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상모

검색결과 285건 처리시간 0.033초

64QAM 변조 방식의 HARQ 전송을 위한 효율적인 성상 재배열 방법 (An Efficient Constellation Rearrangement for HARQ with 64QAM)

  • 박원석;조충기;김종환;김상효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8권6호
    • /
    • pp.14-21
    • /
    • 2011
  • 본 논문은 64QAM 변조 방식에서 기존의 성상 재배열 방법보다 다이버시티 효과를 늘려 오율을 줄이고 처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전된 성상 재배열 방법을 제시하고 성능향상에 대한 근거를 제시한다. 제한된 전송횟수 내에서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여 재전송에 따른 성상 좌표를 결정하고, 결정된 성상 좌표들의 전송 순서를 고려함으로써 전송 심볼간의 성능 편차를 줄여서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모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페이딩 채널과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고, 실제적인 무선통신 환경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한다.

텍사코 가스화기 적용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소 계통 최적화 연구(I) (A Study on System Optimization of Texaco Gasifer Based IGCC(I))

  • 조상기;김종진;서석빈;이윤경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199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9-53
    • /
    • 1999
  • 석탄가스화복합발전시스템 설계기술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상용 공정설계 프로그램인 Aspen Plus, Tsweet, Gatecycle을 이용하여 계통구성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석탄은 대동탄(Tatung Coal)을 사용하였으며 그 성상은 <표 1>과 같다. 대동탄은 국내화력발전설비에서 사용되고 있는 모든 석탄을 대상으로 석탄의 특성에 따른 가스화 반응특성을 분석한 결과, 석탄가스화에 가장 적합한 성상으로 나타난 바 있다.(중략)

  • PDF

상진폭 특성을 가지는 새로운 3차원 16진 신호성상도의 설계 (Design of a New 3-D 16-ary Signal Constellation with Constant Envelope)

  • 최재철;강석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2149-215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통신을 위한 새로운 3차원 16진 신호성상도의 설계방법을 제시하고 그 성능을 분석한다. 기존의 성상도와는 달리 새로운 성상도는 모든 신호점들이 구의 표면에 균일하게 분포하므로 상진폭과 대칭적 구조 특성을 동시에 만족한다. 신호성상도의 평균전력을 정규화시킨 경우 제시된 16진 신호성상도는 기존의 비상진폭(non-constant envelope) 성상도들에 비하여 최대 11.4% 가량 증가된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하여 가산성 백색 가우시안잡음 환경에서 제안된 신호성상도가 적용된 디지털 통신시스템의 심볼오율은 기존 성상도를 이용하는 시스템에 비하여 1.2dB 가량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유클리드 거리 측면에서 최적화된 기존 상진폭 신호성상도에서는 신호점들이 구의 표면에 균일하게 분포하지 않는 반면 새로운 성상도는 3차원 신호공간에서 완전 대칭인 신호점 분포를 가진다. 이와 함께 기존의 성상도에 비하여 제안된 성상도에서는 설계에 요구되는 연산복잡도가 거의 없는 장점도 있다. 따라서 제안된 3차원 16진 신호성상도는 편광편이키잉과 같이 상진폭 특성이 요구되는 디지털 통신시스템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느타리버섯균의 핵의 동태에 관한 미세구조적 연구 -균사분화중의 성상체 미세소관에 관한 연구- (Ultrastructural Aspects of Nuclear Behaviors of Pleurotus ostreatus - Behaviors of Astral Microtubules During Hyphal Development -)

  • 윤권상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1호통권76호
    • /
    • pp.1-7
    • /
    • 1996
  • 느타리버섯균의 이핵체 체세포 균사에서 분열전 및 분열후의 핵과 분열중의 핵을 화학고정방법과 동결교체방법을 이용하여 균사분화과정중의 성상체 미세소관의 미세구조적 동태를 조사하였다. 많은 수의 성상체 미세소관들이 이동중인 분열전의 핵들과 연관되어 있었으며, 분열전의 핵이 이동하는 시기에 SPB의 분리가 진행됨이 발전되었다. 분열전 이동중의 핵과는 대조적으로 SPB의 분리가 더 이상 일어나지 않는 분열중의 이거나 분열이 끝난 핵에서는 성상체미세소관이 덜 발달되어 있었다. 활발히 이동할 것으로 추측되는 분열후의 핵에서 핵과 연관된 성상체미세소관이 잘 발달되어 있지 않음은 특이한 점이다. 분열중의 모든 핵에서 성상체미세소관이 SPB에서 뻗어나오며 인은 핵막에 남아있다. 핵의 분열과 핵의 이동 및 SPB의 분리와 관련된 성상체미세소관의 기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하천 퇴적물 물성 및 수질영향 평가 (Evaluation of river sediment characteristics and water quality effect)

