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인간호학

검색결과 1,429건 처리시간 0.031초

목표지향적 루브릭을 활용한 성인간호학 교육이 간호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n Goal-directed Rubrics Nurs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Adult Nursing Education)

  • 장윤경;김해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782-789
    • /
    • 2016
  • 본 연구는 성인간호학 교육을 위한 목표지향적 루브릭을 개발하고, 개발된 루브릭이 간호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 대학의 간호대학생 154명이 참여하였다. 학업성취도 측정을 위해 지필고사, 간호과정, 팀역량 평가점수가 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대조군 보다 실험군의 지필고사 평가점수(t=5.80, p<.001), 간호과정 평가점수(t=3.37, p=.001), 팀역량 평가점수(t=4.58, p<.001)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 간호교육의 핵심영역인 성인간호학 교육에서 학습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으로 루브릭 활용의 중요성이 증가됨에 따라 본 연구의 결과는 의미가 있다. 이에 성인간호학 전반에 걸쳐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루브릭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그 효과를 검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한 성인간호학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몰입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dult Nursing Education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Learning Commit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Using the Havruta Learning Method)

  • 임소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547-554
    • /
    • 2019
  • 하브루타는 사고의 과정개발을 위한 최상의 교수학습방법으로, 다양한 학생활동 중심의 교육방법이다. 본 연구는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한 성인간호학 교육을 간호 대학생에게 적용하여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몰입,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17년 9월부터 12월까지 U시 소재한 일개 대학의 재학 중인 2학년 간호 대학생 96명 중 실험군 47명, 대조군 49명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유사실험 연구이며, 자료 분석은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hi}^2-test$, t-test, Two-way repeated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한 성인간호학 교육을 시행한 실험군과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의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몰입, 학습만족도가 집단과 시점간의 교호작용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한 성인간호학 교육을 시행한 실험군는 교육 후, 비판적 사고성향(md=.14, p=.045), 학습몰입(md=.27, p=.025), 학습만족도(md=.30, p=.031)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따라서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한 성인간호학 교육은 간호 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몰입, 학습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교육프로그램을 다양한 학년 및 교과목에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성인간호학 이론수업과 연계한 High-Fidelity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 (The Effect of High-Fidelity Simulation Practice Related with Classical Education of Medical Surgical Nursing)

  • 전열어;김경미;황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176-8186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에게 성인간호학 이론수업과 실습교육의 단절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High-Fidelity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분석방법은 성인간호학 이론수업의 학습목표에 따라 비뇨기계 대상자 간호에서 고칼륨혈증 대상자 간호를 위한 알고리즘, 평가체크리스트, 디브리핑을 포함한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로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적 특성과 종속변수의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이 확보되었다. 고칼륨혈증 대상자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간호수행능력,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자기효능감, 간호지식정도에 미치는 효과는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은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83.313, p<.001, t=-3.169, p=.003, t=-2.473, p=.017, t=-4.036, p<.001, t=-5.044, p<.001). 간호학생의 성인간호학 이론수업과 연계한 High-Fidelity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간호수행능력,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자기효능감, 간호지식을 높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프로그램을 교육과정에 적용함으로써 효율적인 실습교육 방안을 제시하고 간호교육의 질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온택트 시대의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이 경험한 온라인 비대면 성인간호학실습에 대한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on online non-face-to-face adult nursing practice experienced by graduating nursing students in the ontact era)

  • 임소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95-205
    • /
    • 2021
  • 코로나19가 대유행이 되면서 국내 대부분의 간호학과에서는 기존의 실습방법이 아닌 온라인 비대면 실습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비대면 성인간호학실습 과정에서 경험하는 내용을 이해하고자 참여자들이 작성한 성찰일지를 분석한 질적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일개대학 간호학과 졸업학년인 4학년 재학생 중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45명이다. 온라인 비대면 성인간호학실습은 2학점 90시간으로, 1일 9시간씩 총 10일 운영되었다. 본 온라인 성인간호학실습은 컴퓨터 기반 시뮬레이션실습, 컴퓨터 기반 간호술기실습, 동영상 및 교육자료 제작, 실시간 온라인 퀴즈와 온라인 강의영상시청, 토론 등으로 구성되었다. 성찰일지를 분석한 결과, 6개의 범주, 13개의 주제모음, 33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6개의 범주로는 '다양한 상황경험', '새로운 학습의 경험', '임상실습에 대한 성취감', '교수자와의 관계형성', '비대면 실습에 대한 양가감정', '예비간호사에 대한 두려움'으로 진술되었다.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는 교육현장에서 성인간호학실습이 임상실습기관이 아닌 비대면 실습으로 진행하여 다양한 교육방법으로 운영하고 분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비대면 성인간호학 실습개발 및 운영의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을 기대한다.

