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설계프로세스

Search Result 2,119,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Integrated Process Modeling in Dynamic B2B Environment (B2B 협업 환경에서의 통합 프로세스 모델링 구축)

  • O, Je-Yeon;Jeong, Jae-Yun;Jo, Nam-Uk;Kim, Hun-Tae;Gang, Seok-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442-447
    • /
    • 2005
  • BPEL4WS와 같은 웹 서비스 프로세스 설계 언어의 사용은 기업으로 하여금 자동 실행되는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설계, 실행할 수 있게 하였으나, 종전의 워크플로우와 자동 실행 프로세스를 동시에 지원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진다. 또한 B2B 협업에 있어서 각 기업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들의 입력과 출력, 행동 단위가 다를 수밖에 없기 때문에 동일한 목적을 지닌 프로세스라 하더라도 파트너에 따라 상이하게 설계될 수밖에 없는 문제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기업내 워크플로우 프로세스와 자동 실행가능한 프로세스, 기업간 협업 프로세스의 세 가지로 분류하고, 이들을 통합적으로 설계하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링 방법론을 제안한다. 본 연구를 통해 비즈니스 프로세스 설계자는 기업내 워크플로우와 자동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를 통합적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각 파트너에 대해 동일하게 사용되는 협업 프로세스를 설계할 수 있게 될것으로 기대된다.

  • PDF

Process Management for Integrated Design Model (통합설계모델을 위한 프로세스 제어)

  • 이창호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4 no.2
    • /
    • pp.249-264
    • /
    • 2001
  • 빌딩골조 구조물의 구조설계는 시스템, 서브시스템, 기본 부재의 여러 설계 단계에 걸쳐서 복잡하게 진행된다. 여러 가지 설계 대안들을 고려하고 비교하여 선택하는 작업을 설계과정에서 행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한 가지의 구조시스템과 이와 관련한 서브시스템 및 기본 부재들을 결정해야 한다. 빌딩골조 구조물을 위한 컴퓨터 통합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설계과정을 정형화하여 표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 서브시스템, 기본 부재 단계에서의 설계과정을 표현하기 위한 개체형 통합설계모델의 프로세스 개체들을 소개한 후에 각각의 프로세스개체 내의 설계흐름을 기술하였고, 세 가지 설계 단계에 걸쳐 있는 많은 프로세스 개체간의 설계흐름을 제어를 하기 위한 개념을 설명하고 있다. 프로세스 개체간의 제어는 어떠한 개체내의 프로세스가 끝났는가를 파악하여 구조설계를 완료하는데 필요한 모든 개체의 프로세스가 끝났는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프로세스 제어의 개념은 빌딩골조의 구조물을 위한 컴퓨터 통합시스템의 개발에 이용될 수 있다.

  • PDF

Analysis of Design Error Types in Business Process Modeling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에서의 설계 오류 유형 분석)

  • Gun-Woo Kim;Jeong Hwa Lee;Jae Hyung Kim;Jin Hyun S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665-668
    • /
    • 2008
  • 비즈니스 프로세스란 기업의 모든 고객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순차적 또는 동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연관된 업무의 집합을 의미한다. 이러한 비즈니스 프로세스는 프로세스 설계 작업을 통하여 시스템 차원에서 관리함으로써 프로세스의 생산성 및 효율성 등을 확대하게 된다. 하지만 프로세스 설계 작업은 주로 사람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예상하지 못한 오류들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설계 오류들은 기업이 원하는 과정으로 프로세스가 진행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기업의 막대한 인적 손실 및 비용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그러므로 비즈니스 프로세스 설계 단계에서 오류가 없도록 설계 하거나 또는 미리 정의된 오류 유형들을 설계 도구를 통하여 검출 할 수 있는 작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설계 단계에서의 오류 검출 작업에 활용될 수 있도록 유형 별로 설계 오류들을 분석 하고 정의하였다.

Pattern-based Analysis of Ubiquitous Process Design Based on Active Rules (능동형 규칙 기반 유비쿼터스 프로세스 설계의 워크플로우 패턴 분석)

  • Jung, Jae-Yoon;Park, Jong-Hun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4 no.1
    • /
    • pp.35-56
    • /
    • 2009
  • Many process modeling techniques, such as Petri-net, UML Activity Diagram, and EPC, are used to design process models. In this paper, we analyze ubiquitous process design based on workflow patterns. In particular, we focus on process design using active rules that have the form of Event-Condition-Action, and deal with the WS-ECA language, which was devised for ubiquitous web services coordination. We first check whether workflow patterns can be designed with ECA rules, and we then provide WS-ECA representations for ECA rules of the patterns.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that ECA rule-based process models were presented based on workflow patterns and they can be a guideline for ubiquitous process modeling.

  • PDF

A Study on the Usage of Digital Design Tool on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건축 프로세스에서의 Digital Design Tool 활용에 관한 연구)

  • Jeon, Hyun-Woo;Choi, Jong-Chon;Kim, Khil-Chae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567-57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국외 설계사무실과 국내 설계사무실의 수행 프로젝트(표1)를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에서의 디지털 도구 활용 사례조사 결과를 일련의 설계 프로세스(기획(Pre-Design), 계획 설계(Schematic Design) 중간설계(Detail Design), 실시설계(Construction Design))를 11개의 설계 단위작업((1)자료수집, (2)도서화작업, (3)의사소통/프레젠테이션, (4)협력업체와의 협업, (5)디자인 실험, (6)디자인분석/유효성 검토, (7)빌딩시스템과 자재선정, (8)자재비교/견적, (9)디자인 발전, (10)RP를 이용한 모델 제작, (11)시공/제작)으로 분류하여(설계프로세스별로 디지털 디자인 툴의 활용 빈도를 조사 분석하는 것은 프로세스별로 중복된 설계 단위작업이 진행됨으로 연구결과의 의미가 잘못 해석될 수 있다.) 그 활용에 대한 유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계과정에서의 디지털 디자인 툴의 활용특성을 도출하여 실무설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 PDF

