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능 지수

Search Result 1,598,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Applicability of reliability indices for water distribution networks using system performance measurements (다중 성능지표를 활용한 상수관망시스템의 신뢰도 지수 적용성 평가)

  • Jeong, Gimoon;Kang, Doo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90-90
    • /
    • 2020
  • 상수관망시스템은 관할 지역 내 생활 및 공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사회기반시설물로써, 비상시에도 사용자의 용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안정적인 성능이 요구된다. 이러한 상수관망시스템의 용수공급능력은 비상시 용수공급가능량, 공급수압 등 여러 가지 수리해석 결과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시스템의 설계 및 운영 과정에서 다양한 성능들을 시간·공간적으로 모두 고려하는 것은 매우 복잡한 과정을 거치므로, 복합적인 용수공급 성능을 집약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신뢰도 지수들이 개발되었다. 여기서 신뢰도 지수들은 각각의 이론적 접근방법에 따라 시스템의 특정 성능에 다소 편중된 평가 결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상수관망시스템의 설계 및 운영 시, 목적과 특성에 맞는 적합한 신뢰도 지수를 선정하고, 적용하기 위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수관망시스템의 구조적 특성 및 핵심 성능에 따른 신뢰도 지수별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크에서 몇 가지 공급부하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수리해석 결과와 신뢰도 지수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다기준 분석기법을 통해 종합적인 시스템 핵심 성능에 대한 신뢰도 지수의 상관성을 분석함으로써, 시스템 전반에 대한 신뢰도 지수별 적용성을 함께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상수관망시스템의 설계 또는 기존 시스템의 보강 및 운영계획 수립 등을 위한 연구에서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DS/FH-CDMA Systems in Impulsive Noise and Wireless Radio Communication Channel Environment (임펄스 잡음과 무선통신로 채널 환경에서 DS/FH-CDMA 시스템의 성능 해석)

  • 김지웅;강희조;이권현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5A
    • /
    • pp.846-85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무선통신로 채널상에 존재하는 가우스 잡음을 포함한 협대역 A급 임펄스 잡음과 나카가미 페이딩 환경에서 하이브리드 DS/FH-CDMA MFSK 시스템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고, 성능 개선 기법으로 MRC 다이버시티 수신 기법과 부호화 기법을 동시에 채용함으로써 고려되어진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시켰다. 결과에 의하면 임펄스 지수가 강할수록 또한, 페이딩 지수가 작을수록 하이브리드 DS/FH-CDMA 시스템에서는 성능이 더욱 열화됨을 알 수 있었고, 성능 개선 기법으로 BCH 부호화 기법을 채용했을 경우 페이딩 지수가 증가할수록 성능개선의 폭이 큼을 알 수 있었다. 페이딩 지수가 작은 열악한 환경에서는 MRC 다이버시티 수신 기법을 채용하였을 경우 시스템 성능이 우수하였지만, 페이딩 영향이 감소할수록 BCH 부호화 기법을 채용하였을 경우 시스템 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레일리 페이딩 환경에서 각각의 성능개선 기법을 단독으로 채용하였을 경우, 음성서비스 품질($10^{-3}$)에 도달할 수 없지만, BCH 부호화 기법과 MRC 다이버시티를 동시에 채용함으로써 강한 임펄스 잡음 하에서도 24dB 이상에서 음성서비스 기준 오율을 만족하는 성능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었고, 페이딩 지수가( $m_{i}$=3) 이상에서는 강한 임펄스 잡음이 부가되어도 21dB에서 $10^{-3}$을 만족하고 28dB 이상에서는 데이터 서비스 기준($10^{-5}$) 오율을 만족하는 우수한 성능 개선 효과를 보임으로써 다이버시티 가지수와 부호화의 이득에 의한 에러 성능이 향상되었다.

  • PDF

Block Error Probability of NFSK Signals in a Impulse Noise and Nakagami Fading Channel (임펄스 잡음과 나카가미 페이딩 채널에서 NFSK 신호의 블럭 에러 성능)

