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북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4초

대중독서운동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성북구의 '원 북, 성북' 독서운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ublic Reading Campaign: The Case of 'One Book, SeongBuk' Campaign in Seongbuk-Gu, Seoul)

  • 조찬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01-221
    • /
    • 2013
  • 대중독서운동이란 지역사회의 공동체의식을 자극할 수 있는 중요한 사회 문화적 운동이다. 대표적인 대중독서 운동인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은 지역사회에서 시민들로 하여금 한 권의 책을 읽고 함께 토론함으로써 문화적 경험을 공유하게 하고, 공동체 의식을 북돋울 수 있다는 점에서 독서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2012 독서의 해' 프로그램으로 선정된 서울시 성북구에서 실시된 대중독서운동인 '원 북, 성북' 독서운동의 사례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대중독서운동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 후, 성북구의 '원 북, 성북' 독서운동의 배경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사례분석을 통해 성북구의 대중독서운동인 '원 북, 성북' 독서운동의 내용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요소들을 분석 제시함으로써 지역단위의 대중독서운동에 대한 이해 증진에 일조하고자 한다.

자치분권의 시작, 성북마을아카이브 (The Beginning of Decentralization: Seongbuk Village Archive)

  • 강성봉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37-243
    • /
    • 2022
  • 성북마을아카이브는 성북구청과 성북문화원이 협력하여 지역의 고유성과 특수성을 담고자 구축한 마을아카이브이다. 공동체의 기록물을 보존하는 공동체 아카이브이자, 원천자료의 디지털화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가는 디지털 아카이브이다. 민·관 거버넌스로 연차적·단계별 추진을 거쳐 관리시스템과 홈페이지를 구축하였다. 성북마을아카이브의 시스템은 고도화된 마을기록 표준분류체계를 바탕으로 자료축적과 개별 기록물 간의 연결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었다. 성북문화원은 이를 바탕으로 기록물을 온·오프라인으로 연계하면서 융합문화콘텐츠를 생산하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기록물의 보존뿐 아니라 콘텐츠 생산 및 활용을 위해 홈페이지에 보여지는 항목 구성을 다양화했다. 성북의 역사문화자원을 어떻게 하면 이용자들에게 그 생성 및 존재를 맥락과 함께 보여줄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 끝에 만든 구조이다. 또한 다채로운 큐레이션과 주민기록단의 활동을 통해 보다 풍부한 아카이브 플랫폼을 구축하였다.

우리가족 한마당-성북지회

  • 대한제과협회
    • 베이커리
    • /
    • 2호통권319호
    • /
    • pp.132-133
    • /
    • 1995
  • 성북 지회의 독특한 친목의 힘은 지역별 이사 제도에서 나온다. 이 제도를 통해 친목을 강화하고 회원의 의견을 수렴해 지회 발전을 위한 거울로 삼고 있다.

  • PDF

성북천 복원을 위한 근린형 개발 및 평지조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Neighborhood-type Development and Flat Open Spaces for the Seongbukcheon Restoration)

  • 유정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752-3757
    • /
    • 2011
  • 본 논문은 서울시 성북천 복원 계획과 관련하여 '근린형 생태하천복원'을 목적으로 인근 주민들의 공동체적 교류와 편의를 제공하는 근린형 하천복원을 제안하기 위하여 '근린형 개발'과 '평지 조성'이라는 두 개의 계획 전략을 구상하였으며, '근린형 개발' 측면에서는 성북천 일대의 주변 가로들의 특징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차별화된 접근을 시도하였으며, '평지 조성' 측면에서는 성북천 일대의 평지형 공개공지 조성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기존의 성북천 복원 계획상에 평지 조성 방안을 제안한다.

북유럽 스타일의 성북동 겨울 이야기

  • 권희란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199호
    • /
    • pp.15-19
    • /
    • 2006
  • 해외를 자주 다니며 각국의 풍물과 문화를 많이 접한다는 김현우 씨 부부. 천장이 높고 바닥이 깊은 스타일의 주택을 선호하는 그들의 취향이 밴, ‘성북동 하우스’에 대한 애정은 각별하다. 아무리 많은 비용이 들더라도 ‘꿈의 집’으로 삼았던 이상을 반드시 실현하고야 말겠다는 부부의 의지가 대단하다.

  • PDF

성인병 뉴스 제301호

  • 한국만성질환관리협회
    • 월간성인병
    • /
    • 301호
    • /
    • pp.1-22
    • /
    • 2006
  • 서울 성북구 보건소 황원숙 소장/보건복지부 장관에 유시민 의원/허리근육 많을수록“척추건강하다”/‘삶의 질 향상, 인간 중심 살기 좋은 성북’구현/인간성장호르몬 미FDA에 허가 신청/녹십자, 미국과 공동 함암제 임상시험/노인층의 건강증진을 위한 대책 방안/운동.흡연.절주.식이 등 4가지 조절하면 조기사망이나 질병의 60%는 예방 가능/

  • PDF

성락원(명승 제35호) 주변지역 필지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 성북동 문화재 주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Lots of Change of Seongnagwon(no.35) Area - Focused on Cultural Heritage Area in Sungbook-dong -)

