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섬유센서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32초

헤테로 구조 나노재료의 가스감응 특성

  • 박재영;최선우;정성현;김상섭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4.1-34.1
    • /
    • 2010
  •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저차원 구조 나노재료를 화학센서에 응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매우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까지 발표된 많은 연구는 단일 산화물 반도성 재료를 이용한 센서 특성 측정 및 센싱특성 향상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비해 2 가지 이상의 물질로 구성되는 이종접합(heterojuction) 나노재료는 단일 재료에 비해 화학센서로서의 특성을 향상시킬 여러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이종접합 구조의 가스감응특성에 대한 기본 모델 제시는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SnO_2$-ZnO 등의 코아-쉘 구조 나노섬유 및 ZnO-$SnO_2$ 이종접합 구조 나노섬유 나노재료를 제조하였다. 이러한 나노재료의 가스 감응특성을 조사하고 그 결과들을 바탕으로 이종접합 나노재료의 가스 감응특성에 대한 메커니즘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전기방사에 의한 $TiO_2-SiO_2$ 나노섬유 제조 (Preparation of electrospun $TiO_2-SiO_2$ nanofibers)

  • 김철기;;김학용;이덕래;박수진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72-373
    • /
    • 2003
  • 전기방사는 고분자 용액에 전기장을 이용하여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유용한 방법이다. 전기방사에 의한 섬유 제조에 영향을 주는 공정인자들로는 고분자의 성질과 분자량 그리고 용액의 농도와 점도, 용매, 전기장의 세기, 콜렉터와의 거리에 의존한다[1-3]. TiO$_2$-SiO$_2$ 나노구조는 광학성, 열안정설, 내화학성 그리고 낮은열팽창성이 우수하여 반투명 코팅재, 광학센서, 광학유리, 보강재, 촉매재 등 광범위하게 응용될 수 있다. (중략)

  • PDF

미세유동을 이용한 공액 고분자 센서 섬유 제작 (Microfluidic Fabrication of Conjugated Polymer Sensor Fibers)

  • 유임성;송시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8권10호
    • /
    • pp.853-858
    • /
    • 2014
  • 본 연구는 미세유동칩을 이용하여 당의 일종인 cyclodextrine(CD)과 알루미늄 이온 검출이 가능한 polydiacetylene(PDA)이 집적된 미세섬유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PDA는 공액 고분자의 일종으로 외부 자극에 대해 blue-to-red 색 전이 및 형광이 발현되며 원료가 되는 PCDA의 head group에 따라 자극에 대한 감도가 달라지는 매력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온간 교차결합으로 야기되는 하이드로젤 형성 메커니즘과 미세유동칩 내 3차원 유체집속효과를 활용하여 PCDA-EDEA 기반의 diacetylene(DA) 단량체가 집적된 센서 섬유를 제작하였다. 섬유 내 DA 단량체는 UV에 의해 파란색의 PDA로 상 전이가 일어나며 CD나 알루미늄 이온에 반응하여 붉은색으로의 색 전이 및 붉은 형광이 발현되는 특성을 보였다. 또한 형광세기는 CD와 금속 이온의 농도에 따라 변화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미세섬유가 건조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관찰되었다.

그래핀/탄소나노섬유 코팅된 3D 프린팅 고분자 구조를 이용한 신축성 스트레인 센서 (Stretchable Strain Sensors Using 3D Printed Polymer Structures Coated with Graphene/Carbon Nanofiber Hybrids)

  • 나승찬;이현종;임태경;윤정민;석지원
    • Composites Research
    • /
    • 제35권4호
    • /
    • pp.283-287
    • /
    • 2022
  • 신축성 스트레인 센서는 웨어러블 기기나 건강 모니터링과 같은 미래 응용 분야에 적용하기 위하여 개발되고 있는데, 센서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안정성과 반복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팅을 통해 키리가미 패턴이 있는 고분자 구조를 제작하여 센서의 신축성과 히스테리시스를 개선하였다. 견고한 전도성 네트워크를 구현하기 위하여 그래핀과 탄소나노섬유를 혼합한 하이브리드 소재를 고분자 구조에 코팅하였다. 제작한 신축성 스트레인 센서는 32%의 스트레인에 대해 게이지팩터가 36을 보였으며, 1%부터 30%까지의 다양한 스트레인에 대해서 안정적인 저항 변화 응답을 나타냈다.

