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섭취경험

Search Result 29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Dietary habits and Health Risk Behaviors of the Adolescents who Experienced Part-Time Job: Based on the 13th (2017) Korea Youth Risk Behavior Online Survey (아르바이트를 경험한 청소년의 식습관 및 건강위험행위에 대한 융합연구: 제 13차(2017)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 조사를 바탕으로)

  • Ha, Young-Su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5
    • /
    • pp.407-415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etary habits and health risk behaviors of adolescents who experienced part-time job. For this study raw data from the 13th Youth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2017) was examined. Dietary habits and health risk behaviors for 62,823 adolesc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part-time job.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24.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which the complex sample design was applied. The odds ratio of no fruit intake in adolescents who experienced part-time job compared to adolescents who have not experienced a part-time job was 1.20 (CI: 1.10-1.31). The odds ratio of fastfood intake in adolescents who experienced part-time job compared to adolescents who have not experienced a part-time job was 1.28 (CI: 1.19-1.38). The odds ratio of present smoking in adolescents who experienced part-time job compared to adolescents who have not experienced a part-time job was 3.48 (CI: 3.17-3.84). The odds ratio of present drinking was 3.36 (CI: 3.14-3.96). The odds ratio of high caffeine intake was 1.11 (CI: 1.04-1.19). The odds ratio of high caffeine intake was 2.29 (CI: 2.06-2.55). In developing health educa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it is necessary to include dietary habits and health risk behavior according to part-time experience.

A Nutrition Survey of Korean Adolescents Living in Los Angeles, California (미국 캘리포니아주 나성에 거주하는 한국 중.고등학생들의 영양실태조사)

  • Kim, Seong-Ai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15 no.1
    • /
    • pp.54-61
    • /
    • 1982
  • 나성의 한국 이주민의 자녀로서 사춘기에 문화권을 바꾸는 경험을 갖은 57인의 중고등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본 조사는 대상자의 1 ) 일반적 특성의 파악 2 ) 식습관 및 기호조사, 식품 섭취 빈도 조사 3 ) 영양지식 및 그들 어머니의 영양지식 조사 4 ) 영양실태 조사를 통하여 식생활의 변화 및 문제점을 찾아보았다. 영양실태 조사는 24-hour diet recall 방식에 의하여 기본 4군, meal pattern 및 영양소를 추산하여 한국과 미국의 RDA와 비교하였다. 위의 실태조사 결과를 요약해 보면 ; 1) 한국전통음식인 밥과 김치는 저녁식사시 모두 섭취하고 있으나 아침, 점심은 미국식단의 사용율이 높았다. 기호도 조사에 의하면 전반적으로 미국음식보다 한국음식을 더 좋아한다고 하였다. 2) 여학생은 아침식사, 남학생은 저녁식사가 불규칙하였다. 3) 여학생은 풍부한 과일의 섭취가, 남학생은 우유의 섭취가 한국에서의 식습관에 비해 그들의 건강을 위해 좋다고 하였다. 4) 영양지식의 근원은 어머니로부터가 가장 높았다. 여학생들은 철분의 근원식품에 관한 지식이 남학생보다 부족했으며, 균형된 식단의 선택 접수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았다. 5) 기호조사 결과에 의하면 가장 싫어하는 식품은 간, 칠면조, 돼지고기, 고형 요구르트, 아보카도, 올리브 등이었고, 한번도 먹어보지 않은 식품은 부로콜리, 우설, 양고기, 망고, 탈지분유 등이었다. 이들 어머니의 기호조사 결과는 자녀들과 흡사하였으나 어머니들은 미국식품 중 한번도 시도해 보지 않은 식품의 수가 그들 자녀보다 많았다. 6) 24시간 diet recall 방법의 분석에 의하면 결핍된 영양소는 열량, 철분, 비타민 A였다. 단백질 섭취량의 증가는 현저하였으나, 낮은 열량의 섭취는 이주민의 자녀의 불규칙한 식습관의 일면과 동시에 우리나라 남학생들의 조리방법의 미숙한 면을 보여주었다.

