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00%
  • Title/Summary/Keyword: 선 처리

Search Result 3,797,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우유의 감마선 조사처리 효과

  • Ham, Jun-Sang;No, Yeong-Bae;Kim, Seung-Il;Kim, Hyeon-Su;Jeong, Seok-Geun;Chae, Hyeon-Seok;An, Jong-Nam;Jo, Cheol-Hun;Lee, Wa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5.10a
    • /
    • pp.302-305
    • /
    • 2005
  • 본 연구는 에너지 위기에 따른 고유가 시대에 에너지 소비가 많은 열처리에 의한 시유 생산을 영양적으로나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하게 대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감마선 조사처리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1, 2, 3, 5, 10 kGy의 감마선 조사시 당일에는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이 모두 검출되지 않았으나, 냉장상태에서 일주일후에는 1과 2 kGy 조사구에서 일반세균이 검출되었다. 반면 LTLT, HTST, 및 UHT 처리시에도 당일에는 일반세균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일주일 후에는 LTLT 처리와 HTST 처리유에서 106 CFU/mL이상 검출된 반면 UHT 처리유에서는 일반세균이 검출되지 않아, 우유에서 미생물적으로 UHT 처리 정도의 살균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3 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 처리가 요구되었다.

  • PDF

Design of Algorithm on Information Exchange Message Processing for Safe Navigation of Autonomous Ships (자율운항선 안전운항을 위한 정보교환 메시지 처리 알고리즘 설계)

  • Nam, Gung-Ho;Jeong, J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160-161
    • /
    • 2018
  • ITU-R Study Group Working Party 5B에서는 해상에서 자율운항선을 안전하게 운항하기 위해 자율운항선을 통한 제어센터-VTS, 제어센터-유인선 간의 정보교환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Vessel traffic control voice relay의 기능을 제시하였다. 이에 자율운항선을 통해 제어센터-VTS, 제어센터-유인선 간의 원활한 정보교환이 가능하도록 사용자 기능 요구사항, 사용자 비기능 요구사항, 인터페이스 요구사항으로 분석함으로써 통신중계시스템 설계 및 각 운용 기기별 정보교환 체계를 구축하였다. 하지만 자율운항선-타 선박간의 충돌 위험성을 감지할 경우 충돌회피를 위한 흐름 및 통신중계시템을 활용한 메시지 처리과정은 설계되지 아니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액티비티, 제어흐름, 작업 흐름 등의 표현이 가능한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을 활용함으로써 항해단계 중 발생할 수 있는 상황별 시나리오를 제어 흐름 형태로 표현한 정보교환 메시지 처리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Edge Detection Modeling Based on Human Visual Function (인간의 시각 기능에 기반을 둔 경계선 추출 모델링)

  • Cheoi, Kyung-Joo;Lee, Yill-Byung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0.10a
    • /
    • pp.317-320
    • /
    • 2000
  • 경계선 추출(edge detection)은 영상처리 및 인식 분야의 여러 응용분야에서 쓰이는 중요한 전처리과정 중 하나이다. 경계선이란 두 영역 사이의 경계에 위치한 점들[12]을 말하며, 경계선 추출은 영상 속에 위치한 이런 경계점들을 찾는 작업을 말한다. 경계선 추출 방법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사물의 실제 경계선을 정확히 추출해내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문제로 남아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시각 정보처리 방법을 기존 문헌을 통해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경계선 추출 모형을 제안한다. 제안된 모형은 기존의 수학적인 시각 모형에서 불가피하게 제외되는 시각 특징 및 인간의 시각기관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 Edge Enhancement Algorithm using Morphological Processing (형태학적 처리를 이용한 윤곽선의 선명도 향상 알고리듬)

