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설계식

Search Result 6,80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Verification of Proposed Design Equation for Stress Evaluation of Unbonded Tendons (비부착 긴장재의 응력을 평가하기 위해 제안된 설계식의 타당성검증)

  • Lim, Jae-Hyung;Moon, Jeong-Ho;Lee, Li-Hyung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1 no.2
    • /
    • pp.127-137
    • /
    • 1999
  • In the previous study in relation to the current study, a test program for the verification of the proposed design equation was carried with fourteen prestressed concrete beams with unbonded tendons. Experimental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computed results by the proposed design equations. The previous design equations are ACI code, AASHTO LRFD code, the analysis equation with the strain compatibility, Harajli/Kanj' design equation, Chakrabarti' design equation. As a result of comparative studies, it turned out that the proposed design equation could predict the ultimate tendon stress with comparatively high accuracy.

An Estimation of Regression Equation for Temporal Distribution of Design Rainfall Using Variable Selection Method (변수선택 방법을 이용한 설계강우량 시간분포 회귀식의 산정)

  • Lee, Sung Ho;Lee, Jae Joon;Park, Jin Hee;Rhee, Dong S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69-169
    • /
    • 2018
  • 국내에서는 유량자료의 부족으로 수공구조물을 설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설계강우량을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설계강우량의 산정 및 시간분포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설계강우량 시간분포를 위한 방법으로 Huff의 4분위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무에서는 확률강우량도 개선 및 보완연구(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1)에서 제시한 관측소별 Huff의 무차원 누가우량 백분율을 이용하여 Huff의 4분위 방법 중 3분위의 자료를 이용하여 시간분포 회귀식을 산정하고 있으며, 회귀식의 차수는 전반적으로 결정계수가 높은 6차식을 사용하고 있다. 회귀식의 경우 고차식으로 갈수록 결정계수가 높아지는 것은 당연하지만 4차 이상의 회귀식에서는 결정계수의 차이가 미미하므로 6차식을 사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유의수준에 기초하여 Huff 4분위 방법의 시간분포 회귀식에 대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여 회귀계수에 대한 통계적 검증을 실시하고 변수선택 방법인 전방선택법(Forward Selection)을 이용하여 유의하지 않은 회귀계수들을 제외하면서 가장 좋은 변수들로 구성된 간결한 설계강우량 시간분포 회귀식을 산정하고자 한다. 또한 산정된 회귀식과 기존 확률강우량도 개선 및 보완연구(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1)에서 제시한 회귀식과 비교하여 변수선택 방법인 전방 선택법(Forward Selection)을 이용하여 산정된 회귀식의 적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PDF

Proposed Limit State Design Method for Encased Composite Columns (매립형 합성기둥의 한계상태설계법 제안)

  • Kim, WonK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9 no.4 s.33
    • /
    • pp.523-533
    • /
    • 1997
  • Current limit state design method for encased composite columns contains irrational and uncertain design equations in defining section and material properties of composite members. Through investigating previous research used in formulating the design equation, this paper explores the irrationality and uncertainty such as 1) transformation of yield stress and elastic modulus for composite section, 2) an equation influencing buckling strength in terms of area rather than moment of inertia, and 3) selection of larger radius of gyration between steel and concrete sections. Improving the design equations this paper proposes two design methods which can be directly used in practical design.

