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회반경

Search Result 4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Outlier(이상치) 분석을 통한 등부표 등부표 효율적 위치 관리 방안 연구

  • 최광영;송재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290-291
    • /
    • 2023
  • Outlier(이상치) 분석을 통한 등부표 선회안전반경 정보 제공에 관한 연구는 AIS 또는 RTU가 설치된 등부표에 대한 이탈 위험 인지, 항해안전 사고 예방 등 안전대책을 강화하기 위한 연구이다. 등부표는 조류, 바람 등 외력에 의해 이출거리가 발생하여 일정한 패턴으로 선회반경이 형성되나 외력으로 인하여 정상범위에서 벗어나 유실, 위치이동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선박추돌 등 항해안전 사고로도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등부표 사고는 물적 피해비용과 이용자의 안전운항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또는 위험감수 등의 추가적인 행정소요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Outlier(이상치)란 외력 등으로 인해 최대 이출거리 이내 정상범위에서 벗어나거나 존재할 수 없는 극단적인 위치 값으로써 21년도 등부표 위치 데이터를 일정 단위 방위별로 분석해 본 결과 Outlier(이상치)가 식별되었다. 따라서 등부표의 안전한 위치 상태를 시스템적으로 모니터링 하기 위해 Outlier(이상치) 분석을 통한 등부표 선회안전반경 정보 제공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tability of a Low Freeboard Coastwise Tanker Capsized in Turning (2) -Experimental Examination of the Outward Heel Moment Induced by Flooding of Seawater onto the Deck- (선회중 전복한 저건현 내항 탱커의 복원성에 관한 연구 (2) -갑판상 해수 침입이 경사 모멘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조사 -)

  • Lee, Yun-Sok;Kim, Chol-Seong;Lee, Sang-Mi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27 no.5
    • /
    • pp.465-471
    • /
    • 2003
  • A coastwise chemical tanker sailing at full speed has capsized during turning in calm water. In the previous paper, we investigated the reasons of the accident by demonstrating the proper correction for the free surface effect of the liquid cargo and the bow-sinkage effect. In this paper, we also carry out model experiments of a transverse pressure under the seawater and an outward heel moment according to the heel angle and rudder angle, on the basis of radius of turning circle, ship's speed and drift angle of model ship occurring in turning. It is also shown that the flooding of seawater onto the deck occurring in turning generated a significant outward heel moment and increased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hip and the center of lateral water drag.

예부선의 자유항주모형실험을 통한 조종 특성 연구

  • Yun, Geun-Hang;Son, Nam-Seon;Kim, Yeo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40-42
    • /
    • 2011
  • 예선이 부선을 선미 예인하는 상황에서의 예부선 조종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예부선 통합 자유항주 모형시험을 수행하였다. 기존의 실선시운전에서는 관측하지 못한 부선의 불안정한 거동을 확인하였으며, 브라이들을 이용한 2점 예인 상태로, 우현 10도, 20도, 30도 선회시험을 수행하여 예선과 부선의 선회반경을 측정하였다. 시험수행조건이 다르나, 실선시운전 결과와 비교하여 선회반경이 약 3배 이상 커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부선의 선회궤적이 예선의 선회궤적 안쪽에 존재하는 것도 재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hip Stability and Maneuverability Using Free Running Model Experiments (자유항주 모형실험에 의한 선박의 복원성능과 조종성능 관계 연구)

  • Choe, Bo-Ra;IM, Nam-Kyu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0 no.6
    • /
    • pp.353-360
    • /
    • 2016
  •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has issued international standards for ship maneuverability and stability. These have been established to improve marine safety and influence the direction of research. The previous literature has been researched, but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hip maneuverability and stability. This study carried out a fundamental experiment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at relationship. Radius of turn and maximum heel angle depending on changing were analyzed through a turning test using a free running model ship. The test results show the change tendency of decreasing turn radius and increasng maximum heel angle according to a GM decrease. A rough estimate equation is proposed to predict the change tendency on radius of turn and angle of maximum heel as GM decreases. Many ships can suddenly experience reduced GM due to unexpected reasons during sailing. The results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fundamental data to estimate a ship's tactical turn diameter and variable heel angle for steering as GM decreases.

A Study on Angle of Heel in Turning using Ship Maneuverability lndices (선박 조종성 지수를 이용한 선회 중 횡경사에 관한 기초연구)

  • Kim, Hong-Beom;Yim, Jeong-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269-269
    • /
    • 2019
  • The ships are turning for the purpose of collision avoidence and change of course. It is possible that ships have capsizing accident when improper loading of cargo and excessive use rudder angle in turning. It is difficult for navigation officers to recognize the danger of heeling during a turn, because the dynamic state of the ship changes in real time. Thus, in this study, ship's heeling angle was predicted during turning using the maneuverability indices estimated from the ship's autopilot. The maneuverability indices estimated through the Kalman filter of Autopilot is real-time predictable. The turning radius was obtained from the estimated Index of turining ability and calculations of the heeling angle were possible in turning. It is intend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on the prevention of danger heeling angle during turning.