  • 남진우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0.12a
    • /
    • pp.109-112
    • /
    • 2000
  • 고역의 주파수 성분이 감쇠되어 선명도가 저하된 이미지나 선형 보간법에 의해 확대된 이미지의 계단모양 왜곡을 감소시킴으로써 경계선의 선명도가 저하된 이미지들을 위해 형태학적 처리(morphological processing)에 의한 이미지 윤곽선의 선명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블러링(blurring)된 이미지를 화소의 명암에 따라 다수개의 평판 이미지(slice image)로 나누고 각 평판 이미지에 대해 반복적인 최대/최소값 필터(min/max filter)의 적용으로 얻어진 윤곽선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팽창(dilation)과 침식(erosion)을 수행함으로 이미지의 윤곽선에서의 명암 변화에 대한 경사도를 크게 만들고 이로써 이미지 윤곽선의 선명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모의 시험결과를 통하여 고역 주파수 강조에 의한 방법에 비하여 인위적인 잡음(artifact)없이 효과적으로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Effect of Gamma Irradiation and Post-Irradaition Treatment of Preservatives on the Cut Flower Longevity of Rose and Mum. (감마선 조사와 조사 후 보존제 처리가 절화 장미 및 국화의 수명에 미치는 영향)

  • 박인환;정연승;이월순;권중호;변명우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6 no.3
    • /
    • pp.286-291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dose and timing of gamma irradiation and post-irradiation treatment with some preservatives of cut flowers on their longevity of rose and chrysanthemum. Cut roses which were soaked in 2% sugar solution persist to 0.75 kGy irradiation treatments. In post-treatments with some preservative solutions, the mixture group of 2% sucrose,2000m silver nitrate and 3.0% crysal were available in flower quality, but the 200 ppm silver nitrate solution treatment showed serious blackening of floral stems and resulted On negative effect in flower quality. Effect of gamma irradiation and all preservative solutions on the cut mum longevity were showed almost same tendency with rose cut flower longevity experiments. The 2% sugar dipping solution in mum cut flower showed the most superior preservative effect compared with the my other preservative solutions tested. Also non-irradiated treatment extended to flower up to complete wilt.

  • PDF

강원도 고랭지 산채자원의 이용기술 개발

  • 오덕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1999.04a
    • /
    • pp.29-52
    • /
    • 1999
  • 본 연구는 강원도 고랭지에서 자생되는 산채류를 이용하여 총질소함량을 기준으로 소맥대신 이들 산채류를 일정비율로 대체하여 더덕 및 산채혼합 간장을 제조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감마선조사 또는 블랜칭처리가 참나물 즙액의 선도유지연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제조된 간장의 총 질소함량은 일반적으로 산채 대체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숙성 4개월 후의 무기질 함량에 있어 더덕 20% 대체간장은 Ca, K 함량이 각각 1.3배, 1.5배의 증가율을 나타내었으며, 산채 혼합 10% 대체간장도 Ca 함량이 1.5배 증가하였다. 대체량 별로 아미노산 함량 변화를 살펴보면 더덕간장 10% 대체군의 경우 threonine과 aspartic acid가, 산채 혼합 10% 대체군은 tyrosine과 arginine이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Rec assay system을 이용한 항돌연변이 시험에서, 더덕간장은 10%와 20% 대체군이, 산채혼합 간장은 7%와 10% 대체군이 다른 시료에 비해 높은 항돌연변이성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전체적 기호도에 있어 더덕간장은 7% 대체군, 산채혼합 간장은 5% 대체군이 가장 우수하였다. 미생물의 생육변화는 감마선 조사를 하였을 때 두처리구 모두 0.5 kGy 조사에서도 무처리구에 비하여 현저한 생육감소를 나타내었으며 감마선 처리된 녹즙을 저온에서 저장하였을 때는 미생물의 생육억제효과가 높았으나 상온에서는 감마선 효과가 매우 감소함을 나타내었다. 색도변화는 블랜칭한 녹즙이 블랜칭하지 않은 녹즙보다 색깔이 훨씬 선명하고 맑은 녹색을 띄었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마선 조사구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무처리구에 비하여 L값, a값 및 b값이 훨씬 적게 변화함을 나타내었다. 비타민 C의 변화는 블랜칭 처리한 녹즙의 비타민 C의 함량변화는 블랜칭 처리를 하지않은 녹즙보다 적었으며 감마선 처리구와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온도가 낮을수록 두 처리구 모두 비타민 C의 손실율이 적게 나타났다. 감마선을 조사하였을 때 블랜칭하지않은 녹즙에서는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볼 때 밝기, 풀냄새, 쓴맛, 신선감 및 수용성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블랜칭한 녹즙에서는 무처리구가 감마선처리구에 비하여 풀냄새와 쓴맛이 증가하였고 신선감과 수용성이 감소되었다.

