m)에 입력하였다. 잔디 지대(30m)는 자연초지를 선택하였다. 또한 지형변수(average slope)와 Manning's coefficient을 수변완충지대의 조건에 고려하여 변화를 주었고 이에 따른 유출량 및 유사량, T-N, T-P의 변화율을 조사하였다. 또한 5, 10, 30m의 식생 여과대를 밭 지역에만 적용하여 오염물의 저감 효율을 평가하였다. SWAT 모델은 각 소유역에서 발생된 전반적인 유출량과 수질변수의 추세를 잘 예측하였으며 정자천 소유역이 선택되었다. 모의된 완충지대에서는 연평균 940 m3/ha의 유출량이 감소되는 것으로 유사농도는 28.7 %의 저감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T-N, T-P의 농도는 오히려 증가되었는데 본 연구에서 고려된 보다 수변완충지대를 조성할 때 지하수 수위, 식생 성장변화 등과 같은 보다 정확한 설계 인자 산출 및 모델 DB 개발이 유역모델에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한 해결책을 얻어내는 상호보완적인 결과를 추구한다. 그가 디자인하는 작품은 전형적인 이미지를 내포하지 않는다. 즉 그의 작품은 기존의 가치와 이념적인 것은 배제하고, 창의적인 개념을 도출하였다.형모서리는 건물 특화 성격이 강하므로 불가피할 경우 소형 액센트 광고 위치를 미리 벽면으로 할애하는 것이 경관 및 입면계획에 유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불확실도 해석모형 등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제시하였다. 모든 입출력자료는 프로젝트 단위별로 운영되어 data의 관리가 손쉽도록 하였으며 결과를 DB에 저장하여 다른 모형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HyGIS-HMS 및 HyGIS-RAS 모형에서 강우-유출-하도 수리해석-범람해석 등이 일괄되게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HyGIS와 통합된 수리, 수문모형은 국내 하천 및 유역에 적합한 시스템으로서 향후 HydroInformatics 구현을 염두에 둔 특화된 국내 수자원 분야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기본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았다. 또한 저자들의 임상병리학적 연구결과가 다른 문헌에서 보고된 소아 신증후군의 연구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자극에 차이가 있지 않나 추측되며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총대장통과시간의 단축은 결장 분절 모두에서 줄어들어 나타났으나 좌측결장 통과시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이 부위의 통과시간 비율의 저하가 가장 주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가운 생수 섭취가 주로 결장 근위부를 자극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닌가 해석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생다시마를 주원료로 개발된 생다시마차와 생다시마 음료가 만성 기능성 변비 증세를 개선하는 효능이 잠재적으로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생약제재의 변비약 수준으로 변비 개선 효능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재료 배합비의 개선이나 대장 운동기능을 향상시키는 유효성분의 보강 등이 필요하다는 점도 알 수 있었다.더불어 산화물질 해독에 관

  • PDF

Effect of turbulent motion on size distribution of suspended flocs (난류 거동이 점착성 부유사의 입도분포에 미치는 영향)

  • Byun, Jisun;So, Mi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5-25
    • /
    • 2021
  • 점착성 유사는 비점착성 유사에 비해 1차입자의 크기가 작아 1차입자간의 점착력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사를 말한다. 점착성 유사는 비점착성 유사에 비해 크기가 작아 입자의 전자기적 점착력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으므로 점착력으로 인해 입자들은 서로 응집하는 동시에 입자들 간의 충돌에 의하여 파괴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응집과 파괴가 지속되는 일련의 과정을 응집현상이라 한다. 점착성 유사는 응집과정을 통해 일차입자보다 크기가 크며 수십 개에서 수천 개의 일차입자와 물의 덩어리인 플럭을 형성하게 된다. 흐름 내 존재하는 플럭의 응집현상에 가장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난류 거동이 알려진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난류 거동에 따른 점착성 플럭의 입도분포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점착성 유사 입도분포 모형을 개발하였다. 수치모형의 개발은 확률과정(또는 추계과정)의 개념을 바탕으로 한다. 점착성 유사의 응집현상을 구성하는 응집과정은 다양한 연구를 통해 메커니즘들이 규명된 것과 달리 파괴과정은 난류로 인해 발생하며 무작위한 것으로 여겨진다. 무작위한 플럭의 파괴과정을 확률과정으로 가정하고 매개변수 중 하나를 대수정규분포를 따르는 난수로 고려하였다. 개발된 모형의 검증은 연안지역에서 점착성 플럭의 거동을 측정한 연구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수행하였으며, 흐름 유속의 연직분포와 유사 농도의 연직분포, 응집현상 이후 플럭의 평형크기와 입도분포가 모두 합리적으로 계산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더불어 모의 결과에서는 대수정규분포를 따르는 동일한 난수를 적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하상으로부터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플럭입도분포가 단봉분포(Unimodal Distribution)와 이봉분포(Bimodal Distribution)가 모두 계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형의 개발과정에서 플럭의 가능 최대 크기를 콜모고로브 길이규모로 제한한 것과 관련이 있다. 난류 흐름 내 존재하는 플럭의 크기가 응집현상을 통해 난류의 콜모고로브 길이규모까지 성장하는 경우, 난류의 전단응력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파괴과정이 활발해지고 응집과정이 저하된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플럭의 가능최대 크기를 콜모고로브 길이규모로 제한하였으며, 하상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콜모고로브 길이규모의 변화로 인해 콜모고로브 길이규모 부근에서 하나의 최빈값이 추가로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된다. 수치모의 결과로부터 얻어진 콜모고로브 길이규모와 입도분포 형태의 상관관계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실측 자료들을 검토해 본 결과, 균질한 재료를 이용한 실험실 실험결과에서 플럭 이봉분포의 최빈값이 콜모고로브 길이규모와 일치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연안지역에서 측정을 수행한 자료들에서도 이봉분포 또는 다봉분포와 콜모고로브 길이 규모와의 상관성을 찾아볼 수 있었다.