기공구조 조절 및 Pt촉매 증착을 이용한 다공성 탄소나노섬유의 수소가스 감지특성 (Hydrogen Sensing Property of Porous Carbon Nanofibers by Controlling Pore Structure and Depositing Pt Catalyst)

  • 강석창;임지선;이영석
    • 공업화학
    • /
    • 제22권3호
    • /
    • pp.243-248
    • /
    • 2011
  • 상온에서 작동하는 고감도 수소 가스센서를 제조하기 위하여 Pt 촉매가 증착된 다공성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나노섬유는 polyacrylonitrile을 탄소전구체로 하여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제조되었고,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를 위하여 열처리 공정을 거쳤다. 다음으로, 탄소나노섬유에 화학적 활성화 공정을 통하여 가스 흡착을 위한 높은 비표면적과 기공구조를 부여하였다. Pt는 수소가스에 대한 촉매효과를 위하여 스퍼터링법을 통해 다공성 탄소나노섬유에 증착되었다. 탄소나노섬유는 화학적 활성화 공정을 통해 비표면적이 $2093m^2/g$으로 100배 이상 증가하였고, 약 60 vol%의 미세기공이 부여되었다. Pt는 다공성 탄소나노섬유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얇고 고르게 증착되었다. 제조된 가스센서의 반응속도와 민감도는 비표면적, 미세기공율의 증가와 Pt 증착에 의하여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수소가스에 대한 탄소나노섬유 상온에서 감응특성은 화학적 활성화와 Pt의 촉매효과에 의하여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Sheath-core 구조 전도사 섬유센서의 Home-Textile 적용을 위한 전기·물리학적 특성연구 (Electr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Sheath-core Type Conductive Textile Sensor with Home-Textile)

  • 조광년;정현미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45-152
    • /
    • 2014
  • The usage of textile-based sensors has increased due to their many advantages (compared to IT sensors) when applied to body assessment and comfort. Textile-based sensors have different detecting factors such as pressure, voltage, current and capacitance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extile-based sensor fabrics with sheath-core type conductive yarns were produc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apacitance changes and applied load was investigated. The physical and electric properties of textile-based sensor fabrics were also investigated under various laminating conditions. A textile based pressure sensor that uses a sheath-core conductive yarn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pressure sensor in the textile-based sensor (the physical structure of the reaction characteristic of the capacitance) is important for the stability of the initial value of the initial capacitance value outside the characteristic of the textile structural environment. In addition, a textile based sensor is displaced relative to the initial value of the capacitance change according to pressure changes in the capacitance value of the sensor due to the fineness of the high risk of noise generation. 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the fabric through the sensor characteristic of the pressure sensor via the noise generating element of laminating (temperature, humidity, and static electricity) to cut off the voltage output element to improve the data reliability could be secured.

전도성 섬유 기반의 압력센서를 이용한 보행패턴 분석 시스템 (Gait pattern analysis system using pressure sensor based on conductive fiber)

  • 정화영;왕창원;나예지;호종갑;민세동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369-1371
    • /
    • 2015
  • 본 논문은 전도성섬유 압력센서로 보행신호를 획득하고 걷기, 서기, 앉기, 계단오르기, 계단내려오기 등 총 5가지 행동을 인식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시스템은 Capacitive pressure 센서, CDC(Capacitive to Digital Converter), 마이크로프로세서, 블루투스 모듈, 스마트 폰으로 구성되고 획득한 데이터 패턴을 분류한 결과 평균 99.5%의 높은 인식률을 보였다. 각 발당 한 개의 채널만을 이용해 행동패턴을 인지함으로써 적은 수의 채널로도 행동인지의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정 안전용 결로센서에 대한 연구

  • 강영구;조명호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1998년도 추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79-282
    • /
    • 1998
  • 습도가 안전의 요소로서 비중이 증가하고 습도의 이상검출을 필요로 하는 위험물의 저장, 식품, 섬유, 전자 등의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인간의 안락함과 정상상태의 습도를 안전하게 유지하고 이상발생에 대해 검출할 수 있는 환경적인 안전에 사용될 수 있는 습도센서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습도센서의 영역에서 결로센서의 중요성은 금수성 위험 물질의 저장 및 관리, 화학 plant 공정제어 등 안전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중략)

  • PDF

폴리 4급암모늄형 습도센서의 개발에 관한 연구

  • 강영구;조명호;류상은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1998년도 추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83-287
    • /
    • 1998
  • 안전방제 센서용으로서 습도제어는 급속한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정밀, 전자, 식품, 섬유, 농업 등의 산업발전에도 상호 연관되어 습도센서는 생산관리, 품질향상, 빌딩 공조제어를 위해서 개발이 절대로 요구되고 있다. 습도센서는 생산공정의 제어와 산업안전의 경보 시스템분야에서부터 인간생활, 식물의 생육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1.2.3) 특히 반도체 산업은 전공정에 걸쳐 습도를 초정밀하게 제어하여야 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