성인간호학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습만족도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Satisfaction for Real-Time Online Classes in Adult Nursing)

  • 함미영;임소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80-87
    • /
    • 2021
  • 본 연구는 실시간 온라인 성인간호학 수업에 대한 학습만족도의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간호학 교과목의 온라인 강의 설계 및 운영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준비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일개 대학 간호학과에서 실시간 온라인 성인간호학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3학년 105명을 대상으로, 2020년 6월 20일부터 7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온라인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수집을 시행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학습몰입은 3.07점(5점 척도), 수업참여는 3.46점(5점 척도), 학습만족도는 3.88점(5점 척도)으로 나타났다. 학습만족도는 학습몰입(r=.41, p<.001), 수업참여(r=.56, p<.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본 연구 대상자의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수업참여(��=.47), 성인간호학 수업에 대한 흥미정도에서 매우 높음(��=.21), 높음(��=.20) 순이었으며, 설명력은 34%로 분석되었다(F=14.53, p<.001).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학습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주요요인은 수업참여로,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 및 교육방법을 개발하여 간호대학생의 학습성과 및 학습목표의 효율적인 달성을 기대해 본다.

간호사 국가시험 방향설정을 위한 임상수행 능력- 기본간호학, 성인간호학, 정신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 지역사회간호학, 아동간호학, 간호행정을 중심으로 - (Clinical Competency for Directing of Registerd Nurses정 National Examination.)

  • 김분한;김소야자;이정섭;탁영란;김희순;최의순;신경림;최경숙;김귀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075-1087
    • /
    • 1998
  • For producing large numbers of professional nurses who could manage 21th century's human health,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direction of registered nurses' national examination which evaluates the nursing education and is granted a licence. For adapting to social expectation of the nurse, we have to nurture the nurses' problem solving capability in clinical setting. Seven divisions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suggested clinical competency according to their categories. This paper was presented in the work-shop for setting up direction of registered nurses' national examination. We expect that this paper would be more refine and confirm through reviewing subdivisions' learning objectives and discussing clinical minimum level of competence contents with clinical leaders.

  • PDF

문제중심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 문제해결능력, 전문직 자아개념 및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the Metacognition, Problem Solving,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Directed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 오은영;유정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9호
    • /
    • pp.89-102
    • /
    • 2023
  • 본 연구는 성인간호학 교과목에 적용한 사례기반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후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 문제해결능력, 전문직 자아개념 및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단일군 사전사후설계(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D간호대학의 성인간호학 교과목을 수강 신청한 4학년 60명이었으며, 2022년 9월부터 12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성인간호학 수업 모형은 PBL에 적합한 ADDIE모형을 기반으로 설계하였다. 교수학습 과정은 총 15주이었으며, 8주는 강의, 2주는 지필고사, 5주는 Barrow와 Myers의 5단계 PBL학습으로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중재 전 후 변수 간의 차이 검정은 Paired t-test를 이용하였다. PBL수업 전·후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t=-8.04, p<.001), 문제해결능력(t=-4.08, p<.001), 전문직 자아개념(t=-4.67, p<.001) 및 자기주도학습(t=-4.65, p<.001)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므로 간호학생들의 메타인지, 문제해결, 전문 직 자아개념 및 자기주도학습능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간호학의 여러 전공교과목에서 PBL을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 기반 성인간호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사역할 이행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he Simulation-Based Adult Nursing Education on Resilience, Clinical Competence, and Role Transition of Nursing Students)

  • 한미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329-339
    • /
    • 2019
  •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기반 성인간호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사역할이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단일군 전·후 설계의 유사실험 연구로, 일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4학년 52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로 2017년 1학기에 1회 5시간씩 총 30시간 동안 디브리핑을 포함한 구조화된 성인간호학 시뮬레이션 수업을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적 통계를,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 측정을 위해 Shapiro-Wilk test를 실시한 결과 정규성을 만족하여,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인간호분야 시뮬레이션 교육 후 대상자의 회복탄력성은 교육 전 3.38점에서 교육 후 3.51점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고(t=-2.51, p=.016), 임상수행능력도 시뮬레이션 교육 후 3.50점에서 3.75점으로 상승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4.18, p<.001). 또한 간호사역할이행도 교육 전 3.48점에서 교육 후 3.63점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다(t=-2.89, p=.006).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간호학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간호실무영역의 임상수행능력뿐 아니라 회복탄력성과 간호사 역할이행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므로, 향후 신규간호사의 현장 적응을 도와 이직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교육적 중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