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능 디자인

Search Result 56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품질경쟁력 평가모형에서 제품 디자인의 인과관계와 디자인 경영에 관한 실증적 분석 : 한국 제조업 부문을 중심으로

  • 임채숙;임양택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4.06a
    • /
    • pp.170-213
    • /
    • 2004
  • 생산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의 경영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이제 디자인 경영(design management)의 시대가 도래하였다 즉, 제반 기능의 활동이 독립적이고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기존 경영방식(즉, 제품 개발 $\rightarrow$ 제품 디자인 $\rightarrow$ 제조 $\rightarrow$ 마케팅 $\rightarrow$ 판매)과는 달리, 디자인 경영은 디자인을 중심으로 제반 기능간의 통합과 조정을 이룬다. 이 결과, 디자인 경영은 조직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키며 소비자의 추상적인 욕구가 구체적으로 상품에 표현되도록 노력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디자인 경영은 기업 이미지 창조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소비자 중심의 경영은 과거 제품의 판매(sales)지향적이던 기업 활동을 소비자와의 관계(relationship)지향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 목적은 제품 디자인을 품질경쟁력의 결정요인으로서 포함시켜 품질경쟁력의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품질경쟁력의 결정요인 및 상관관계와 품질함수를 추정함으로써 제품 디자인 및 디자인 경영의 기능적 역할을 규명하고 디자인 경쟁력 수준을 평가 및 측정할 수 있는 모형을 정립함과 동시에 이를 제고할 수 있는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로써, 본 연구는 신상품의 개발과정에서 어떻게 제품 디자인이 연구개발, 제조, 마아케팅, 판매 등의 제반 기능들과 상호 작용하며 이들 기능들의 통합과 조정을 추구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디자인 경영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와 같은 연구목적과 분석목표를 위하여, 한국 제조업 부문의 400개 표본기업에 대하여 소정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추출된 측정변수들을 기초로 품질경쟁력의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품질경쟁력 지수를 도출하여 산업부문별 및 제품유형별로 비교하였으며, 품질함수를 추정하였다. 전술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디자인 경영이론의 기초를 제공하기 위한 시도로서 제품 디자인의 파급효과와 인과관계에 대한 가설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품질경쟁력의 결정요인으로서 주요 제품들의 기능성, 기본 성능, 제품성과의 기술적 성취도, 제품 수명(내구성), 신뢰성, 핵심 기술력, 사용 편의성, 서비스 편의성, 생산 용이성, 제품 디자인의 우수한 정도가 a=0.01 수준 하에서 유의적으로 추정되었다. 이들 변수들 중에서 품질경쟁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측정변수는 제품의 기본 성능, 수명(내구성), 신뢰성, 제품 디자인의 순서로 추정되었다. 이것은 한국 제조업이 아직 산업 디자인이 품질경쟁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성숙단계에 이르지 못하였음을 의미한다. (2) 제품 디자인에게 영향을 끼치는 유의적인 변수는 연구개발력, 연구개발투자 수준, 혁신활동 수준(5S, TPM, 6Sigma 운동, QC 등)이며, 제품 디자인은 우선 품질경쟁력을 높여 간접적으로 고객만족과 고객 충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상기의 분석결과로부터,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신상품 개발과 혁신을 위한 포괄적인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품질 경쟁력의 주요 결정요인(제품의 기본성능, 신뢰성, 수명(내구성) 및 제품 디자인)과 연계하여 추진해야 할 것이다. 둘째, 기업은 디자인 경영 마인드 제고와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을, 대학은 디자인 현장 업무를 통하여 창의력 증진과 기획 및 마케팅 능력 교육을, 정부는 디자인 기술개발 및 디자인 교육지원의 강화를 통하여 각각 디자인 경쟁력$\rightarrow$품질경쟁력을 제고시켜야 할 것이다.