Application of Lean Theory to BIM-Based Coordination - A Case Study on Process Re-Engineering of MEP Coordination - (린 기법의 BIM 기반 설계조율 프로세스 접목 - 설비전기 설계조율 프로세스 재설계 사례연구 -)

  • Jang, Se-J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8 no.1
    • /
    • pp.67-79
    • /
    • 2018
  • This paper provides theoretical deformation of lean concept and its application for usage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process. Recently, much research is focused on application of lean concept for more efficient usage of BIM. The lean theory and its basic function and feature is based on manufacturing industry.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improved by process re-engineering steps of lean concept which consist of the steps of value, value stream, flow, pull, perfection. However manufacturing process and construction process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Due to the differences, five steps of the traditional lean's process re-engineering can't be directly applied to the BIM based engineering proces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conduct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BIM based engineering. We propose modified and expanded concept of lean for process re-engineering and the modified theory was applied to the mechanical, electrical and plumbing (MEP) coordination process. Through the proposed 8 steps of methodology, 2D based process was changed to integrated and using BIM based MEP coordination process.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e potentiality of cost reduction and process impro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 foundation for the theoretical combination of lean and a variety part of construction engineering process.

A Design Method of Software Model for Pre-Development Phases (개발이전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모델 설계방법)

  • Kim, Tae-Dal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6 no.3
    • /
    • pp.412-421
    • /
    • 1999
  • 소프트웨어 개발 및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프로세스 모델이 IEEESTD1074-1991, ISO/IEC DIS12207-1, SPICE 모델, MIL-STD 498이다. 이들을 실제 국내 프로젝트들에 적용하기 위해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젝트을 수행할 때, 개발 이전 단계 프로세스 설계의 실패는 전체 프로젝트 공정에 영향을 준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세스 중심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환경을 기반으로 하여 개발 이전 단계의 프로세스를 설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프로세스, 활동, 테스크들의 연관관계를 도식화하고 있다. 그리고 설계된 결과를 국내 프로젝트들에 적용, 그 결과를 분석한다.

Workflow Collaborative Design using Similarity Measures between Process Definitions (프로세스 정의간 유사성 비교 척도를 이용한 워크플로우의 협력적 설계)

  • Gwon, Baek-Cheol;Bae, Jun-Su;Gang, Seok-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722-725
    • /
    • 2004
  • 기업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는 날로 변화하여 다양해지고 있으며, 특히 e-비즈니스의 활성화로 인하여 더욱 복잡해지고 전문화되었다. 워크플로우 관리시스템은 이러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실행, 운영, 통제하는 시스템으로서 발전해왔다. 이러한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의 장점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프로세스의 분석과 모델링을 통하여 워크플로우 정의가 입력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세스를 비교하는 척도를 개발함으로써 다수의 모델간의 차이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며, 이를 통하여 협력적으로 워크플로우 정의를 설계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즉, 프로세스의 속성을 분류하고 이 속성의 단계적 척도를 개발하여 다수 모델간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워크플로우 정의를 설계할 때 다수의 모델간에 협의가 가능한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론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먼저 프로세스 정의에 있어 그룹 다이나믹스 방법을 도입하여 보다 정확하고 비용이 적은 프로세스 설계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비즈니스 프로세스간 차이를 비교할 수 있는 척도를 통하여 기존의 프로세스 모델간 또는 설계되는 프로세스 모델의 비교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방법론을 통하여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에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프로세스 정의가 가능할 것이다.

  • PDF

스마트 해상 물류 통합 프로세스 설계 프로토타입 구현

  • 박순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239-241
    • /
    • 2022
  • 스마트 해상물류 통합 프로세스 자동화 및 간소화 기술 설계를 위해 해운-항만-내륙 물류의 다양한 서비스와의 연계 데이터 관리패턴을 설계하고, 디지털 문서 수용 및 데이터 교환을 위한 상호 운용성 보완 기술 설계, 프로세스 기반 거래검증 알고리즘 개발 및 데이터교환 트랜잭션 자동화 기술 개발을 통해 해상물류 통합 프로세스 설계 프로토타입을 구현하고자 한다.

  • PDF

Integrated Framework of Process Mining and Simulation Approaches for the Efficient Diagnosis and Design of Business Process (효율적인 비즈니스 프로세스 진단 및 설계를 위한 프로세스 마이닝과 시뮬레이션 통합 프레임워크)

  • Sahraeidolatkhaneh, Atieh;Han, Kwan 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5
    • /
    • pp.221-233
    • /
    • 2017
  • To survive in the ever-changing environment, organizations need to improve or innovate their business processes. As a result, to attain this objective, BPM (Business Process Management) concept is widely adopted in modern enterprises. BPM life cycle consists of diagnosis, design, implementation and enactment. Conventionally, diagnosis of business process within the BPM life cycle is usually conducted by manual methods such as interviews, questionnaires and direct observations of process. And (re)designing business processes is also usually done manually under supervision of business experts from scratch. It is time-consuming and error-prone task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tegrate the diagnosis and (re)design phase of BPM life cycle by sharing automatically generated process model and basic statistics in the diagnosis phase based on the process mining method. Eventually, this approach will lead to automate the tasks of diagnosis and design of business process. To implement and to show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framework, two case studies were conducted in this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