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Lots of Change of Seongnagwon(no.35) Area - Focused on Cultural Heritage Area in Sungbook-dong -

성락원(명승 제35호) 주변지역 필지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 성북동 문화재 주변을 중심으로 -

  • Lee, Won-H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Lee, Se-Mi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이원호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 이세미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analysis the landscape change and cause of scenic sites and surrounding environment is located in the Urban Residential Area since modern. The study was carried out using of field observations, literature review, cadaster map analysis from 1962 to 2010, and survey. It trace about Seongnagwon, Mapo Choi Sa-Young's old house, Seoul Seonjamdanji, Seoul Hanyang castle and those can be process of change per period. Also, it examine to original view of cultural assets and analysis about lots alteration with landscape alteration. Seongnagwon has original view which constructed the Songseokjeong and pond in 1954. Mapo Choi Sa-Young's old house has original view that move to Sungbook-dong and restore an old house. Seoul Seonjamdanji has it define original view that remained ruins by 1960's development. Seoul Hanyang castle has original view that stone fortress. Seongnagwon's landscape was changed by institutional factors. Mapo Choi Sa-Young house's landscape was changed by society economic factors. Seoul Seonjamdanji was changed by society economic and institutional factors. Seoul Hanyang castle was changed by technical and institutional factors. Generally cultural heritage of Sungbook-dong was changed by institutional and society economic factors. It is guessed that Seoul urban planning influenced Sungbook-dong development. The establishment of capitalistic economy system was backgrounds to it. Therefore, it expect to realized desirable landscape alteration that recognized potential value as culture resources.

본 연구는 서울시 성북구 성북동을 대상으로 근대 이후 문화재와 주변 경관 변화과정 및 원인을 사회 문화적인 측면에서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62년부터 2010년까지 사용한 폐쇄지적도를 이용하여 필지를 분석하고, 문헌자료를 참고하여 연구하였다. 시대별 변화과정 확인이 가능한 성락원, 마포최사영고택, 서울선잠단지, 서울한양도성을 위주로 변화과정을 추적하였으며, 문화재의 소경관(素景觀)을 검토하고 필지 변화와 함께 경관변천을 분석하였다. 성락원은 1954년에 송석정과 연못이 조성된 모습을 소경관이라 볼 수 있으며, 마포최사영고택은 2003년 이후 성북동으로 이전 복원한 것, 서울선잠단지는 1960년대 개발로 현재의 터만 남게 된 모습을, 서울한양도성은 숙종30년에 석성으로 개축한 것을 각 문화재의 소경관으로 정의하였다. 성락원은 제도적 요인에 의해 변화가 생겼고, 마포최사영고택과 주변 경관은 사회경제적 요인에 의해 변화가 생겼으며, 서울 선잠단지와 그 주변은 사회경제적 제도적 요인에 의해, 서울한양도성과 그 주변은 기술적 제도적 요인에 의해 변화가 생겼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성북동의 문화재와 그 주변경관은 대체로 제도적 요인과 사회경제적 요인에 의해 변화가 생기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근대 이후 서울의 도시계획이 성북동에도 영향을 미쳤으리라 예상되며, 자본주의 경제체제 확립이 그 배경이 된 것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문화자원으로서의 잠재적 가치를 인식한 바람직한 경관변화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정욱(1999). 갈 곳 모르는 비둘기의 고장/성북동. 도시문제. 34(372): 127-133.
  2. 김대중, 조제모(2010). 일제강점기 대구 북성로의 필지 변화 양상.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6(4): 211-220.
  3. 김인정, 김형우(2009). 기존 단독주택지의 저층단위주거를 위한 주거형식의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계획계. 29(1): 205-208.
  4. 김정식, 전봉희(2007). 대형필지를 통해 본 1908년 서울의 도시구조 변화.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계획계. 27(1): 541-544.
  5. 백선영(2012). 한옥 멸실의 유형형태학적 해석 -서울 한옥주거지의 1970년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성북동 관광안내도. 경도오부․북한산성도부. 성북구청 문화체육과.
  7. 성북구청(2012). 지적도.
  8. 손세관, 하재명, 양우현, 한기정(1996). 가로체계 및 필지조직을 중심으로 한 서울의 도시조직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1(3): 21-36.
  9. 손정목(1996). 서울, 격동의 50년과 나의 증언(상). 국토정보. 175: 100-110.
  10. 송지영, 심지혜(2011). 성북동 잊혀져 가는 우리동네 옛이야기를 찾아서 3. 성북구청 문화체육과.
  11. 안정연(2008). 서울 종로3가 도시조직 변화과정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연웅, 이원호(2013). 성락원 정원의 소경관 설정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춘계학술논문발표회. pp. 79-83.
  13. 조준범, 최찬환(2003). 필지 분합을 통해 본 서울 북촌 도시조직의 변화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19(2): 125-132.
  14. 폐쇄지적도 등본. 서울특별시 성북구청.
  15. 한재수(2007). 일제 강점기 조선시대 강원도 읍치의 중심 원주와 강원감영일대 도시구조와 역사경관변화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3(12): 179-188.
  16. 황기원(2011). 경관의 해석 그 아름다움의 앎. 서울대학교 출판부.
  17. 황철수(2010). 미시적 공간단위 자료를 활용한 토지이용변화 탐색. 국토지리학회지. 44(2): 229-241.
  18. 다음지도. http://map.daum.net/
  19. 문화재청 홈페이지. www.cha.go.kr
  20. 서울특별시 한국토지정보시스템. klis.seoul.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