  • PDF

Research on the Effect of Car Body Design on CFD Aerodynamics Performance (자동차 차체 형태 디자인이 공기역학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Kim, Jeong Mi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6 no.1
    • /
    • pp.501-506
    • /
    • 2020
  • In this experimental study, we have analyzed aerodynamic performance of the four representative types of passenger car vehicles, different types of side window angles, different types of engine hood angles, and the angle difference of the roof line in order to comprehensively analyze how the aerodynamic performance varies with different shape of vehicle.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the rear window falling at aa certain angle lowered aerodynamic performance, angle difference of the lowered roof line did not affect aerodynamic performance, and the back window line falling at certain angles had no visible effect on aerodynamic performance. Back window line leaning towards front side may help enhance styling aesthetics, but aerodynamic performance decreased. In case of rear diffuser installation, aerodynamic performance also decreased.

A Study on High-Level Pipeline Synthesis System: Data Path Synthesis and Control Synthesis (상위수준 파이프라인 합성시스템에 관한 연구: 데이트 경로 및 콘트롤 합성)

  • Kim, Jong-T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y Convergence
    • /
    • v.3 no.4
    • /
    • pp.299-306
    • /
    • 2000
  • 이 논문은 파이프라인 함성을 위한 상위수준 데이터 경로 하성과 콘트롤 합성의 통합에 관한 연구이다. 현재 대부분의 상위수준 합성 방법은 콘트롤 영역의 영향을 무시하는데 보다 나은 설계를 위하여 데이터 경로디자인 영역과 콘트롤 디자인 영역을 통합하여 탐색하는 파이프라인 상위수준함성 도구를 구현했다. 이 도구는 비용 제한 하에서 최고 성능의 파이프라인을 합성하는 비용재한합성과 성능 제한 하에서 최서 비용의 파이프라인을 합성하는 성능 제한합성의 두 가지 방식을 제공한다.

  • PDF

Asymmetric Half-Bridge Resonant Converter with High Power Density and EMI Reduction Capability (높은 전력 밀도와 EMI 저감 성능을 갖는 비대칭 하프브릿지 공진형 컨버터)

  • Park, Hwa-Pyeong;Kim, Mina;Jung, Jee-H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8.11a
    • /
    • pp.48-50
    • /
    • 2018
  • 전력 변환 장치에서 전자기파 장해를 막기위한 EMI 필터는 큰 부피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줄이는 것이 전력 변환장치의 제작 비용뿐 아니라 크기도 줄일 수 있어 전력 변환밀도를 높이는 유용한 방법이 된다. 기존에는 전력 변환 장치측면에서 스프레드 스팩트럼 및 소프트 스위칭을 구현하는 방법, 능동형 EMI 필터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어 왔다. 하지만 공진형 컨버터의 경우 동작주파수를 흔드는 스프레드 스펙트럼을 사용하면 전압이득이 크게 영향을 받아 출력 전압의 제어 성능이 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공진형 컨버터에서 스프레드 스펙트럼을 구현하여 EMI 노이즈를 줄이는 동시에 원하는 출력 전압 제어 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공진 탱크와 스프레드 스펙트럼 기법의 디자인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디자인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적으로 출력 전압제어 성능과 EMI 감소분을 보이고자 한다.

  • PDF

체계적인 접근방법을 통한 양손공구의 인간공학적 디자인

  • 유재우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7.04a
    • /
    • pp.75-82
    • /
    • 1997
  •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인간이 사용하는 많은 공구들은 전동화되어 사용의 간편함과 아울러 작 업성능의 획기적인 변화를 이루었다. 그러나 이는 반대로 누적외상병이나 VWF(Viberation induced Whiter Finger)와 같은 새로운 문제점과 함께 중량의 증가로 인체에 더 많은 부하를 안겨 주는 부작용도 초래하고 있다. 현대의 많은 수공구들은 그 중량과 반발력을 지탱하기 위하여 대 부분 양손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느며, 제품의 성능의 향상에만 그 초점이 맞추어져 왔고 사용자의 안전과 편이성은 상대적으로 무시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양손공구의 인 간공학적 설계를 위한 체계적인 접근방식을 제시함으로써 산업디자인에 활용됨과 함께 유사한 제 품의 디자인에도 응용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고자 한다.