  • PDF

효모가수분해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 정은영;정경희;김미자;김영옥;장은재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4.05a
    • /
    • pp.438-438
    • /
    • 2004
  • 최근 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식품을 통해 단순하게 영양섭취나 기호성을 만족하기보다는 식품섭취를 통해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식품을 선호하게 되었다. 현재까지의 우리나라의 기능성 식품시장은 영세할 뿐 아니라 개발된 기능성 식품의 과학적인 연구들도 또한 미비한 실정이다. Saccharomyces cerevisiea 가수 분해물은 여러 가지 영양성분이 풍부하여 자율신경 조절기능 향상으로 인한 항스트레스와 항피로 및 면역기능 강화 효과가 있으며 불안증 환자와 월경전증후군을 경험한 여성의 증상을 경감시킨다고 알려져 있다.(중략)

  • PDF

Evaluation of Foodservice Quality Performance of Middle Schools in Busan (부산 일부지역 중학생 급식에 대한 성과평가)

  • Iyu Eun-Soon;Lee Kyung-A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21 no.6 s.90
    • /
    • pp.829-837
    • /
    • 2005
  • 본 연구는 중학교 급식의 품질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학교급식을 시행하고 있는 부산지역 중학교 중에서 8개 학교를 대상으로 학교급식 서비스 품질의 급식 성과와 잔식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학교 급식서비스의 품질 특성의 급식성과에 대한 결과, 전체 평균은 2.93점이고 공지된 식단의 정확한 배식>음식의 영양>음식의 맛>식단의 다양한 순으로 급식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건의사항의 반영, 불만처리의 신속함, 반납장소의 청결 항목은 급식성과가 2.50점 이하로 전체 평균에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급식경험 기간이 낮은 학생들이 급식경험 기간이 높은 학생들에 비해 급식서비스 품질특성 다섯 영역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0.01)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그리고 매일 아침식사를 하는 학생들이 결식을 하는 학생들에 비해 식단의 다양함, 배식시간의 정확성, 공지된 식단의 정확한 배식에서 유의적(p <0.01)으로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2. 학생들의 급식되는 음식에 대한 섭취정도에 대한결과에서,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김치(>0.01)와 국 및 찌개(<0.05)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섭취율을 보였다. 또한 매일 아침식사를 하는 학생들이 아침식사횟수가 적은 학생들 보다 모든 식단에서 유의적으로 섭취율이 높게 나타났다. 3. 급식된 음식을 남기는 이유에 대한 결과에서, 밥의 경우에는 양이 너무 많아서, 국 및 찌개와 반찬의 경우에는 음식 맛이 없어서, 김치의 경우에는 자주 배식되어서가 주된 이유로 나타났다. 4. 학생들이 개선되기를 바라는 항목은 위생적인 음식> 식기류의 청결> 반찬 맛 순으로 높은 개선 요구도를 나타내었다 아침식사 횟수가 주 2회 이하인 학생들이 다른 학생들에 비해 #반찬수의 증가(<0.01)#,#음식양의 증가(<0.05)#,#급식종사자의 친절함(<0.05)#과 #공지된 식단의 정확한 배식(<0.05)#에 대해 유의적으로 높은 급식개선 요구도를 나타냈다. 5. 급식경험 기간과 급식성과 점수간의 상관관계에서, 급식성과는 급식경험 기간과 음(-)의 상관관계를, 아침식사횟수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서비스 품질의 특성 영역은 각 영역들에 대한 급식성과 점수가 높을수록 다른 영역의 급식성과 점수가 높은 유의적인(p <0.01)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균형된 영양공급이 다른 어느 시기보다 더 중요한 우리의 청소년들의 학교급식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먼저, 학교급식에 대한 식단 작성 시 학생들이 학교에서 제공되기 원하는 식단에 대한 의견을 받고 그 의견에 대한 결과를 게시하여 학생들이 제공되기 원하는 식단을 급식 시 제공하여 학생들이 식단선택에 동참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또한 영양사는 학급의 반대표와의 정기적인 모임을 가짐으로서 학생들의 불만사항 및 개선 요구사항에대해 서로 의견을 교환하여 설문지조사가 아닌 직접적인 대화를 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겠다. 특히 아침식사의 결식 빈도가 높았고 이는 급식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뿐 아니라 학교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섭취정도에도 영향을 주고 있으므로 학생들에게 학부모와 전담교사 및 학교영양사는 학생들에게 이상적인 아침식사에 대한 교육은 물론이고 아침식사를 실천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에 대해 함께 연구해야 하겠다. 정부차원에서 학교급식에 아침식사 프로그램을 도입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아침을 결식하는 학생이 학교에서 수업시작 하기 전에 간단한 식사를 할 수 있는 정책 도입이 필요하다

Study on the Perception and Intake of Kimchi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Area (광주지역 중학생의 김치에 대한 인식과 섭취실태에 관한 연구)

