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역할 정체감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8초

초등학교 수학${\cdot}$과학 영재아동의 성역할 정체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x Role Identity of Gifted Children in Mathematics and Science)

  • 조선미;진석언
    • 영재교육연구
    • /
    • 제12권2호
    • /
    • pp.17-29
    • /
    • 2002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cdot}$과학 영재아동의 성역할 정체감을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영재아동의 심리적 특성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설문 조사를 통해 영재아동 192명과 일반아동 128명의 성역할 정체감을 살펴본 결과 영재아동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이 양성성 유형은 높게 미분화 유형은 낮게 나타났다. 영재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하여 자신의 성역할을 빨리 인식하고 있으며 일반아동보다는 자유로운 양성성적인 성향을 나타냈다.

보건의료 대학생의 손가락 길이비(2D:4D)와 성역할 정체감 (Digit ratio(2D:4D) and gender role orientation in health and medical students)

  • 김금숙;조근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170-2177
    • /
    • 2012
  • 집게손가락과 반지손가락의 길이비(2D:4D)는 모체 내에서 태아의 테스토스테론과 에스트로겐의 영향 수준을 반영한다. 본 연구는 보건의료 대학생의 2D:4D와 성역할 정체감 유형을 파악하고 2D:4D와 성역할 정체감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보건의료 대학생 266명(남자 120명, 여자 146명)으로 성역할 정체감 설문(KSRI)에 응답한 후 복사기를 이용하여 손가락길이가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 보건의료 대학생들의 2D:4D는 남자 0.95, 여자 0.96으로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1), 성역할 정체감에 있어서는 남자는 양성성 유형(38.3%)이, 여자는 미분화 유형(35.6%)이 가장 많았다. 남녀사이에 남성성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01), 여성성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라서는 2D:4D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남성성 여성성 점수에 따른 성역할 정체감과 2D:4D 사이의 상관관계는 남자에서는 왼손의 손가락 길이비가 낮을수록 남성성 점수가 높았으며(r= -0.188, p<0.05), 여자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보건의료 대학생 중에서도 여학생들에게 상황적인 변화에 더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양성성 유형으로 나아갈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이 더욱 더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2D:4D와 성역할 정체감과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나지는 않아 추후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학 생활적응과 성별 및 성 역할 정체감의 관련성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life Adaptation, Sex and Gender Role Identity)

  • 김도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371-38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과 성역할 정체감이 대학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대학생의 적응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연구 참여자는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 142명과 여학생 146명이다. 연구도구는 대학생활 적응 척도와 성역할 정체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SPSS와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병렬다중매개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적응의 수준과 자원에 대한 성별의 영향은 유의하나 성 역할 정체감의 영향이 함께 고려되었을 때에 설명력이 의미 있는 수준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 수준에 대한 남성성과 여성성의 영향은 유사하였으나 적응 자원에서는 남성성이 여성성보다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남학생은 남성성이, 여학생은 여성성이 매개하여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성과 정체감에 따라 지도방향이 달라야 함을 제안하며 진취적이고 도전적인 정신의 중요함을 보여준다.

남성 성역할이 우리나라 남성들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Male Gender Role and Adjustment of Korean Men)

  • 박수애;조은경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8권2호
    • /
    • pp.77-103
    • /
    • 2002
  • 본 연구는 남성 성역할이 우리나라 남성들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한국형 남성 성역할 척도를 개발하였다. 20대 대학생과 40-50대 중장년 남성들을 대상으로 남성 성역할을 조사하여, 우리나라 남성들이 서구의 남성들과 부분적으로 다른 성역할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서구 남성들의 주요 성역할 요인인 과제지향성이나 성취지향성과 같은 요인들은 본 척도에서 주도성과 성취지향성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에 대한 책임도 공통적인 요인이었다. 반면 서구 남성 성역할의 공격성이나 남성간의 친밀성 거부, 정서 억제성과 같은 요인은 본 연구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남성간의 의리가 우리나라 남성들이 갖고 있는 독특한 남성 성역할로 확인되었다. 연구 2는 한국 남성들이 남성 성역할을 내면화한 수준과 적응간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연구 1에서 개발한 척도와 자아 존중감, 우울증, 정서 표현성 등의 변인을 측정하여 본 결과, 연령 집단 공통으로 주도성 요인이 강할수록 자아 존중감이 높았다. 반면에 우울과의 관계에서는 연령 집단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났는데 20대 대학생은 남성 성역할 총점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낮았던 반면, 중장년 집단에서는 가정에 대한 책임이 강할수록 우울 수준이 높았다. 또한 20대 대학생들에게서는 남성 성역할과 정서 표현성간의 상관이 없었던 반면에 중장년 남성들은 주도성이 강할수록 정서 표현을 억제하는 경향이 있었다. 20대 대학생들은 주도성이 강할수록 진로 정체감이나 학교 친구간의 적응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정에 대한 책임이 강할수록 진로 정체감이 낮았다. 중장년 남성들은 성취 지향성과 가정에 대한 책임이 강할수록 직업에 대한 불만을 더 갖고 있었던 반면, 주도성과 결혼에 대한 불만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PDF

외모 스트레스가 아동과 청소년의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성역할 정체감 및 우울감을 매개 변인으로 (The Effects of Appearance Stress on Children and Adolescents' Self-Esteem: Mediating Variables of Sex-Role Identity and Depression)

