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능규격

검색결과 991건 처리시간 0.025초

IMT-2000 표준의 터보코드를 위한 SOVA 복호기 최적화 설계 (An parameter optimization of SOVA decoder for the IMT-2000 complied Turbo code)

  • 김주민;정덕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5B호
    • /
    • pp.592-598
    • /
    • 2001
  • IMT-2000에서는 이미 터보코드가 채널코딩 기법으로 제안되어 있으며 특별히 3GPP 규격에서는 제한길이 4인 1/3 터보코드가 채택되어 있다. 기존의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터보 코드의 성능에 대한 분석이 많이 제시되어 왔으나, 3GPP 규격의 터보 복호를 위한 SOVA 복호기의 성능 파라미터 추출과 그에 따른 성능 분석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구조의 3GPP SOVA 복호기를 설계하기 위해서 외부정보의 스케일링과 신뢰도 갱신길이 라는 두 가지 파라미터에 따른 SOVA 복호기의 성능을 분석하고 최적의 파라미터 값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파라미터의 최적화를 위하여 C++를 이용한 모의실험 결과, 3GPP 규격의 (13,15) 1/3 코드에서 스케일링 값은 1/2로 신뢰도 갱신길이는 10으로 최적화 되었다.

  • PDF

HEMP 방호시설의 SE 평가방법의 비교 (Comparison of SE Evaluation Methods for HEMP Shelters)

  • 정연춘;이종경;권석태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1197-1200
    • /
    • 2014
  • HEMP 방호시설의 전자파 차폐 성능을 평가하는데 사용하고자 하는 두 시험 규격, IEEE Std. 299 및 MIL-STD-188-125-1은 동일한 방호시설임에도 불구하고, 각기 다른 시험 결과를 제공한다. 특히, 10 kHz~20 MHz 대역의 저주파 자기장 영역에서는 IEEE Std. 299 규격에 의한 시험 결과가 MIL-STD-188-125-1 규격에 비해 20~30 dB 정도 더 낮게 평가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두 규격에서 규정하고 있는 측정 조건이 상이함에 기인하며, 따라서 측정거리의 단축을 위해 IEEE Std. 299 규격을 적용할 경우에는 기존의 MIL-STD-188-125-1 규격에 근거하여 작성된 전자파 차폐 성능 요구는 재조정되어야 한다.

저전압 전원용 서지보호장치 철도 규격의 개선방안 (Improvement Plans of Railway standards for Surge Protective Devices used in Low-voltage Power circuits)

  • 정용철;김언석;이재호;조봉관;김재철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90-97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철도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저압 전원용 서지보호장치(surge protective devices) 규칙의 성능평가 항목 및 성능개선 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철도시스템 환경과 관련된 전자기장해(electromagnetic interference) 현상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국제규격인 IEC 및 IEEE와 평가항목 및 펑가방법 등을 비교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국내 철도관련 규격은 국제규격과 비교하여 비교하여 발견하였다. 개선방안으로 서지 보호소자 단위의 시험은 삭제하고, 규격 종류는 전원용과 신호용으로 분리하며, 서지 파형은 국제적으로 인정된 것을 사용하도록 제안하였다. 철도용 저압 서지보호장치에 대해 서지제한전압 측정 및 서지 수명시험을 국제규격에 따라 시험한 결과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

ILSAC GF-2급 기솔린 엔지유의 성능

  • 문우식;이종훈;권완섭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1996년도 제24회 춘계학술대회
    • /
    • pp.121-125
    • /
    • 1996
  • 자동차의 환경규제, 고성증화에 맞추어 새로이 규격이 제정된 ILSAC GF-2 가솔린엔지유는 SEQ VI와 SEQ VIA를 통한 연비시험 결과 ILSAC GF-1엔지유에 비해서 연비성능이 향상되었으며, phosphorous함량 규제에 따라 ZnDDP의 첨가량을 줄였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산화방지제와 마모방지제를 투입함으로써 규격엔진시험을 통과하였고 실파를 이용한 시험에서는 ILSAC GF-1에 비해서 우수한 마모방지성능과 산화안정성을 보였다.

  • PDF

촬영 및 투시용 X선 장치의 기본안전과 필수 성능에 관한 개별 기준규격의 동향 (The Tendency of Medical Electrical Equipment - IEC 60601-2-54: Particular Requirements for the Basic Safety and Essential Performance of X-ray Equipment for Radiography and Radioscopy)

  • 노영훈;김정민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8권4호
    • /
    • pp.331-336
    • /
    • 2015
  •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의료기기의 전기 기계적 안전에 관한 공통기준규격"이 IEC 60601-1 [3판] 따라 개정되었고 IEC-60601-1의 개별규격인 IEC 60601-2-54 또한 촬영 및 투시용 X선 장치의 기본 안전과 필수 성능에 관한 개별 기준규격으로 고시화 될 예정이다. 따라서 개별 규격의 도입에 앞서 주요 요건을 소개하고자 이 기술보고서를 작성하였다. IEC 60601-2-54의 목적은 촬영 및 투시를 위한 의료용 전기기기(이하 ME 기기) 및 ME 시스템에 요구되는 기본 안전과 필수 성능 요구사항을 확보하려는 것이다. IEC 60601-2-54는 방사선 촬영 및 투시장치의 X선 고전압장치, X선 기계장치, 방사선 방어 등에 관한 내용이다. 의료기기의 전기 기계적 안전에 관한 공통기준규격, 의료기기의 전자파 안전에 관한 공통기준규격, 의료기기의 방사선안전에 관한 보조기준 규격이 본 규격에 적용되었다. IEC-60601-2-54가 고시화될 경우 촬영 및 투시용 X선 장치의 기본 안전과 필수 성능에 관한 이해를 넓히고 국내 의료기기 산업의 국제화에 일조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DVB-C2 채널 부복호 시뮬레이터를 통한 오류정정 부호 성능 검증 (Performance Evaluation of Error Correcting Code through DVB-C2 Channel Encode/Decode Simulator)