  • 이요상;이승윤;이혜숙;정선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481-481
    • /
    • 2016
  • 하천퇴적물은 물의 순환과정에서 유역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질에 따라 조성이 변하게 된다. 특히 입자가 작은 토양과 유기성 물질들은 물순환과정에 이동성이 크게 나타나며, 인간에 의해 개발된 지역은 자연상태에 비해 이동하는 물질이 많이 나타나곤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에 건설된 보에 대한 퇴적물 조사를 실시함으로서 향후 수질관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금강과 낙동강에 건설된 보의 주요지점에 대한 퇴적물 조사를 실시하고 수질영향을 평가하였다. 조사는 홍수기전과 홍수기후로 구분하여 2회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물리적 성상과 화학적 항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입도분석 결과 금강 주요 10개 지점의 퇴적물 조성은 Sand, Silt와 Clay 성분이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삼각좌표 분류법에 의한 토성은 대부분의 지점이 실트질양토(SiL)로 평가되었다. 완전연소가능량은 0.35~1.37로 전 지점에서 하천 호소 퇴적물 오염평가 기준의 유기물 함량기준 13%보다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홍수기 전 후에도 거의 유사하였다. 금강에서는 중금속뿐만 아니라 유기물 및 영양염류도 기준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모든 항목에서 환경부예규인 하천 호소퇴적물 오염평가 기준보다 낮게 평가되었다. 하상 퇴적물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용출실험에서도 유기물 및 중금속 모두 수질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낙동강 주요 26지점의 입도분석 결과 퇴적물 조성은 대부분 Sand로 구성되어 삼각좌표 분류법에 의한 토성은 사토(S)로 평가되었다. 홍수기 전 후에 조사한 결과 완전연소가능량은 0.27~2.85으로 전 지점에서 하천 호소 퇴적물 오염평가 기준의 유기물 함량 기준보다 낮았으며 홍수기 전 후에도 거의 유사하였다. 화학적 성상 분석 결과 모든 항목에서 환경부예규인 하천 호소퇴적물 오염평가 기준보다 낮게 평가되었으며, 용출실험에서도 유기물 및 중금속 모두 수질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번 조사는 4대강 건설 후 하상이 안정화 되지 않은 상태로 인해 지점간 특별한 경향성은 확인할 수 없었으며 보다 정확한 결과 도출을 위해서는 장기적인 조사를 통해 평가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EEZ모래와 부순모래를 사용한 레미콘의 굳지않은 성상 및 경화성상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roperties of Fresh and Hardened Ready Mixed Concrete Using EEZ sand and Crush sand)

  • 신승봉;구경모;나철성;유재철;김규용;김무한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논문 발표대회 제6권1호
    • /
    • pp.53-56
    • /
    • 2006
  • Recently, trouble of sand supplying is occurred according to exhaustion of natural sand resources. Therefore various measures are proposed for solution of trouble of sand supply and crushed sand among measures is used as one of most universal measures. But because crushed sand have poor particle shape and plenty of makes micro particle, the quality of concrete using crushed sand deteriorated.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engineering property of concrete with replacement ratio of crushed sand and EEZ sand and applied evaluation result to fundamental data for quality control of concrete using crushed sand and EEZ sand. The result of this study have shown that quality of concrete using crushed sand and EEZ sand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up to 50, 70% EEZ sand replacement by crush sand, nearly equal to that of general sand.

  • PDF

단일표본관측을 이용한 직교진폭변조 신호의 치운 변조분류 성능 (Performance of an ML Modulation Classification of QAM Signals with Single-Sample Observation)