  • PDF

Design Method for Asynchronous Circuit (비동기식 회로 설계 기술)

  • Oh, M.H.;Kim, Y.W.;Shin, C.H.;Kim, S.N.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4 no.6
    • /
    • pp.110-120
    • /
    • 2009
  • 비동기식 회로는 전역 클록이 없이 모듈끼리의 핸드셰이크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를 동기화하고, 전송하는 회로로 전역 클록에 기반한 동기식 회로에 비해 전역 클록으로 인한 문제점들, 예를 들면, 타이밍 종결 문제, 전력 소모 문제, 다중 클록 도메인 설계 문제 등에서 이점을 갖는다. 최근에는 이 두 가지 회로의 장점을 모아 서로 다른 클록에 기반한 비교적 작은 규모의 동기식 모듈을 기반으로 모듈끼리의 데이터 전송을 비동기식으로 수행하는 GALS 구조도 많이 연구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비동기식 회로를 위한 설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먼저, 비동기식 회로의 특성과 설계 동향, 설계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핸드셰이크 프로토콜 및 지연 모델을 소개한다. 그리고, 크게 세가지의 설계 방식을 간단한 예제를 통해 설명한다.

Evaluation of Ultimate Stress of Unbonded Tendon in Prestressed Concrete Members (II) -Proposed Design Equation using Strain Compatibility (프리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에서 비 부착 긴장재의 극한응력 평가에 관한 연구(II))

  • 임재형;문정호;음성우;이리형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9 no.5
    • /
    • pp.105-114
    • /
    • 1997
  • 본 연구는 비부착 긴장재를 갖는 부재에 대한 일련의 연구중 두 번째에 해당한다. 첫 번째 연구(1)에서는 기존연구의 제안식과 현행의 ACI 규준의 문제점을 고찰하고 기존의 총 167개 실험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성힌지 길이 개념과 변형도 적합조건에 의해서 비부착 긴장재의 응력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새로운 설계식을 제안하였다. 이는 이론적인 분석에 의한 변수설정과 기존 실험결과를 이용한 중회귀분석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설계식을 기존의 식들과 비교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제안된 설계식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1)비부착 긴장재의 응력산정시 유효프리스트레스, 일반철근의 양, 작용하중의 형태 등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설계식에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비부착 긴장재의 응력산정식은 현행 ACI 규준식과는 다르게 fc'/ p항의 제곱근과 비례하는 함수관계에 있다. (3)스팬-춤비가 비부착 긴장재의 응력에 미치는 영향은 소성힌지 길이의 개념에 의해서 역학적으로 타당하게 설명할 수 ldT다.

Design Analysis of Launching Noses by the Proposed Design Equation (최적설계 제안식을 이용한 ILM 압출추진코의 설계분석)

  • Lee, Hwan-Woo;Ahn, Tae-Wook;Jang, Jae-Youp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404-407
    • /
    • 2009
  • ILM(incremental launching method) 교량공법은 품질확보에 효과적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교량공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교량의 상부단면은 시공 중에 지간의 중앙부와 지점부에 일시적이나마 모두 위치하게 된다. 앞선 연구에서 압출 중인 ILM 교량의 상부단면에 발생하는 단면력의 변화를 간편하게 예측할 수 있는 해석식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해석식을 이용하여 매개변수들의 변화에 따른 상호작용의 영향을 분석하여 많은 대안들이 검토되는 초기 설계단계에 유용한 설계식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압출중인 ILM 교량의 상부단면에 발생하는 단면력을 효과적으로 제어위해 유도된 해석식을 이용하여 현재 국내 공용중인 ILM 교량의 설계수준을 검토하였고, 상부구조의 최적설계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Design Equation of Reinforced Concrete Walls for Opening Configurations (개구부 형상을 고려한 철근콘크리트 벽체의 설계식 제안)

  • Lee, Dong-Jun;Oh, Soon-Tae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4 no.3
    • /
    • pp.131-137
    • /
    • 2010
  • 12 trial-scale wall panels are tested and evaluated to investigate the ultimate load capacity of axially loaded concrete walls with various opening configurations. The experimental tests have been undertaken to obtain data for the modification of existing equations. A new design equation has been generated using the precise test data and it incorporates the unique length factors. This new design equation for concrete walls with openings is then compared with existing code formulae.