  • Gwon, Su-A;Jung, Lan-Hee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9 no.4
    • /
    • pp.133-14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intake of Kimchi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area and analyzed the difference of Kimchi intake according to Kimchi perception level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middle school students develop proper dietary behavior.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area and 374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Kimchi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4.10 for first grade and 3.92 for third grad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between first grade and third grade. Second, the preference of Kimchi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grad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irst grade and third grade at 'Kimchi preference' (p<0.001) and 'Reasons for not eating Kimchi' (p<0.05) respectively. 81.7% in the first graders and 59.8% in the third graders, and the first graders more preferred Kimchi than the third graders. Third, the pattern of Kimchi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grad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irst grade and third grade at 'Frequency of Kimchi intake' (p<0.05) and 'Amount of Kimchi taken at one time' (p<0.05) respectively. Fourth, the education of Kimchi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grad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irst grade and third grade at 'My attitude toward Kimchi recommendation' (p<0.05), 'Necessity of Kimchi intake education' (p<0.05), 'Whether you think it is good food for Kimchi information' (p<0.001), 'Preferred method for the Kimchi education' (p<0.001) and 'Methods for increasing Kimchi intake' (p<0.05) respectively. Fifth, the preference of Kimchi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the degree of Kimchi recogni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t 'Kimchi preference' (p<0.001), 'Reasons for liking Kimchi' (p<0.05) and 'Reasons for disliking Kimchi' (p<0.05) respectively. The pattern of Kimchi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the degree of Kimchi recogni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t 'Frequency of Kimchi intake' (p<0.001) and 'Amount of Kimchi taken at one time'(p<0.05) respectively. The the education of Kimchi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the degree of Kimchi recogni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t 'My attitude toward Kimchi recommendation' (p<0.05), 'The experience of making Kimchi' (p<0.05), 'Necessity of Kimchi intake education' (p<0.001) and 'Whether you think it is good food for Kimchi information' (p<0.001) respectively.

The Effects of Perceived Stress on Dietary Habits and Oral Health Behaviors in Korean Adolescents (우리나라 청소년의 스트레스 인지수준이 식습관 및 구강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

  • Lee, Min-Young;Choi, Eun-Mi;Chung, Won-Gyun;Son, Jung-Hui;Chang, Sei-Jin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3 no.4
    • /
    • pp.440-44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perceived stress on dietary habits and oral health behaviors in Korean adolescents. Data were from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KYRBS) in 2011. A total of 74,186 adolescents were surveyed using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elucidate the effects of perceived stress on dietary habits and oral health behaviors.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and p<0.05 were considered significant. We found that adolescents with higher stress were more likely to increase the risk of adverse dietary habits (low consumption of fruits, vegetables and milk, high consumption of carbonated soft drinks, fast food and cookie) compared to those with lower stres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oral health behaviors, adolescents with higher stress were less likely to practice oral health behaviors such as brushing teeth after snack consumption and brushing teeth before sleep compared to those with lower stress. This result indicates that adolescents' perceived stress might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negative dietary habits and oral health behavior.

소그룹단위의 단기간 영양교육프로그램이 당뇨병환자의 식사요법 실천에 미치는 영향

  • 윤진숙;이혜진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91-1092
    • /
    • 2003
  • 당뇨병은 발병한 후에는 혈당조절을 위한 식사요법 실천이 평생에 걸쳐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하는 질환이므로 식사요법에 대한 영양교육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실습을 포함하는 소그룹 단위의 영양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식사요법 실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3년 4월부터 7월까지 보건소에서 여성 당뇨병 환자 13명을 대상으로 혈당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당질식품의 적정섭취와 균형있고 규칙적인 식사를 강조한 쉬운 식사요법 교실의 형태로 연속 4주간, 2시간의 교육형태로 그룹인원을 5명 이하로 하여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식사요법 장애 인자를 파악하였으며 교육 전후에 식사 섭취량, 혈당 허리둘레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57.85 $\pm$ 9.55세, 유병 기간 6.38 $\pm$ 2.9년이었다 식사요법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환자는 15.4%이며 당뇨병 가족력을 가지고 있는 환자는 53.8%이었다. 당뇨병 발견 동기는 증상 .있었던 경우가 23.1%, 종합 진단시 발견된 경우 15.4%, 타 질환 치료시 알게된 경우 61.5%이었다. 저혈당 증세 및 대처방법을 알고 있는 환자는 53.8%이었다. 식사요법시 장애인자를 항목별로 질문하였을 때 가장 큰 장애는 주위에서 더 먹으라고 권유하는 것, 식사요법은 나에게 큰짐이 된다는 생각, 식사요법보다 일상생활에서 더 중요한 것이 많음이 53.8%로 답하였다. 교육 전후의 식사 섭취 량을 비교하였을 때 교육 전 에너지 섭취량은 1579.6 $\pm$ 355.8㎉ 교육 후 1505 $\pm$ 425.3㎉로서 70㎉정도 감소하였다. 교육 시 처방한 열량의 98.3%를 섭취하고 있었다. 당질섭취는 교육 전 257$\pm$60.6g 교육 후 214.8$\pm$56.1g로 감소하였고 단백질, 지질의 섭취는 교육전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총열량에 대한 3대 영양소의 섭취비율은 교육 전 57:23:20에서 교육 후 51:28:21로 당질비율은 감소하고 지질이나 단백질 섭취비율이 증가하였다. 교육전 후 식품군 별 섭취 량을 식품교환단위 수로 비교하였을 때 곡류군 섭취는 교육 전 5.87 $\pm$ 2.51에서 교육 후 5.38 $\pm$ 1.71로 교육후 당질 식품 섭취량이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교육 후 식품선택에서의 큰 변화는 과일류 중 토마토 섭취 비율 증가로 교육 전에는 총 과일 섭취량의 19.87%에서 교육 후에는 56.32%로 증가했다. 혈당은 교육후 42.8mg/㎗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허리둘레는 교육 전 평균 83.8 $\pm$ 5.75에서 교육 후 82.33 $\pm$ 5.89cm로 약 1.5cm가량 감소하였다. 따라서 당질 식품 적정 섭취에 대한 실습 위주의 단기간 영양교육은 당뇨병 관리에 유익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for Low Sodium Consumption among Housewives Living in Certain Regions of Seoul (서울시 일부 지역 주부의 나트륨 섭취 감소를 위한 사회인지이론 기반의 영양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및 평가)