  • 강석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1호
    • /
    • pp.63-68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다중레벨 직교진폭변조 신호론 위한 최우 변조분류기법의 성능을 분석한다.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여기서는 가용 변조방식에 대한 상대적인 분규성능과 단일표본관측을 적용할 경우 최우 분류기의 성능한계 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가용 성상도에서 심볼간 최소 유클리드 거리론 동일하게 하여 심볼의 수가 자은 성상도가 보다 큰 성상도의 부분집합이 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다중가설시험을 위한 표본의 수는 하나로 정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실험에서 신호대잡음비의 증가에 따라 분류성능이 향상됨을 될 수 있다. 특히, 참인 성상도가 4진 직교진폭변조인 경우 추가적인 정보나 관측표본 없이도 송신기에서 사용된 변조방식을 거의 완벽하게 분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16진과 64진 신호의 경우 그 부분집합이 되는 성상도에 의하여 공유된 심볼들의 영향으로 오분류 가능성이 상존하지만 단일표본관측만으로도 약 $80{\%}$의 정분류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쉬땅나무족(조팝나무아과: 장미과) 잎표피 미세형태학적 형질의 분류학적 유용성 (Taxonomic significance of the leaf micromorphology in the tribe Sorbarieae (Spiraeoideae: Rosaceae))

  • 송준호;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99-212
    • /
    • 2016
  • 쉬땅나무족(Adenostoma: 3 spp., Chamaebatiaria: 1 sp., Sorbaria: 11 spp., Spiraeanthus: 1 sp.)과 연관분류군인 Gillenia속 2분류군, Lyonothamnus속 2분류군을 포함한 총 20분류군의 잎 표피 미세구조에 대한 분류학적 유용성을 검토하고자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기재하였다. Adenostoma속, Chamaebatiaria속, Spiraeanthus속에서 기공복합체(stomatal complex)는 향축면과 배축면 모두에 기공이 존재하는 양면기공엽(amphistomatic type)이었고, Gillenia속 Lyonothamnus속과 Sorbaria속에서는 배축면(abaxial side)에만 존재하는 이면기공엽(hypostomatic type)으로 나타났다. 공변세포의 크기는 $7.84-48.7{\times}5.86-38.6{\mu}m$으로 속과 종마다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Sorbaria tomentosa var. tomentosa ($7.84-11.8{\times}6.84-10.5{\mu}m$)가 가장 작은 공변세포로 나타났고, Adenostoma fasciculatum var. obtusifolium ($30.3-48.7{\times}18.8-38.6{\mu}m$)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기공복합체의 형태는 대부분 불규칙형(anomocytic)이 우세하며, 불규칙형과 방사형(actinocytic)이 모두 나타나거나 드물게 다륜형(cyclocytic)이 나타나는 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부세포 수층벽(anticlinal wall)은 직선형과 곡선형이 동시에 관찰(straight/curved) 되거나 파상형(undulate) 또는 굴곡형(sinuate)이 관찰되었다. 연구된 분류군에서 나타나는 모용의 종류는 크게 4종류로 단세포단모(unicellular non-glandular trichome), 성상모(stellate), 선모(glandular trichome), 농포성 선모(pustular glandular trichome)가 확인되었다. 연구된 분류군 가운데 일부 분류군의 표피세포에서 막성 판(membraneous platelets), 판 모양(platelets)의 표피상납질(epicuticular wax)이 관찰되었다. 비록 잎 표피 미세형태학적 형질 내 본 족의 공유파생형질을 찾을 수 없었지만, 모용의 다양성(트기, 성상모, 선모)과 표피상납질 유무의 분류학적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잎 표피 내 다양한 미세형태학적 형질은 외부형태학적 형질과 더불어 본 족을 이해하는데 보다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난지도 하수슬러지 매립지의 슬러지 성상분석 (The Characteristics of Sludge Landfill Site in Nanjido)

  • 남궁완;황선숙;김철수;윤범한;류범수
    • 유기물자원화
    • /
    • 제4권2호
    • /
    • pp.47-53
    • /
    • 1996
  • 난지도 하수슬러지 매립지 내 슬러지의 적정 처리방안을 검토하기 위한 기초조사로서 슬러지의 매립량 및 성상을 조사하였다. 보링시험을 통하여 매립지의 깊이를 측정하였고 슬러지성상분석을 위한 시료를 채취하였다. 주요 분석내용은 슬러지의 화학적 특성, 중금속함량 그리고 용출시험이었다. 조사결과 슬러지 매립지는 평균 15m 깊이에 약 5만 평방미터 넓이로 총 매립량은 60만톤 정도로 추정되었다. 슬러지의 성상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인 하수슬러지에 비하여 상당히 안정화된 슬러지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금속 함량 시험에서 구리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일반폐기물기준을 만족하였으며, 외국의 퇴비내 중금속허용기준치와 비교한 결과 대부분 기준치 이내이었다. 슬러지의 용출시험결과 난지도 하수슬러지매립장의 슬러지는 일반폐기물로 분류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