  • PDF

Detection of Imprinted Quantitative Traits Loci (QTL) for Reproductive and Growth Traits in Region of IGF II Gene on fig Chromosome (돼지 염색체상의 IGF II 유전자 인접 부위에서 번식 및 성장형질에 연관된 Imprinting 양적형질 유전자 좌위(QTL)의 탐색)

  • Lee, Hakkyo
    • Korean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
    • v.25 no.4
    • /
    • pp.295-304
    • /
    • 2001
  • Characterization of quantitative trait loci (QTL) was investigated in the experimental crosses between Berkshire and Yorkshire breed. A total of 525 F$_2$ progenies from 65 matting of F$_1$ Parents were produced. Phenotypic measurements included average daily gain (ADG), average back fat thickness (ABF), and loin eye area (LEA). To identify the presence of QTL for reproductive performance, birth weight (BWT) and body weight at 16 days (16DAY) were included as indirect trait. QTL segregation was deduced using 8 markers assigned to chromosome 2 (SSC2). Quantitative trait locus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interval mapping by regression under line-cross model. Presence of imprinting was tested under the statistical model that separated the expression of paternally and maternally inherited alleles. To set the evidence of QTL presence, significance thresholds were derived by permutation following statistical tests, respectively. Genome scan revealed significant evidence for three quantitative trait loci (QTL) affecting growth and body compositions, of which two were identified to be QTL with imprinting expression mode near the ICF II gene region. For average back fat thickness (ABF), a paternally expressed QTL was found on chromosome 2 (SSC2). A paternally expressed QTL affecting loin eye area (LEA) was found in the region of SSC2 where evidence of imprinted QTL was found for average back fat thickness (ABF). For average daily gain (ADG), QTL expressed with Mendelian mode was found on chromosome 2 (SS2). Also, QTL affecting average daily gain (ADC), was identified to be expressed with Mendelian express mode.

  • PDF

The Annual Runoff Estimation of Namchun Using SWMM (SWMM을 이용한 남천의 연유출량 추정)

  • Kim, Nam-Uk;Lyu, Si-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109-1113
    • /
    • 2010
  • 창원시는 경제성장에 따른 도시화 현상으로 경작지나 녹지와 같은 투수지표면이 대단위 주택단지나 도로, 상업지구, 공장시설과 같은 불투수지표면으로 변화되어 전형적인 도시 유역특성을 띠고 있어 SWMM 모형의 적용에 적합하다. 적용대상인 남천은 창원시를 관류하는 유로연장 14.7 km의 하천으로 지류인 창원천을 포함하고 있으며, 2007년부터 환경부 지원 시범사업으로 생태하천복원사업이 계획되어 실시설계 완료 후 공사가 진행 중이나, 복원 후 하천관리를 위한 유지유량 산정 등의 타당성과 관련한 문제가 지역사회에서의 화두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천 유역의 특성을 적절히 고려한 유지유량 산정을 통해 향후 복원된 남천의 하천관리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 실측된 남천과 창원천의 유량자료와 SWMM 유출량 모의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남천의 유량자료는 2008년 5월 6일부터 8월 20일까지 실측하였으며, 남천의 지류인 창원천은 유량자료 취득구간이었던 창원천교 지점에서 생태하천복원사업이 진행됨에 따라 유량자료를 취득할 수 없었으므로 남천의 유량자료를 이용하여 비유량법으로 추정하였다. 유출량 산정을 위한 강우자료는 기상청 자료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마산과 창원의 강우자료를 이용한 분석 결과 강우 패턴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고 마산기상대의 자료 대신, 창원시에서 제공한 5년간 (2005년~2009년)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SWAT을 이용하여 남천 유역을 39개의 소유역으로 분할하고 Arc View를 이용하여 지형인자들을 추출하여 SWMM 입력자료로 사용하였다. 입력자료 중 유출량 추정에 큰 영향을 끼치는 매개변수들은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최적의 매개변수들을 결정하고 연유출량 추정을 위한 모의를 수행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남천의 연유출량을 추정함으로써 하천관리를 위한 유지유량 산정의 기초로 활용할 수 있었다.

