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당공간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3초

조명원리를 기반으로 한 성당조도의 적정수준 적용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ppropriate level of illuminance to the Cathedral based on lighting principles)

  • 반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685-696
    • /
    • 2017
  • 성당의 공간이미지를 조성함에 있어, 시각을 통해 심성을 변화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빛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공간의 깊이는 빛에 의한 음영에 의해 만들어진다. 미사와 같은 종교적 행사가 행해지는 장소에 있어서 음영에 의한 깊이의 변화와 위계설정은 집중도와 신비로움 또는 성스러움의 분위기를 확보하는 데에 중요한 계획조건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빛이 가진 종교적 의미와 인간 감성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당의 예배공간 조명계획에 대한 요소 중 '조도'를 그 중요요소로 보았다. 조도는 시각적 환경조성에서 미묘한 공간구성상의 차이를 통해 대상과 공간의 형태, 명료함을 부여함으로써 표현된다. 조명을 통해 공간분위기를 적정한 수준에서 관리하게 되고, 공간의 존재를 확인함에 조도의 역할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관련 기준을 종합 분석하여 조도의 기준과 범위를 설정하고, 현대적인 디자인 적용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는 80년대 이후 서울 강남지역에 건립된 성당들을 대상으로 조도와 관련된 요소들을 분석하고 각 성당의 전례공간과 회중석의 조도를 측정하여 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적정수준의 적용여부를 검토확인하고 이를 추후 계획지침으로 활용하도록 제안하고자 하였다.

전례공간에서의 빛요소 적용에 대한 계획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Plan of Light Elements in Liturgy Space)

  • 반상철;김기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521-536
    • /
    • 2016
  • 천주교의 경우 예배와 기도가 이루어지는 교회건물의 중심은 전례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전례공간의 조성은 참례자의 감성에 영향을 주고, 이 감성은 믿음과 연결되기 때문에 전례공간에서 감성에 대한 고려는 매우 중요한 계획요소가 된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감성요소 중 시각을 통해 심성을 변화시키는 데에 가장 중요한 조건을 '빛'이라고 보고, 신심을 불러일으키는 전례공간을 형성하는 데에 빛의 역할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전례공간의 전례상 의미와 중요성을 이해하고, 공간적 위상과 역할을 파악하였고, 전례공간에서의 빛의 기능적 감성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빛의 종류와 특성, 빛의 역할과 조건 등과 감성의 대상으로서의 빛에 대해 자료를 분석 정리하였다. 그리고 전례공간에서의 빛의 사용사례의 분석을 통해 그 효과와 적절성 및 적용의 조건 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성당의 사회적 역할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고, 빛의 디자인적 역할 강화와 함께 성당공간의 활용도 제고에 따른 인공조명의 연출적용이 필요하게 됨을 확인하게 되었다. 또한 연구자료의 분석을 통해 적정조도의 기준을 제안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종합하여 전례공간에의 빛요소 적용에 대한 계획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전민동 성당의 음향 특성에 관한 모의 실험 및 측정 결과 비교 (A Comparison between Predicted and Measured Acoustic Characteristics of Jeonmin Catholic Church)

  • 정철호;권영일;신성환;이정권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3권 1호
    • /
    • pp.241-244
    • /
    • 2004
  • 전민동 성당은 얕은 팔각뿔대 형상의 지붕을 가진 팔각기둥의 형태로 재설계되었다. 팔각기둥의 형상은 마주보는 4쌍의 벽들로 인하여 공간에서 정상파가 발생하기 쉽고, 지붕 또한 둥근 형태로 음향 초점이 발생할 수 있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전민동 성당에 대하여 여러 가지 음향 인자들을 예측하였고, 예측치와 측정치를 비교하였다. 사용된 음장해석 프로그램은 $CATT^{TM}$이고 예측 또는 측정된 음향인자는 RT, D50, C80 등이다. 건축물만의 특성과 전기음향설비가 포함된 음향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무지향성 스피커를 이용한 측정과 성당에 장착된 전기음향장치를 이용한 측정을 수행하였다. 공연장과 마찬가지로 성당의 신도석에서도 음이 고르게 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신도석에서의 음압분포를 예측과 측정을 통하여 비교하여 보았다.

