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설치위치정보

Search Result 840,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A Study on Improvement of Location Accuracy and Indoor location estimation system to minimize installation costs (실내 위치 추정 시스템의 설치비용 최소화와 위치 정확도 개선에 대한 연구)

  • Yeom, Jin-Young;Kang, Dong-Jo;Park, Hyun-Ju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6 no.5
    • /
    • pp.1083-1094
    • /
    • 2012
  • Commercialized location estimation System with high accuracy is widely used for various services. However, if the systems aren't completely installed in an indoor, location estimation accuracy tend to be very poor. In this paper, indoor location estimation algorithm to improve the accuracy of object location, by corre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 system that does not fully install, is proposed. In this paper, UWB-based Ubisense system that provides high position accuracy in an indoor environment was utilized. In conclusion, this paper was able to improve the positioning accuracy, by correcting that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measured object in position estimation system.

The development of CCTV location evaluation index with preceding research analysis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CCTV 설치위치 평가 지표 개발)

  • Cho, Myeong-Heum;Kim, Kye-Hyun;Park, Young-Jin;Won, Ji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67-68
    • /
    • 2017
  • 범죄발생의 공간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방범 CCTV에 대한 체계적인 설치계획과 위치, 타당성 검증에 위한 과학적 분석은 전무한 상태에서 주민들의 민원이 빈발하는 지역 등에 CCTV를 중점적으로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실정이다. 본 연구는 효율적인 범죄예방을 위해 GIS 공간분석 기반의 표준화된 인위적 감시도구(CCTV) 설치위치 평가 방법론을 정립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선행연구 및 법 가이드라인 조사를 통해 설문지를 기반으로 통계 분석 및 전문가 회의를 거쳐 CCTV 설치위치 분석을 위한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 PDF

A study of Installation positioning AWS for the Development of Risk Prediction Technology (위험확산 예측기술개발을 위한 기상관측장비 설치위치 선정 연구)

  • Chun, Young-Woo;Cho, Myeong-Heum;Lee, Ju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17-21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화학사고와 관련하여 위험확산 예측기술개발을 위해 필요한 기상관측장비의 설치위치를 공간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우선순위로 설치되어야 하는 지역 20개소를 선정하였다. 울산전지역을 1km, 5km, 10km 격자망을 생성하여 기존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기상정보를 제외하고 울산전역의 상세한 기상관측정보 제공을 위해 필요한 관측개소 개수를 1차적으로 파악하였다. 위험확산 모니터링에 필요한 기상관측장비 설치간격을 결정하고 경제성을 고려하여 통신사 기지국 활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20개의 최종 설치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울산지역에서 발생한 화학사고정보를 기반으로 밀도분석을 수행하여 위험지역을 분석하고,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업소 정보를 수집하여 군집분포를 수행하였으며, 누출사고 발생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주거지역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밀도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Analysis on Activation Characteristic of Heat Detectors in a Compartment Fire (실내화재에서의 열감지기 동작특성 분석)

  • Ryu, Hocheol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0 no.4
    • /
    • pp.598-608
    • /
    • 2014
  • The first operation of alarm system starts at a detector. And the largest effect is produced on the operation of detector by the fire source position and installation position. Nevertheless, the Korean standard for the installation of detector only specifies matters of fire detector installation according to area and height, without consideration of installation position and fire source position. Therefore, this study carried out a fire test in consideration of detector installation position and fire source position (5 places) in order to minimize casualties owing to the fast operation of fire detector when a fire occurred. Considering that it took the longest time for a detector close to a wall to work in the results of this test, it was possible to find that a minimum clearance to the wall was required.

Improving the Accuracy of Product Warehouse Location Using Dual RFID Readers (이중 RFID 리더기를 이용한 적재위치 정확성 향상 방법)

  • Choi, Bong-Jun;Moon, Mi-K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05a
    • /
    • pp.242-244
    • /
    • 2011
  • 최근 넓은 창고에서 물품들을 좀 더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Warehouse Management System)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창고관리시스템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물품의 정확한 위치파악이다. 특히 냉동 창고에서는 물품 보관을 하는 coldroom의 안팎 온도차이로 인한 물품의 적재위치 오류는 물품의 변질을 가져오게 하므로 실시간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가 된다. 기존의 연구방법들에서는 coldroom 입구에 RFID리더기를 설치하여 물품이 인식될 때 단지 그곳에 적재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물품이 coldroom으로 들어가다 다시 돌아 나오는 경우, 반대로 물품이 밖으로 나가다 다시 들어오는 경우 등과 같은 상황에서는 물품의 위치가 잘못된 정보를 가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냉동 창고관리시스템에서 2대의 RFID리더기가 설치된 지게차를 이용하여 물품의 적재위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지게차에 설치된 2개의 RFID리더기는 각각 천장에 부착된 태그로부터 위치데이터와 지게차에 적재된 물품데이터를 획득한다. 2개의 리더기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물품의 입/출고 상황정보와 물품의 이동경로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간 냉동 창고 적재위치 오류를 감지해 냄으로써 냉동 창고관리시스템의 물품보관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 PDF