  • PDF

Dynamic Changes of Urban Spatial Structure in Seoul: Focusing on a Relative Office Price Gradient (오피스 가격경사계수를 이용한 서울시 도시공간구조 변화 분석)

  • Ryu, Kang Min;Song, Ki Wook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2 no.3
    • /
    • pp.11-26
    • /
    • 2021
  •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office space, there have been questions on how office rent distribution produces a change in the urban spatial structure in Seou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 relative price gradient and to present a time-series model that can quantitatively explain the dynamic changes in the urban spatial structure. The analysis was dealt with office rent above 3,306 m2 for the past 10 years from 1Q 2010 to 4Q 2019 within Seoul. A modified repeat sales model was employed. The main findings ar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estimates of the office price gradient in the three major urban centers of Seoul, the CBD remained at a certain level with little change, while those in the GBD and the YBD continued to increase. This result reveals that the urban form of Seoul has shifted from monocentric to polycentric. This shows tha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ompanies has gradually accelerated decentralized concentration implying that the business networks have become significant. Second, contrary to small and medium-sized office buildings that have undertaken no change in the gradient, large office buildings have seen an increase in the gradient. The relative price gradients in small and medium-sized buildings were inversely proportional among the CBD, the GBD, and the YBD, implying their heterogeneous submarkets by office rent movements. Presumably, those differences in the submarkets were attributed to investment attraction, industrial competition, and the credit and preference of tenants. Th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e hierarchical system identified in the Seoul 2030 Plan as well as the literature about Seoul's urban form. This research claims that the proposed method, based on the modified repeat sales model, is useful in understanding temporal dynamic changes. Moreover, the findings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urban growth strategies under rapidly changing market conditions.

Comparison of Gefitinib and Erlotinib for Patients with Advanced Non-Small-Cell Lung Cancer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Gefitinib와 Erlotinib의 비교)

  • Lee, Jin Hwa;Lee, Kyoung Eun;Ryu, Yon Ju;Chun, Eun Mi;Chang, Jung Hyu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66 no.4
    • /
    • pp.280-287
    • /
    • 2009
  • Background: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tyrosine kinase inhibitors (EGFR-TKIs), became an attractive therapeutic option for advanced non-small-cell lung cancer (NSCLC). Several studies suggested that there might be some different efficacy or response predictors between gefitinib and erlotinib. We compared the efficacy and toxicity of gefitinib and erlotinib in Korean patients with advanced NSCLC and evaluated specific predictors of response for both gefitinib and erlotinib. Methods: We collected the clinical information on patients with advanced NSCLC, who were treated with gefitinib or erlotinib at the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uly 2003 and February 2009. Median survival times were calculated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Results: Eighty-six patients (52 gefitinib vs. 34 erlotinib) were enrolled. Patient median age was 64 years; 53 (62%) subjects were male. Out of the 86 patients treated, 83 received response evaluation. Of the 83 patients, 35 achieved a response and 12 experienced stable disease while 36 experienced progressive disease, resulting in a response rate of 42% and a disease control rate of 57%. After a median follow-up of 502 days, the median progression-free and overall survival time was 129 and 259 days, respectively. Comparing patients by treatment (gefitinib vs erlotinib),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verall response rate (44% vs. 39%, p=0.678), median survival time (301 days vs. 202 days, p=0.151), or time to progression (136 days vs. 92 days, p=0.672). Both EGFR-TKIs showed similar toxicity. In a multivariate analysis using Cox regression model, adenocarcinoma w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survival (p=0.006; hazard ratio [HR], 0.487; 95% confidence interval [CI], 0.292-0.811). Analyses of subgroup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response predictors between gefitinib and erlotinib. Conclusion: Comparing gefitinib to erlotinib,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response rate, overall survival, progression-free survival, or toxicity. No specific predictor of response to each EGFR-TKI was identified.

A Value Evaluation Research of the Old-growth and Giant Tree - Focus on Gyeongju Gyerim's Zelkova Serrata - (노거수의 가치 평가 연구 - 경주 계림숲 느티나무를 대상으로 -)

  • Son, Hee-Jun;Xia, Tian-Tian;Kim, Young-Hun;Kang, Tai-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4 no.4
    • /
    • pp.51-56
    • /
    • 2016
  • Old-growth and giant tree is a nonrenewable resource with great val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cientific and reasonable evaluations for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old-growth and giant tree. Until now the research of old-growth and giant tree's value evaluation and authoritative index is so insufficient and imperfection. Combining with the particularity of the old-growth and giant tree, this study analyzed the main value factors of the old-growth and giant tree and objectively selected the evaluation indicators. According to the actual situation value appraisal model of the old-growth and giant tree was builded. The main value factors can be divided into economic value, cultural history, growing place, tree state, tree form, tree vigor, protection level, growth environment, tree species, tree canopy, and so on. The evaluate indicators can be selected and the indicators' weight can be calculate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s(AHP). Based on economic value and indicators' weight, tree's total value can be revealed. After calculation and analysis, Gyeongju Gyerim Zelkova serrata's value evaluation results is 491,503,300 won.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scientific basis and reference to the old-growth and giant trees' value appraisal and loss compensation, and arouse people's environmental awar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