  • PDF

천주교 부산교구 성당건축의 양식과 전례(典禮)공간 변화경향 연구(I) - 19세기 말에서 1962년 사이에 건립된 부산(釜山)교구 5개 주요 성당건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Style & Liturgical Space of Catholic Churches in Busan Diocese(I) - Focus on Five Catholic churches in Busan diocese constructed between the end of 19th century and 1962 -)

  • 권태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164-174
    • /
    • 2009
  • Since the end of 19th century, The form and inner space for the religious ceremony; liturgical space of Catholic churches in Busan diocese have been changed as various styles by several outer and inner factors. The changing of historical, social, and religious environment, such as Opening Harbor, Japanese Occupation, Korean War & Rehabilitation Period, and Vatican II are generally regarded as main outer factors, and the locality that lay behind the flux of those events is considered as the main inner factor. The former has usually operated as a momentum for showing general trend of Catholic church, while the latter has made local singularity expressed as unusual style and somewhat modified liturgical space compared with Its contemporary churches. In the context, this paper attempt to analyze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style and liturgical space of Catholic churches in Busan diocese focused on revealing local singularity with main five churches, Bumil Church, Samrangjin Church, Milyang Church, Jungang Church, and Dongrae Church, constructed between the end of 19th century and 1962.

평택지구 성당건축의 전례공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Catholic Church's Liturgical Space in Pyeongtaek)

  • 황용운;금요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27-35
    • /
    • 2005
  • Liturgical space is the most important in the spaces of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But Since 1980's, korea catholic church has concentrated on functionality, decoration and sensuous expression.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catholic liturgical space for reinforcing the present status of catholic church through Pyeongtaek district's parish in Diocese of Suwon. Although there are many compositional elements in catholic liturgical space, this study focused on the figures of church plane, the arrangement of nave's chair, the condition of sanctuary and the place of sacristy etc. Though there are many changes in composition elements of liturgical space by the 2nd Council of the Vatican, composition elements of site(shape, price, access road, area etc.) have an effect on liturgical space, too. But up to now, despite the necessity of the principles of liturgical space which are yet to be lacked.

한.중.일 초기 성당건축의 의장적 특성에 대한 비교연구 - 현존하는 초기 삼랑식 벽돌조 성당건축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Catholic Church in Korea, China and Japan - Focus on the basilican brick church in the early stage -)

  • 김정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67-75
    • /
    • 2012
  •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brick church architecture. The main subject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mmonness and difference betwee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brick church architecture in the early stage(1880-1920). In carrying this study into execution, I examined the architec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 works, and analysed the plan, the spacial composition, design elements, techniques and materials, etc.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The basic concept of composition of space is same in order to embody the Basilican space, but the inner elevation and detail of brick structure is different. Chinese churches are more close to Western basilican style church in the point of shape and plan, but in the point of inner elevation and decoration of church, Japanese churches are more close to Western style church. Korean churches are in the middle of its. There are different attitudes of naturalization of western church architecture in Korea, China and Japan.

  • PDF

현상설계경기 - 천주교 포이동 교회

  • 대한건축사협회
    • 건축사
    • /
    • 3호통권323호
    • /
    • pp.88-89
    • /
    • 1996
  • 현 포이동 성당은 가설건물로 지어져 있어 교우들의 신앙생활과 천교활동에 적지않은 어려움이 있었다. 천주교 서울대교구 포이동 교회는 이에 대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적절한 공간으로 새로이 조성할 목적으로 현상설계경기를 실시, 지난해 6월 최종 당선작을 확정, 발표하였다. 총 15개 사무소가 참여한 이번 설계경기의 최우수작에는 연미건축(손웅익)안이 선정되었다.