  • PDF

등부표 이출범위와 안전도선에 관한 연구

  • 최광영;박영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241-242
    • /
    • 2023
  • 등부표는 선박의 안전한 항행을 지원하는 시설인 항로표지의 한 종류로 항행하는 선박에게 암초나 수심이 얕은 곳의 소재를 알리거나 항로의 경계를 알리기 위해 침추를 해저에 정치하여 해상의 고정위치에 띄워 놓은 등화가 설치된 것을 말한다. 등부표의 표체는 해저에 정치된 침추와 체인으로 연결하며 체인의 길이는 수심의 1.5 ~2.5배로 하여 표체를 계류한다. 등부표는 조류, 바람 등 외력에 의해 이출거리가 발생하여 일정한 패턴으로 선회반경이 형성되나 외력으로 인하여 정상범위에서 벗어나 유실, 위치이동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선박추돌 등 항해안전 사고로도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등부표 사고는 물적 피해비용과 이용자의 안전운항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또는 위험감수 등의 추가적인 행정소요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의 안전한 도선을 위해서는 등부표의 이출범위와 위치가 변할 수 있음을 염두해 둘 필요가 있다. 이와같은 등부표로 인한 사고 예방과 안전한 도선을 위해 등부표 이출범위와 안전도선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 PDF

Improvement Plans for Anchorage at Yeosu·Kwangyang Port (여수·광양항 정박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Lee, Ho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3 no.1
    • /
    • pp.17-25
    • /
    • 2017
  • Relocation and expansion of existing port facilities are necessary given this increase in marine traffic volume and the presence of larger entering vessel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anchorage among water facilities, and examined the degree of harmony between anchorage and other water facilities at Yeosu Kwangyang Port. The number of anchoring vessels in relation to anchorage over the past 5 years, total anchored hours by anchorage-years, average number of simultaneously anchored vessels by anchorage-years, maximum number of simultaneously anchored vessels by anchorage, and maximum size of anchored vessels by anchorage have been surveyed. The minimum anchorage radius has been calculated according to the designated anchorage capacity according to anchorage. Finally, improvement plans for Yeosu Kwangyang Port's anchorage have been suggested, including relocating of Yeosu no. 2 anchorage, expanding of Kwangyang no. 1 ~ 5 anchorage, relocating of Kwangyang no. 8 ~ 9 anchorage, and repealing of Kwangyang no. 11 anchorag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Things for Group Anchorage Safety Management (집단 정박지 안전관리 개선방안에 대한 제언)

  • Sang-Won Lee;Sun-Mi Jeong;Yun-Ha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24-25
    • /
    • 2022
  • Based on the case of Busan Port November anchorage, which is a group anchorage, related regulations to promote group anchorage safety management, the turning radius of anchored ship, and more accurate weather information collection and safety through improvement of the supporting system for VTS operations to apply the anchorage location in accordance with reality that it is a suggestion for management improvement methods.

  • PDF

위치기반 등부표 관리 기술 개발 연구

  • 최광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227-228
    • /
    • 2022
  • 위치기반 등부표 관리 기술 개발 연구는 AIS 또는 RTU가 설치된 등부표에 대한 이탈 위험 인지, 항해안전 사고 예방 등 안전대책 강화를 위해 연구하는 것이다. 등부표는 조류, 바람 등 외력에 의해 이출거리가 발생하여 선회반경이 형성되고 이러한 외력으로 인하여 유실, 위치이동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선박추돌 등 항해안전 사고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등부표 사고는 물적 피해비용과 더불어 기능 정지 등으로 인하여 이용자의 안전운항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또는 위험감수 등의 추가적인 행정소요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선박추돌 의심 사고 발생시 가해 선박 확인은 현 관리운영시스템상 등부표 및 선박항적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 대부분의 관리자들은 해경 및 VTS센터에 의뢰하여 식별 해야한다. 이와같이 등부표 사고가 발생하면 항해안전 위험, 행정소요 비용 발생 등 관리자 및 이용자들에게 많은 불편을 초래한다. 따라서 등부표가 고시된 위치에 정위치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안전반경 정보와 선박추돌사고 예방 및 사고발생시 등부표 항적과 선박항적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 등 등부표 위치를 기반으로하는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여 관리 기술 개발 연구를 하였다.

  • PDF