  • 조윤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8호
    • /
    • pp.87-99
    • /
    • 2009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self-esteem influencing variables such as appearance stress, sex-role identity, and depression, in order to assess self-esteem standard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t also investigated mediating effects of sex-role identity and depression on self-esteem. The study subjects were 2,511 elementary students and 2,958 middle school students, selected using the Korea Adolescence Panel Data. The data collected from interviews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appearance stress and depression of fe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male students. However, sex-role identity of 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ose of female students. Difference in self-esteem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P > 0.05). Secondly, appearance str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sex-role identity and depression, but negatively correlated to selfesteem. Thirdly, sex-role identity and depression had a mediating affect on self-esteem. Finally, variables affecting self-esteem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appearance stress, men-role identity, and depression. In addition to these variables, women-role identity was a major factor for female students.

고교생의 성역할 정체감과 의복관여 및 의복만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x Role Identity,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 백선영;이선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5-6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Sex Role Identity,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Satisfac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difference of Sex Role Identity,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The questionaire survey was used toward 555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region during October, 1998. SAS package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gatherd data. Frequency, Percentage. Factor Analysis, Duncan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so on. Th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With the analyses of Sex Role Identity,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Satisfaction, we divided the polarized Sex Role Identity into four factors : androgynous, masculine, feminine and undifferentited type. Four factors are considered to decide Clothing Involvement: fashion, interesting pleasure, symbolism, and utility perceived risk. 2.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Role Identity,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3.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among Sex Role Identity,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Satisfaction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among them.

  • PDF

배려지향적 도덕성과 정의지향적 도덕성에 관한 연구 : 성과 성역할 정체감 및 연령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Care- and Justice-Oriented Morality : Relationships to Gender, Sex Role Identity, and Age)

  • 정옥분;곽경화
    • 아동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20
    • /
    • 200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of care- and justice-oriented morality by gender and sex role identity among adolescents, and young and middle-aged adults. The subjects were 115 males and 125 females between 16 and 59 years of age. Instruments were the Ethic of Care Interview(ECI), the Korean Defining Issues Test(DIT), and the Korean Sex Role Inventory(KSRI). Age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in both care-and justice-oriented morality; that is, young and middle-aged adults demonstrated higher care-oriented morality than adolescents. While,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demonstrated higher justice-oriented morality than middle-aged adults. Females exhibited higher levels of care- and justice-oriented morality.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between gender and age for justice-oriented morality.

  • PDF

아동 후기에서 청소년기에 이르는 성역할발달에 관한 연구 - 성역할 고정관념, 성역할 이데올로기, 성역할 정체감, 자아존중감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 (Sex-Role Development in Late Childhood and Adolescence: -Relationships among Sex-Role Stereotypes, Sex-Role Ideology, Sex-Role Identity, and Self-Esteem)

  • 유가효
    • 아동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27-144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ntrapsychic processes of self socialization in sex role development during late childhood and adolescence. For this purpose I investigated the sex-role stereotypes, sex-role ideology, sex-role identity, and self-esteem of 6th, 8th, and 10th graders and examined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se sex-role variables. Data were gathered through questionnaires administered twice with an interval of three months. The methods of analysis were one-way ANOVA, $x^2$,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1) Adolescents' sex-role stereotypes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sex typing. Subjects with low scores on sex-role stereotypes were more likely to show opposite sex typing. (2) Sex-role ideologies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sex typing. As Subjects agreed more with egalitarianism, they were more likely to exhibit opposite sex typing. (3) Adolescents' sex typing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ir self-esteem. The androgynous group exhibited the highest scores on self-esteem. (4) Path analysis from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different processes between sexes in sex-role development. In the boys' sex-role development, it was found that only masculinity contributed to self -esteem. Girls' masculinity also contributed most to self -esteem, but other sex -role variables such as femininity and sex-role stereotypes made some contributions to girls' self-esteem.

  • PDF

성인여성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신체 및 화장이미지 (Body Image and Cosmetic Image Based on Women's Sex Role Identity)

  • 김용숙
    • 복식
    • /
    • 제59권3호
    • /
    • pp.55-5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body and cosmetic image according to women's sex role ident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33 women over 20 years ol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SPSS(Ver. 15.0) was used for mean, median, frequency, percentages, factor analysis,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women were cluster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ir sex role identity. 36.5% was classified as an androgynous group, 32.4% was a undifferentiated group, 16.1% was a masculine group, and 15.0% was a feminine group. Second, factors of women's body image were interest in appearance, interest in weight, and charming of appearance. Factors of cosmetic image were natural & sociable, urban & intellect, passionate, romantic, prestige & sophisticate, fashionable & splender, active, feminine, and formal. Third, Androgynous group showed much interests in appearance and charming of appearance, but undifferentiated group had low interests. Androgynous group pursued natural & sociable, urban & intellect, passionate, romantic, prestige & sophisticate, fashionable & splendor, active, feminine, and formal images most when they applied make-ups. Masculine group pursued urban & intellect and active images much and femme group pursued natural & sociable, feminine, and formal images much. However undifferentiated group pursued all factors of cosmetic images less. Forth, androgynous group applied more kinds of cosmetics, but undifferentiated group applied l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