Design Equation for Square CFT Columns with Large Width-to-Thickness Ratio (폭두께비가 큰 각형CFT 단주의 설계식)

  • Kim, Sun Hee;Choi, Young Whan;Choi, Sung M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21 no.5
    • /
    • pp.537-544
    • /
    • 2009
  • The design standards, such as AISC-LRFD (2005) and KBC-2005, specify the maximum width-to-thickness ratio that can be used for computing the strength of the concrete-filled tube (CFT), and do not include any formula for computing the strength when the width-to-thickness ratio is over the limit. This paper proposes a strength equation for CFTs with a large width-to-thickness ratio by acknowledging the fact that the stiffened slender steel platehas substantial postbuckling strength, and that it therefore can be more economical to use it. The equation adopts the concept of effective width,which is very useful for plate analysis. By comparing the strengths of AISC2005, KBC2005, and the proposed method with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here the width-to-thickness ratio was regarded as the main parameter,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was verified.

Design Aspects of Soil-Reinforced Segmental Retaining Walls in Tiered Arrangement - Case Study (다단식 보강토 옹벽의 설계 - 사례연구)

  • Yoo, Chung-Sik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1 no.1
    • /
    • pp.31-41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stability analyses on soil-reinforced segmental retaining walls in a tiered arrangement. Four different walls were examined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ir designs within the context of the current design guidelines based on limit equilibrium. Slope stability analysis against the compound failure mode, which is frequently ignored during design, was also performed based on the method recommended by FHWA design guidelin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as-built designs of some of the walls examined do not meet the minimum factors of safety for the external and internal stabilities, and for the compound failure mode.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discussed.

  • PDF

Design of Maximum Green Time Parameters for Traffic Actuated Operation (감응식 신호운영을 위한 최대녹색시간의 설계)

  • KIM, Jin T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4
    • /
    • pp.123-134
    • /
    • 2002
  • 감응식 신호운영변수 설계에 관한 연구는 정주기식 신호운영변수 설계의 그것보다 그 수준이 현저히 미비하며 이는 감응식 신호운영 특성을 반영한 평가방법의 부재로 감응식 운영변수의 평가가 불가능하였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최근에 소개된 평균 감응현시 녹색시간 추정 수리모형을 이용하여 Highway Capacity Manual (HCM) 지체도를 최소화하는 최대녹색시간의 설계방안을 제시한다. - '최소녹색시간'과 '단위연장시간'은 보행자 횡단시간 및 차량 차두시간 등 지역별 운전자/보행자의 특성과 관련이 있어 일반적인 최적화 설계 수리모형의 적용에 무리가 있어 제외한다. 제안된 설계방안은 감응식 운영논리를 토대로 감응현시 군의 평균녹색시간과 평균주기를 산정하며, HCM 지체도를 평가하고, 가능한 대안 중 지체를 최소화하는 최대녹색시간 운영변수 군을 '혼혈 유전자 알고리즘'으로 도출한다. 현장실험을 통해 도출이 불가능한 실제 최적치를 Corridor Simulation(CORSIM)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고 이를 제안된 설계방안으로 도출된 최대녹색시간 운영변수' 값들과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교차로 v/c 비율이 1.0 보다 낮을 시는 제안된 방법을 통해 설계된 최대녹색시간 운영변수 군이 최소 CORSIM 지체도를 산출하는 최대녹색시간 운영변수 군과 동일한 것으로, v/c비율이 1.0보다 높을 시는 다른 것으로 결과되었다. v/c비율이 1.0 보다 높은 경우는 정주기식 교차로 운영에 효율적이라 감응식 운영의 필요를 벗어나므로 제안된 최대녹색시간 설계방안은 감응식 신호운영 필요범위 내에서 효율적이다. 기존의 최대녹색시간 설계는 정수기식 최적녹색시간을 기준으로 최대녹색시간을 추정하며, 그러한 과정을 돕기 위하여 추정범위(설계자가 범위 내에서 임의로 선택함)를 제시하는 것이 기존의 연구임을 비교하면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설계방법의 의미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