  • 이양선;김지웅;강희조
    • Proceedings of the Korea Electromagnetic Engineer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311-315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임펄스 잡음과 나카가미 페이딩 채널에서 블록 에러 NFSK 시스템을 제안하고, 이의 성능을 구하였다. 블록 에러 확률을 구하는데 있어서 나카가미 채널 페이딩 속도(즉, slow fading, fast fading)를 고려하여 임펄스 잡음지수의 변화에 따른 성능을 구하였다. 블록 에러의 성능을 개선시키는 방안으로 다이버시티 기법과 에러정정 부호화 기법을 적용하여 다이버시티 수(L), 에러정정능력(M), 임펄스 잡음지수(A)를 함수로 하여 성능 개선이 커지고, 저속 페이딩 (임펄스 잡음지수 A=0.1, 1에서 3dB 개선)보다 고속 페이딩에서 (임펄스 잡음지수 A=0.1, 1에서 2~4dB 개선)의 성능개선 정도가 우수하였다. MRC 다이버시티 기법은 저속 페이딩에서 부호화 기법을 적용했을 때 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페이딩의 영향이 클 때 성능개선이 크게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ex for Ubiquitous Building Fire Safety System - Focused on Sprinkler System - (유비쿼터스 건물 화재안전시스템을 위한 성능지수 개발 -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중심으로 -)

  • Kim, Jong-Hoon;Roh, Sam-Kew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4a
    • /
    • pp.592-597
    • /
    • 2009
  • 실시간으로 건물의 소방시스템에 대한 관리를 위해서는 어느 부분에서 이상상태가 나타났다고 한다면, 그 부분에서 이상이 발생되었기 때문에 부분적, 그리고 전체적으로 화재안 전성능수준이 얼마나 하락되었는지를 나타 낼 수 있는 성능지수의 계산 체계가 필요하다. 이러한 성능지수의 체계는 정보를 받아보는 사람들이 시스템에서 발생된 이상이 전체적인 안전수준 하락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 것인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건물의 화재안전수준을 나타내는 효율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대역규모의 소방 관리에서도 활용도 높은 지수로 사용될 것이라 생각된다. 본 지수 산정체계는 U-건물 소방방화시설관리 운용시스템의 성능 효율지수 산정을 위한 시스템으로 개발되었다.

  • PDF

Error-Based Iterative Feedgack Tuning with Application to Optical Disk Drive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제어를 위한 에러기반 반복 피드백 게인 조절 방법에 관한 연구)

  • Seo, Dong-Hyeok;Kim, Hong-Rok;Jang, Si-Young;Suh, Il-H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7d
    • /
    • pp.2179-2181
    • /
    • 2004
  • Model-free Method들 중에 반복 피트백 조절 알고리즘(Iterative Feedback Tuning, IFT)는 특정한 성능지수를 정의하고, 이를 최소화하도록 제어기의 게인들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PID와 같은 고전적인 제어이론에 근거한 제어기 설계 과정과는 달리, IFT 알고리즘은 반복 실험을 통해 성능지수의 Gradient를 구하여 이로부터 필터 게인들 조정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수학적 증명과 실험적 실증을 통하여 IFT의 수렴성과 유용성이 보여짐에도 불구하고 IFT 알고리즘의 한계점은 단일 성능지수의 사용이라는데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단일 제어 목적을 위한 단일 성능지수의 사용이 아닌 복수의 제어 목적을 위한 복수의 성능지수의 사용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개의 성능지수를 가지는 IFT를 이용해서 위상 여유가 크고, 대역폭이 넓은 제어기를 설계하기 위해서 제어기 게인을 자동 조절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ODD에서 사용되는 플랜트에 적용한 모의실험을 통하여 그 유용성을 보였다.

  • PDF

The Job Assignment Method using the Performance Index in a Grid Computing Environment (그리드 컴퓨팅 환경에서 성능지수를 사용한 작업할당 기법)

  • Kim, Young-Gyun;Cho, Kum-Won;Song, Young-Duk;Na, Jeong-Su;Ko, Soon-Heum;Oh, Gil-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1505-1508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그리드 컴퓨팅 환경에서 연산자원의 성능지수를 사용한 작업할당 기법에 관해 연구하였다. 제안한 연산자원의 성능지수를 사용한 작업할당 기법은 작업을 할당하기 전에 작업을 할당하기 위한 연산자원(프로세서)의 성능지수를 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업할당을 수행한다. 연산자원의 성능지수를 사용한 작업 할당 기법은 동적으로 변화하는 그리드 컴퓨팅 환경에서 보다 더 효과적인 작업할당 방법이다. 성능지수를 고려한 작업할당 방법이 고려하지 않은 방법에 비해 3 차원 Euler 방정식을 이용한 CFD 연산 작업의 연산시간을 단축함을 $K{\ast}Grid$ 환경에서 실험으로 확인하였다.