  • 이원호;이세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82-91
    • /
    • 2013
  • 본 연구는 서울시 성북구 성북동을 대상으로 근대 이후 문화재와 주변 경관 변화과정 및 원인을 사회 문화적인 측면에서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62년부터 2010년까지 사용한 폐쇄지적도를 이용하여 필지를 분석하고, 문헌자료를 참고하여 연구하였다. 시대별 변화과정 확인이 가능한 성락원, 마포최사영고택, 서울선잠단지, 서울한양도성을 위주로 변화과정을 추적하였으며, 문화재의 소경관(素景觀)을 검토하고 필지 변화와 함께 경관변천을 분석하였다. 성락원은 1954년에 송석정과 연못이 조성된 모습을 소경관이라 볼 수 있으며, 마포최사영고택은 2003년 이후 성북동으로 이전 복원한 것, 서울선잠단지는 1960년대 개발로 현재의 터만 남게 된 모습을, 서울한양도성은 숙종30년에 석성으로 개축한 것을 각 문화재의 소경관으로 정의하였다. 성락원은 제도적 요인에 의해 변화가 생겼고, 마포최사영고택과 주변 경관은 사회경제적 요인에 의해 변화가 생겼으며, 서울 선잠단지와 그 주변은 사회경제적 제도적 요인에 의해, 서울한양도성과 그 주변은 기술적 제도적 요인에 의해 변화가 생겼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성북동의 문화재와 그 주변경관은 대체로 제도적 요인과 사회경제적 요인에 의해 변화가 생기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근대 이후 서울의 도시계획이 성북동에도 영향을 미쳤으리라 예상되며, 자본주의 경제체제 확립이 그 배경이 된 것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문화자원으로서의 잠재적 가치를 인식한 바람직한 경관변화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휴먼라이브러리에 관한 연구- 서울시 성북구의 휴먼라이브러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uman Library: The Case of Human Library in Seongbuk-Gu, Seoul)

  • 조찬식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9-28
    • /
    • 2014
  • 새로운 형태의 도서관으로 휴먼라이브러리는 도서나 인쇄매체가 아닌 사람이 정보자료가 되어 이용자와 직접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도서관서비스의 개념이다. 휴먼라이브러리는 '사람책(휴먼북)'을 통하여 정보를 교환하기 때문에 기존의 도서관서비스와는 다른 특성을 내포하게 되며 새로운 도서관 형태로서의 의의를 지니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 성북구에서 실시된 휴먼라이브러리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휴먼라이브러리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성북구의 휴먼라이브러리의 배경을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2012년과 2013년에 진행된 성북구의 휴먼라이브러리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내용과 실태 및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분석 제시함으로써 휴먼라이브러리에 관한 이해 증진에 일조하고자 한다.

필지 변화를 통해 본 근대 이후 문화재 주변의 경관변화에 관한 연구 - 성북동 문화재 주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Landscape Change of Cultural Heritages from Subdivision and Amalgamation of lots Since the Modern Age -focused on Cultural Heritages in Seongbuk-dong-)

  • 이원호;이세미;신현실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95-96
    • /
    • 2013
  • 본 연구는 근대이후 서울시 성북동의 문화재와 주변 경관 변화과정과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시대별 폐쇄지적도를 이용한 필지 분석과 문헌자료를 참고하여 연구하였다. 경관은 대체로 제도적 요인과 사회경제적 요인에 의해 변화가 생기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근대 이후 서울의 도시계획이 성북동에도 영향을 미쳤으리라 예상되며, 자본주의 경제체제 확립이 그 배경이 된 것이라 판단된다.

  • PDF

신라 전기 적석목곽분의 출현과 경주 월성북고분군의 묘제 전개 (The Emergence of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 and the Changing Nature of Tombs at the Wolseong North Burial Ground of Gyeongju in the Early Silla Phase)

  • 최병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3호
    • /
    • pp.154-201
    • /
    • 2016
  • 고대국가 신라가 성립하고 발전한 신라 조기와 전기에 경주 월성북고분군은 경주지역의 중심고분군이었을 뿐만 아니라 신라 전체의 중앙의 중심고분군으로 기능하였다. 경주 월성북고분군은 신라 고분문화 변동의 진원이었으며, 따라서 신라 고분문화 전개과정의 이해는 월성북고분군에서 조영된 고분과 묘제들에 대한 실상의 파악이 그 출발점이다. 이글은 월성북고분군을 비롯하여 경주지역에서 전개된 신라 전기 고분문화의 전개과정을 살피려는 작업의 시작으로 작성되었다. 사로국 후기부터 목곽묘가 축조되어 경주지역의 중심고분군이 된 월성북고분군에서는 신라 조기 석재충전목곽묘의 발생에 이어 신라 전기에는 적석목곽분이 출현하여 그 중심 묘제가 되었다. 적석목곽분은 매장주체부인 목곽, 목곽 주위의 사방적석에 더해 목곽의 뚜껑 위에 가해진 상부적석과 호석으로 보호된 고총 봉토가 묘광 내 목곽과 사방적석, 그 위의 저봉토로 이루어진 석재충전목곽묘와 차별화 된 것이다. 신라 전기 월성북고분군에서는 적석목곽분이 지상적석식과 상부적석식의 두 유형으로 나뉘어 전개되었으며, 신라 조기 이래의 석재충전목곽묘와 점토충전목곽묘, 토광묘도 공존하였고, 신라 전기에 새로 발생한 수혈식석곽분도 축조되었다. 그러나 그 중 고총으로 조영된 것은 적석목곽분 뿐이었으며, 묘제들 사이에는 그 외 고분의 입지, 묘곽 형식의 분포, 구조 각부의 축조기법과 규모에서도 차등이 있었다. 월성북고분군에서는 신라 조기부터 진행된 묘제 사이의 위계화가 신라 전기에는 한층 더 강화되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