  • 정준영;최동준;허남호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1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72-274
    • /
    • 2011
  • 최근 들어 케이블 방송망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방송,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D(Video on Demand), 영상전화, 이동전화, 무선 랜 로밍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출현과 향후 도입될 새로운 융합형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수용을 위해 케이블 망의 고도화에 대한 요구가 제기되었다. 특히 유럽을 중심으로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C2 규격의 개발이 진행되었다. DVB-C2 규격에서는 기존의 게이블 전송 규격인 DVB-C에 대해 30% 이상의 전송 효율을 높이고자 새로운 변조 방식과 채널 오류정정 부호 방식을 도입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본 논문에서는 DVB-C2 규격에서 도입된 채널 오류정정 부호인 BCH(Bose, Chaudhuri, and Hocquenghem) 부호와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부호의 연접 방식에 대한 성능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개발된 시뮬레이터의 소개와 이를 통한 시험결과를 제시한다.

  • PDF

전자식 전력량개의 전자기적합성(EMG) 고찰 (Electromagnetic Compatability of Electric Watt-Hour Meter)

  • 김언석;정병하;김경환;정중일;김재철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력기술부문
    • /
    • pp.343-345
    • /
    • 2002
  • 본 논문은 전자식 전럭량계의 전자기적합(EMC)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전력량계 관련 EMC 요인을 IEC 61000-4 시리즈 규격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규격별 EMC 성능평가 항목에 대해서도 비교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국내기준은 국제규격보다 미흡함을 발견하였다. 이들을 바탕으로 국내 규격의 EMC 성능평가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전자식 전력량계 EMC 개선방안을 연구하는데 기초 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 PDF

전력기술.정보 -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설치 현장 출력 측정 방법

  • 김응상
    • 전기기술인
    • /
    • 통권334호
    • /
    • pp.30-35
    • /
    • 2010
  • 본 고에서는 현장에 설치된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출력 측정 방법을 제시 하였다. 태양광발전시스템은 햇빛이라는 자연조건에 따라서 출력이 수시로 변동하기 때문에 태양전지 제조자가 제시하는 규격은 제작시에 태양전지를 표준 시험조건(즉, STC, Air Mass 1.5, 일사량 1000[$W/m^2$], 온도 $25^{\circ}C$기준)에서 시험한 성능 규격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적용현장에 설치된 태양전지는 인위적으로 표준 시험조건을 만들어 줄 수 없기 때문에 출력을 측정하면 제조자가 제시한 성능 규격이 제대로 나오는지 여부가 관심사다. 그렇기 때문에 설치현장에서 자연 조건에서 측정된 출력에다 태양전지 제작사에서 제시한 온도 및 일사량 특성곡선에서 추출된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보정 출력을 산정해서 보정 출력을 토대로 제조사에서 제시한 규격에 부합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수요관리용 3상 EES시스템의 성능시험 및 고찰 (Performance Test and Consideration of Three Phase EES System for Demand Side Management)

  • 이태승;이동주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8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 /
    • pp.486-48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3상 EES(전기에너지저장시스템: Electrical Energy Storage) 시스템의 성능시험에 관한 내용을 소개 및 분석하고, 시험데이터를 통한 시험방법의 적절성에 관한 의견을 제시한다. EES 시스템의 단체표준 규격을 검토하기 전에, 전력변환장치의 단체표준규격 (SPS-SGSF-025-4-1972 : 2016)과 EES 시스템의 일반사항 및 시험방법을 제시하는 단체표준 규격 (SGSF-025-5-1, SGSF-025-5-2)에 각각 명시된 형식시험 항목을 상호 비교 및 분석하고, EES 시스템의 형식시험 항목 중 특정 항목은 시험을 수행하여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고 규격내의 평가기준 및 시험방법의 적절성 여부를 고찰하였다.

  • PDF

에폭시 도막 철근의 기계적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Performance Tests of Epoxy-coated Reinforcing Bars : Mechanical Properties)

  • 최완철;김채훈;신영수;홍기섭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73-179
    • /
    • 1994
  • 국내 사용을 위하여 시험 생산된 에폭시 도막 철근에 대하여 운반, 가공시에 요구되는 기계적인 성능을 중심으로 품질을 시험 평가하고 시공 지침을 제안하기 위하여 기초적 자료를 축적하고자 하였다. 시험결과 에폭시 도막의 부착성능과 내마모성은 규격의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내굴곡성능도 규격의 기준은 만족시키고 있으나 도막이 두꺼울수록 내굴곡성이 약해지며 특히, 가공시 굽힙 각도는 $120^{\circ}$를 초과하지 않아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저온에서 굴곡시 상당수의 도막 균열을 나타내어 저온에서의 가공에 대하여 제한이 확인되었다. 충격에 대한 저항성능은 규격은 만족되고 있으나 다소 약함을 보이고 있어 가공 운반시 주의가 요구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에서 시험 생산된 에폭시 도막의 성능 시험 결과, 규격에서 요구되는 기계적인 성능을 대체로 만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