  • PDF

The Influence of Emotional Engineering Factors in Product Design on Brand Preference and Loyalty -Focusing on Smartphones- (제품디자인의 감성공학 요소가 브랜드 선호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 Lee, Junsang;Park, Junh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5 no.3
    • /
    • pp.412-418
    • /
    • 2021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motional engineering factors on brand preference and loyalty in smartphone product design. The emotional engineering factor was divided into color, performance, usability, value, and reliabil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preference and loyalty was empirically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motional engineering factor in the smartphone product desig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brand preference, and the factors having the greatest influence are the performance and color factors. In smartphone product design, the emotional engineering factor has a static effect on loyalty, and the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are reliability and performance factors. The higher the brand preference in product design, the greater the affect on loyalty. It is necessary to approach product design that fits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by identifying the influential factors among the product design emotional engineering factors.

Effective Performance Monitoring and Reporting Management for Cluster Systems (클러스터 시스템의 효과적인 성능 모니터링과 레포팅)

  • Kim, Ki;Choi, Eun-M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33-136
    • /
    • 2003
  • 인터넷 서비스 서버들의 가용성과 확장성, 부하분산의 특성들을 가지는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성능모니터링과 레포팅을 통한 관리 방법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클러스터 시스템으로부터 성능 정보를 모으는 방법과 관리에 필요한 기능 및 디자인 설계를 설명하고 구현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 사이트에서 수집한 정보의 보고서를 보여준다 이의 결과에 따라서 대상 클러스터시스템의 정보와 성능의 최적성을 분석하며, 장기간의 정책을 수립하는 판단 근거를 기술한다.

  • PDF

Energy-Efficient and Parameterized Designs for Fast Fourier Transform on FPGAs (FPGA에서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구현하기 위한 에너지 효율적이고 변수화 된 설계)

  • Jang Ju-Wook;Han Woo-Jin;Choi Seon-Il;Govindu Gokul;Prasanna Viktor K.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3A no.2 s.99
    • /
    • pp.171-176
    • /
    • 2006
  • In this paper, we develop energy efficient designs for the Fast Fourier Transform (FFT) on FPGAs. Architectures for FFT on FPGAs are designed by investigating and applying techniques for minimizing the energy dissipation. Architectural parmeters such as degrees of vertical and horizontal parallelism are identified and a design choices. We determine design trade-offs using high-level performance estimation to obtain energy-efficient designs. We implemented a set storage types as parameters, on Xilinx Vertex-II FPGA to verify the estimates. Our designs dissipate 57% to 78% less energy than the optimized designs from the Xilinx library. In terms of a comprehensive metric such as EAT (Energy-Area-Time), out designs offer performance improvements of 3-13x over the Xilinx designs.

Task-Based Embedded Software for DTV-Ready (디지털 티브이-레디를 위한 태스크 기반의 내장형 소프트웨어)

  • 전승훈;이종인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07c
    • /
    • pp.2657-266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DTV-Ready에서 사용되고 있는 슈퍼 루프 형태의 내장형 소프트웨어 구조를 개선하여 태스크 기반의 내장형 소프트웨어 구조를 제안하였다. Gomaa 의 DARTS(Design Approach for Real-Time Systems) 방법을 사용하여 DTV-Ready 시스템을 분석하고 태스크 기반의 시스템으로 디자인하였다. 태스크간의 의존성을 최소화하여 내장형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성을 높였으며, 실시간성을 고려한 디자인과 실시간 운영체제를 적용하여 내장형 시스템의 실시간 성능 향상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디자인은 직접 시스템에 적용하여 구현하고 테스트 결과를 통하여 기존 시스템의 성능과 비교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