  • Baek, Jae Yeon;Yi, Hae-Yeon;Hwang, Ji-Yun;Kim, Kir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6 no.10
    • /
    • pp.1243-1252
    • /
    • 2017
  • There are limited programs for low sodium intake based on the nutrition education model for housewives who cook family mea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odel-based nutrition programs for low sodium intake among housewives residing in Seoul by incorporating social cognitive theory. A questionnaire survey before and after education was conducted on 140 housewives who participated in the 'Low Sodium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delivered by a district public health center for 12 weeks from November 2015 to January 2016. The contents of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nd program evaluation items were based on the action plans for 'Less Sodium Healthy Practice'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results show that program participants showed a lower preference for sodium, higher selection of low sodium dishes from restaurants or cafeteria if available, and increased awareness of the need of restaurants to serve low sodium dishes compared to before. In terms of behavioral changes,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checking nutrition labeling and selection of foods with low sodium, use of low sodium food products, use of natural seasonings to reduce salt intake, and consumption of fast foods and processed foods. On the other hand, requesting less salty meals when ordering and introducing restaurants or cafeterias with healthy and low sodium menus turned out to be difficult to put into practice. In conclusion,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sodium intake reduction for housewives was effective in increasing knowledge, environment recognition, and behaviors related to low sodium intake but not behaviors related to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Therefore, further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and practices for sodium intake reduction should be comprehensively implemented with improvement of physical environments for low sodium intake.

Asthma Worsening factors of Adolescent Asthma Patients in Korea -Associated with Intake of Antioxidant Food- (청소년 천식 환자의 천식 악화의 영향 요인 -항산화식이 섭취와 관련하여-)

  • Park, In Sook;Yun, Hee Ky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6
    • /
    • pp.297-30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antioxidant food intake pattern and asthma control status in Korean adolesc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1,578 patients diagnosed with asthma among the participants in the 11th online health behavior survey.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for sociodemographic variables, known risk factors for asthma worsening, and all variables which were related to food intake pattern. For final decisi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stimate the associations between antioxidant food intake and asthma worsening. Male gender and smoking experiences were associated with asthma exacerbation. Low intake of antioxidant foods statu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asthma exacerbations. Antioxidant food intake and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is important for adolescent asthma patients. It is highly needed to recommend taking fruits and vegetables properly.

Relationship between intake of energy and protein and permanent teeth caries (에너지 및 단백질 섭취와 영구치 우식과의 관련성)

  • Kim, Han-N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
    • v.16 no.6
    • /
    • pp.943-953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intake of energy, calcium and protein and permanent teeth caries in Korean children. Methods: Research data were obtained from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and 1,274 Korean children within 9 to 12 years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study. The DMFT index, nutrition factors including total energy and protein intake, and degree of calcium intake were identified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to assess the difference of distribution in socioeconomic status, oral health behavior and nutrition factors according to sex. Multilevel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DMFT index and the related variables.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energy, protein and Ca intake were confirmed according to the sex. Among 10 year-old children who intake total energy less than the recommended had few dental caries (p=0.058, ${\beta}=-0.411$). In addition, 11-year-old children having protein intake more than the recommended experienced dental caries (p=0.02, ${\beta}=0.588$).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take of energy and protein and dental caries among Korean children. However, further researches is needed to confirm between intake of energy and protein as a related fa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