  • PDF

Comparative Study on Active Control Algorithms through Weighting Functions (가중함수에 따른 능동제어 알고리듬의 비교 연구)

  • Min, Kyung-Won;Kim, Jin-Koo;Kim, Sung-Choon;Chung, Lan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4 no.2
    • /
    • pp.173-179
    • /
    • 2001
  • 성능지수는 제어 대상이 되는 구조물의 응답과 제어기의 성능에 관한 가중함수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중함수의 설계에 따라 성능지수가 변화되며 제어 효율이 달라진다. 본 논문에서는 최적 능동제어 알고리듬의 일종인 시간 영역에서의 성능지수를 고려한 LQR기법과 LQG기법 및 주파수 영역에서의 성능지수를 고려한 H₂기법에 대하여 동일한 가중함수를 적용하여 제어 성능인 제어율과 제어력을 비교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러나, LQG기법은 모든 상태 변수를 알아야 하는 LQR기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LQR기법과 동일 수준의 제어율과 제어력을 보이고 있고 출력 제어라는 장점을 고려하면 현실적인 기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구조물 응답과 제어기의 주파수 특성을 고려하여 주파수 필터의 가중함수를 설계하는 H₂기법을 분석하였다. H₂기법은 제어력을 저주파수 영역에 집중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구조물 응답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 PDF

Optimized Modulation Index Design and Receiving Data Performance Estimation of LEO Satellite TT&C System (저궤도 위성 TT&C 시스템에서 최적 변조지수 설계 및 수신성능 예측 방법)

  • Jang, Dae-Ik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8C no.3
    • /
    • pp.367-372
    • /
    • 2001
  • 지도제작, 해양생태감시, 기상관측, 및 우주환경감시 등의 분야에 이용되는 저궤도 위성을 관제(위성추적, 원격측정 및 명령)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최적의 PM 변조지수를 결정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수신 데이터의 성능을 평가한다. 이 저궤도 위성인 아리랑 위성은 한국에서는 첫 번째 저궤도 위성이며 1999년 12월 발사되어 현재 임무를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 아리랑 위성 관제시스템의 파라미터에 의해 위성링크를 설계하면, PB 원격측정 신호의 최적 변조지수는 Eb/No마진과 PFD마진의 교차점이 되며 1.92라디안으로 결정된다. 또한 위성의 통과시간에 따라 예측되는 BER은 RT모드에서 최고의 성능을 나타애고, RT+RNG모드에서 최악의 성능을 나타내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순서를 위성의 통과시간에 따른 BER 성능 순서인 RT, PB, RT+RNG모드의 순서로 결정함으로써 수신성능을 높일 수 있다.

  • PDF

The Preliminary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Cut-and-Cover Tunnels through the Case Studies (적용사례 분석을 통한 개착식 구조물의 내진성능 예비평가)

  • Park, Beom-Ho;Tian, Minnu;Lee, Tae-Hyung;Kim, Kee-Dong;Lim, Nam-Hyo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653-656
    • /
    • 2010
  • 개착식 구조물의 내진성능 예비평가는 설계자료나 현장조사를 토대로 지진도 그룹, 취약도 지수, 영향도 지수를 산정하여 내진성능 상세평가의 시행여부를 판단하는 근거가 되어왔다. 내진성능 예비평가를 적용했던 사례를 분석한 결과 평가항목 산정 시 근거가 미약하고, 내진성능 상세평가 대상으로 분류되지 않은 그룹에 대해 구조적 내진성능 확보가 불확실하여 내진성능 예비평가를 개정하였다. 개정한 내진성능 예비평가는 지진도 그룹, 취약도 지수, 영향도 지수를 적용하는 기존의 틀은 유지하면서 평가항목을 산정하는 근거를 명확하게 하였으며, 내진성능 상세평가를 실시하지 않는 그룹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구조적 내진성능 확보여부를 검토할 수 있는 전단변형각을 도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정한 내진성능 예비평가를 기존 사례에 적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기존의 적용 사례와 비교 분석하였다.

  • PDF

항로표지 배치 효율화를 위한 가시거리에 기반한 인지 지수 모델링

  • Hwang, Tae-Hyeon;Gong, In-Yeong;Kim, Yeo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377-37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항로표지(aids to navigation) 배치를 효율화하기 위한 정량적인 성능 지수(performance index)를 제시한다. 제안된 성능 지수는 항로표지에 대한 항해자(navigator)의 시각적 인식에 기반하였다. 인지 성능 지수는 시각적 인식의 구성요소로서 관찰자, 환경, 그리고 광원에 해당하는 선박 특성, 해상환경, 그리고 항로표지 특성을 반영하여 모델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항로표지를 배치할 수 있는 수치적 지표를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향후 항로배치에 대한 현실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안된 모델링의 유효성을 검증할 계획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