  • PDF

A Consideration on User Arrival Time in A Pre-Order System (선 주문 시스템에서 사용자 도착시간예측 방안 고찰)

  • Yoon, Sang-Eun;Park, Young-Ho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3.11a
    • /
    • pp.1287-1288
    • /
    • 2013
  • 최근에,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다양한 선 주문 시스템이 나오고 있다. 선 주문 하고, 일정 기한 동안 수령하는 현재의 선 주문 시스템에서 발전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는 사용자의 도착시간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선 주문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의 도착시간을 예상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선 주문 시스템은 더욱 다양한 영역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가상 소화모델시스템 내에서 감마선 조사와 가열 처리된 Ovalbumin의 IgE-Binding Ability의 변화

  • Seo, Ji-Hyeon;Kim, Jae-Hun;O, Sang-Hui;Lee, Ju-Un;Byeon, Mye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4.10a
    • /
    • pp.412-415
    • /
    • 2004
  • 본 연구는 감마선 조사를 이용한 알레르기 저감화 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실용화 방법의 안전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감마선 조사 후 가열 처리된 OVA는 전기영동상에서pepsin에 의해서 상당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gG 항체를 통해 살펴본 소화성은 intact OVA보다 증가하여 가수분해되기 쉬운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효소처리 전의 IgE-binding ability는 현저히 감소하였고 최종 효소분해까지 일정하게 낮은 농도가 유지되어 가상 소화모델 시스템 내에서의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감마선 및 가열 처리를 단독으로 시행하는 공정보다는 감마선과 가열을 병용하는 방법이 알레르기 저감 식품을 개발에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 PDF

Identification of irradiated soybean with different processing and origin (대두의 가공특성 및 원산지별 조사처리 판별 연구)

  • Jung, Yoo-Kyung;Lee, Hye-Jin;Lee, Ji-Yeon;Choi, Jang-Duck;Kwon, Ki-Sung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9 no.3
    • /
    • pp.252-257
    • /
    • 2017
  • In this study,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irradiated (gamma-ray and electron-beam) soybeans with different processing (dry and powder) and origins (Korea, China, and USA)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The results of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SL) screening indicated that all non-irradiated soybeans showed photon counts (PCs) 700, while all irradiated soybeans showed positive values-gamma-ray 5,815-39,591 count/min; electron beam 5,791-60,055 count/min. The results of thermoluminescence (TL) analysis of all irradiated soybeans indicated that the TL1 glow curves exhibited maximum peaks at 150-250. TL ratio of irradiated samples was 0.1; therefore, the clear identification of irradiated samples was guaranteed by analysis of the TL1 curve shape and TL ratios. The results of electron spin resonance (ESR) signal of 3 irradiated and dried soybeans showed two side peaks mutually spaced at 6.0 mT (cellulose radical). Non-specific signal was detected for all irradiated soybean powders; hence, ESR analysis could not be performed.

Induction of Mutants by Irradiation of γ-Ray on In vitro Shoots of Persimmon (기내γ-선 처리에 의한 감(Diospyros kaki Thunb.) 돌연변이 유기)

  • 고갑천
    • Korean Journal of Plant Tissue Culture
    • /
    • v.27 no.2
    • /
    • pp.143-148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optimum dose of gamma-ray for the induction of mutation in vitro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tants induced by gamma-ray in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The LD50 (50% lethal dose) for in vitro shoots of the cultivar, Nishimurawase was between 1 krad and 2 krad and about 1 krad for the cultivar, Ichikikeijiro. As the dose of gamma-ray increased, the length of shoots decreased and necrosis of buds increased. For the cultivar, Nishmurawase, 37.5∼58.3% shoots rooted and the rooting rate and the number of roots per shoot was low in high gamma-ray. The irradiated young plants which were grown in the growth cabinet for 6 weeks were shorter in shoot length and had more branches than non-irradiated plants. The survival rate of irradiated plants grown in the green house for 3 months was 33%, while 77% for control pla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