Implementation of Smart Asset Management System based on IoT at Incheon Airport (인천공항 IoT 기반 스마트 자산관리시스템의 구현 및 실증)

  • Cha, Hee-June;Son, Seok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305-306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인천공항 Airside와 Landside에 위치한 자산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사물인터넷(IoT) 기반 스마트 자산관리 시스템의 구성과 실증을 제시한다. IoT기반 스마트 자산관리시스템은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IoT 태그와 게이트웨이, 수집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표출하는 서버로 구성되어 있으며, IoT 태그를 자산에 부착하여 자산의 실내외 위치정보를 자산관리 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실내 위치정보는 BLE(Bluetooth Low Energy)를 통해 취득하며, 실외 위치정보는 GPS와 LoRa(Long Range)를 통해 취득 가능하다. 개발한 시스템의 성능 검증을 위해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 내 기설치된 AP를 활용하였으며, 공항 전역을 커버할 수 있는 LoRa Gateway를 설치하였다. 개발한 자산관리 시스템은 공항이 보유한 자산의 도난 방지 등 효율적인 관리 와 공항운영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Study about a public sign in Cheon - An station (천안역에 있어서 공공사인에 관한 연구)

  • Yoo, Hyun-Bae;Choi, Ji-Sook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8 no.4
    • /
    • pp.475-481
    • /
    • 2007
  • This study analyzes the sign system, the types and distribution of sign boards, around Cheon-An railway station which is a representative public space, and it gives a classification of the system through investigating them by types and location. Some points are issued on the kind of the system established, the location of the information, and the clustered plantation of them. Thus, it is required to differentiate sign systems in each section, to distribute them uniformly rather than aggregated densely, and to place them at pertinent locations with the analysis of people's behavior avoiding improvised decision. In conclusion, pedestrians' needs on them should be analyzed first no matter where the sign is installed so that it is possible to develop tranquil atmosphere for people to use through providing proper information.

  • PDF

Development of A Simulation for Automatic Installation of Detection Area by Image Detector (영상검지기의 검지영역 자동설정을 위한 모의실험기 개발)

  • 이병호;조형기;오영태;오세창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4
    • /
    • pp.139-152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3차원그래픽스를 이용하여 영상검지기에서의 교통정보를 얻기 위한 검지영역 설정시 안정된 검지영역을 찾기 위한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기존의 영상검지기에서는 사용자가 임의로 검지영역을 설정하여 교통정보를 수집함으로 인하여 안정된 교통정보를 얻기가 어려웠으며, 영상카메라의 설치시 과다한 설치규격의 설정으로 비효율적 측면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영상검지기를 현장에 설치하기 전에 영상검지기 설치를 위한 사전 모의실험을 토대로 최적의 안정된 설치위치 결정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의 실험기는 도로의 기하구조와 차량을 모델화 하고 이를 3차원으로 좌표화하여 좌표변환식과 원근변환식을 이용하여 3차원좌표를 2차원으로 변환시키고 컴퓨터 모니터에 투영하여 대상 설치위치에서의 결과를 가시화하였다. 본 연구는 개발된 모의실험기의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현재 영상검지기를 운영중에 있는 한 접근로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수행결과 교통량과 통행속도계측시 최적검지영역 설정을 위한 영상검지기의 설치규격은 높이가 각각 7m, 12m이상이며, 수직각은 각각 $30^{\circ}$, $80^{\circ}$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recision Analysis of Fixing Methods Use in the GPS Continuous Station (GPS 상시관측소 활용에 있어 고정방법이 절대위치에 미치는 정밀도 분석)

  • 정영동;강상구;박보연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88-93
    • /
    • 2003
  • 국토공간정보의 기반인 수치지도 제작을 위해서는 위치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요구되며 이러한 정보는 GPS를 이용한 방법이 대표시 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GPS를 이용한 위치결정 방법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 국토에 걸쳐 24시간 위성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70여개의 GPS 상시관측소를 설치 운영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GPS 상시관측소 데이터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행정자치부와 국리지리원에서 설치 운영하며 호남권에 위치한 5곳의 상시관측소를 대상으로 각기 고정위치를 달리하여 기선해석과 망조정을 수행하여 고정위치에 따른 3차원 절대좌표의 정밀도를 분석하였다. 현재 행정자치부의 3곳의 상시관측소 절대위치는 고시되지 않아 국립지리원 고시 성과를 기준으로 고시성과와 계산성과의 3차원 절대 좌표를 비교하였다.

  • PDF

Location Sensing System for Location based Services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치인식 시스템 연구)

  • Seo, Seung-Ho;Lee, Keung-H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475-477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을 위한 위치 인식 시스템에 대해서 제안한다. 많은 연구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기법과 정확도 향상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특정 환경이나 시나리오에 초점을 맞추어서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들이 필요로 하는 위치정보를 구분하고 IrDA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위치 인식 시스템의 설치 및 관리에 필요한 기능에 대하여 논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