  • PDF

성당 실내공간에 대한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 분석 - 부산교구 6개 사례의 전례공간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Interior Space on Catholic Churches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 Focused on Liturgical Spaces of 6 Cases in Busan Parish -)

  • 조연주;남경화;신경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21-31
    • /
    • 2015
  • Liturgical space of Catholic churches should be equal conditions for everyone who wants to participate in the liturgy. However liturgical space is standardized for healthy adults without considering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This study intended to suggest the guidelines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Catholic churches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for all believers to equally participate in liturg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liturgical spaces in six Catholic churches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although the principle of universal design was not appropriately applied to all liturgical spaces of a Catholic church, there were cases where it was appropriately applied in part to each of the Catholic church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examples of exemplary installation by space,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materials that can be referenced and utilized when planning the liturgical spaces in the Catholic churches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Second, the obligations required by the building regulations were installed in six cases, but the application of the universal design was insufficient in other spaces. Therefore, more careful consideration for users is considered necessary during space planning. Third, the construction of Catholic churches should be planned, taking into account the liturgical law; for this purpose, the provision of the guidelines for Catholic architectural planning further than the guidelines for architecture by each diocese is necessary. At this time,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Catholic officials and the architects and designers with knowledge of Catholic doctrine is required.

신경망을 이용한 영상의 웨이블렛 특징공간과 감성공간의 매핑 (Mapping Wavelet Feature Space to KANSEI Space in Image Using Neural Networks)

  • 정윤경;조성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 (B)
    • /
    • pp.532-534
    • /
    • 2000
  • 복합적인 감성기반 영상 검색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감성속성으로 영상을 찾는 검색은 물론이고, 주어진 영상의 감성특성을 알아내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특성으로부터 감성을 매핑하는 신경망을 구축하고 다양한 실험으로 그 가능성을 보인다. 여기에서 영상특징으로 웨이블렛계수와 위치정보를 사용했고, 감성공간으로는 SD법으로부터 14개의 형용사쌍을 추출했다. 이 두 공간의 매핑에 사용된 신경망의 입력으로 영상에서 얻은 RGB 색상당 36개의 총 108개의 웨이블렛 개수를 사용했고, 출력은 14개의 감속속성당 7등급으로 총 98개로 구성했다. 총 6명이 영상을 보고 평가한 감성평가데이터중에서 2명이 각각 평가한 데이터로 신경망을 학습시키고 나머지 10개로 테스트한 경우는 90%이상의 인식률을 보였다. 4명이 각각 90개씩 평가한 데이터로 신경망을 학습시키고 나머지 10개로 테스트한 경우는 90%의 인식률을 보였다. 또한 공통된 감성을 신경망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 600개씩 2명으로부터 얻은 1200개의 데이터에 대해서 1000개를 학습시키고 200개를 테스트하고, 100개씩 4명으로부터 데이터에 대해서 360개를 학습시키고 40개를 테스트해 본 결과, 전자의 경우 오류율 8, 후자의 경우 0.7~0.8 범위였다.

  • PDF

구아리노 구아리니 건축에 나타난 기하학적 표현에 관한 연구 - 그의 산 로렌쪼 성당의 공간형태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Geometrical Expression Shown in the Architecture of Guarino Guarini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Spatial Form in Guarino Guarini's Church of San Lorenzo-)

  • 한명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95-102
    • /
    • 2005
  • Guarini's architectural contribution has simply focused on the dome structure that has been known to us; however, his geometric and spatial construction has been overlooked so far Through this study,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the dome structure was simply part of geometrical forms that Guarini wanted to express ultimately and it functioned as a geometrical element such as the network combined with the entire spatial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valuate Guarini's architectural thought by means of investigating the ultimate principles of spatial composition appeared in the late Baroque architectur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inciples of spatial composition and organized formal Idioms by Guarini's geometrical concepts. Besides, it has been assumed that such geometrical concepts by Guarini's mathematical proportion and his reiteration and change of diagrams could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Classical geometry in the Renaissance and Guarini. suggested a way to create a new space through more active and amusing application and transformation. In this aspect, Guarini's principles of geometric composition will be one of the role models that need to be seriously reconsidered in chaotic reality of modern archite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